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2

        401.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핵과류를 가해하는 깍지벌레중 우점종인 뽕나무깍지벌레에 대한 용도조건이 충 발육 및 수관내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월풍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용과 같다. 온도에 따른 각 stage의 성장비는 생육온도 범위의 항온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각 stage의 발육영점과 유효적산온도는 난이 각각 , 46.9일도, 1령약총 , 183.8 일도, 2령약충 , 188.2일도였으며 총 약충 기간에서는 , 383.0일도이었다. 자성충의 수명은 , , , 에서 각각 39.6일, 28.4일, 18.1일, 15.7일이었고 포란수 및 산란수는 각각 83.0개, 75.0개이었다. 또한 각 stage의 생육적온은 22~ 범위이었으며 에서는 부화되지 않았다. 여름철에 수관내 충의 밀도는 69.6%로 가지의 하향면에서 가장 높았으며 월동 자성충의 분포비율은 NE-SE변에서 가장 높았고 월동기간중 성충의 사충율은 36.2%이었다.
        4,000원
        40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es virus: SINPV) 미생물살충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기주식물, 온도 보관조건 및 태양광선에 의한 병원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콩잎에 살포한 SlNPV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과 5령 유충에 대한 은 각각 와 였으며 에 대한 은 3령과 5령에 대하여 각각 7.3일파 8.9일이었다. SINPV는 에서 4시간, 에서 1 10분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한 활성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SINPV는 동결보관이 나 보관보다 안정적인 활성을 유지하였다. 콩잎표변에 살포한 SINPV는 콩잎표변에 살포한 경우 3일 후에 불활화하였으나 콩잎 이면살포에서는 10일간 활성이 지속되었다.
        4,000원
        403.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숫검 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utler) 유충 하면의 개시와 종료에 온도와 광주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조건에서 하면기간은 유충이 하면을 시작하는 시기가 늦을수록 짧아져서 조사짐단내 용화시기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모든 광주기 및 온도 조건에서 유충의 발육속도에는 변화가 있었으나 하면개시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 였기 때문에 이 곤충의 하면은 내인성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하면의 종료는 이상의 두가 지 환경조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온도조건에 대한 반응에 따라 하면기간은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는데 전기에는 평균온도가 높을수록 하면시간이 단축되었으나 후기에는 저온 일수록 짧아졌다. 또한 실험한 광주기에서는 단일조건 (LD 8 : 16)에서 하면기간이 가장 짧았다.
        4,000원
        407.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rghum cv. Pioneer 93 1, sorghum-sudangrass hybrid cv. Sioux and maize plant cv. Blizzard were assayed for toxic concentrations of nitrate-nitrogen (NO3-N)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a fiel
        4,000원
        40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수와 옥수수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온도(土壤溫度)의 차이(差異)가 생육(生育) 및 건물축적(乾物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1985년(年) 옥외(屋外) pot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수수의 pioneer 931과 옥수수의 수원(水原)19호(號)를 공시(供試)하고 토양온도(土壤溫度)는 저온(低溫)(22.3℃), 상온(常溫)(25.9℃) 및 고온(高溫)(30.5℃)의 3수준(
        4,000원
        41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本試驗)은 온도(溫度)의 변화(變化)가 사료작물(飼料作物)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수수(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Pioneer 988), 수단그라스(Piper) 및 옥수수(수원(水原) 19호(號))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Growth chamber내(內)에서 수행(遂行)하였다. Growth chamber 내(內)의 주야간(晝夜間) 온도(溫度)는 10/5, 15/1
        4,000원
        411.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OM and lamp tests were carried out with soybean, corn, palm oil and beef tallow without the addition of antioxidant. The evaluation of rancidity for the stability was determined by changes of peroxide value and acid valu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bility and the composition of fats and oils was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AOM test, POV began to rise in the order of corn oil,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However, the time required to reach POV 100 in beef tallow was faster than other fats and oil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POV and content of tocophrol. 2. In the lamp test by light of main wavelength 253.7nm, beef tallow was stabler than soybean and corn oil. It was because the absorption of light into beef tallow was much smaller than others, since beef tallow was fats. Palm oil was very stable in all the samples during AOM and lamp test.
        4,000원
        412.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주기 16:8(명기:암기) 온도 이상 이하의 실험실 조건에서 코드링나방(Laspeyresia pomonella) 수컷의 활동리듬을 활동력 측정장치로 조사한 바, 소등시에 한번(제1활동기)과 점등시에 한번(제2활동기)의 두 번의 활동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제1활동기는 소등 시간 전에 시작되었으며 소등신호에 의해 활동시작시간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속조명조건에서는 활동주기가 24시간보다 약간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곤충의 일주활동성의 특성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기 16:8 하에서 부터 까지 8단계의 온도조건을 두어 숫나방의 활동리듬을 조사한 결과 에서는 전혀 활동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하의 온도에서는 제2활동기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하에서는 제1활동기 중 암기에서의 활동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온도범위 하에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2활동기와 제1활동기 중 암기에서의 활동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온도상승에 따른 제1활동기의 암기에서의 활동력 증대로 인하여 활동 평균시간이 암기쪽으로 이동하였다. 코드링나방의 온도에 따른 평균 활동시간의 변동은 상기한 저온에서의 암기에 활동력 감퇴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413.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도열병균의 엽초내균사신전도와 잎표피세포내의 침입율과는 기주가 접종전 같은 온도조건하에서 자랐을 경우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또한 이들 두 요인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000원
        414.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과 Thuricide 의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컷의 산란전기간은 평균 3.0일(일)이었으며 산란기간은 평균 4.75일(일)이었고 산란후기간은 평균 3.5일(일)로 성충의 수명은 약 11.25일이었다. 2. 일당 산란수 빈도는 60개80개가 가장 많았으며 각 온도에서 산란수는 에서 각각 307개, 413개, 189개로 에서 난수가 가장 적었으며 일 때 난수가 가장 많았다. 일당 산란수는 평균 64.05개 (개)였고 총산란수는 평균 304.25개 (개)였다. 3. 난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7.71일 (일), 4.12일(일), 3.58일(일)이었고 부화율은 각각 로써 에서 가장 높고 에서 가장 낮았다. 4. 유충의 전 발육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43.5일, 21.79일, 18.05일을 소요하였고, 유충의 치사율은 에서 각각 였다. 5. 용 발육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24.22일(일), 12.36일(일), 11.50일(였고, 용기 치사율은 에서 각각 였다. 6.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이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 유충과 용이 각각 60.41일도, 319.35일도와 222.66일도였으며 담배나 방의 발육영점온도는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60 2.42일도였다. 7.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에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생리적 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8. Thuricide 분무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고 Bait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처리시기나 약량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000원
        415.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중 이병성품종인 Khao-tah-haeng 17에서는 4개 접종전처리온도어디서나 접종에 사용된 6개 균주에 대하여 저항성보다는 이병성병반이 많이 나타났다. Tetep, Carreon, IR36 및 Sensho에서는 이병성병반 보다는 저항성병반이 많이 나타났다. 저항성 및 이병성병반수 공히 접종전 처리온도간, 공시종간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특정품종에서 이병성병반의 발현은 접종전처리온도와 두열병균균주에 의해서 좌우되었으며 저항성병반의 발현은 접종전처리온도보다는 도열병균균주에 의해서 좌우되었다.
        4,000원
        416.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특정수도품종에 대한 도열병균의 침입률은 접종전처리온도와 균주의 조합보다는 공시균주나 온도의 단독요인에 의한 영향이컸다. 이병성품종은 그 품종이 어떤 온도조건하에서 자랐던지 또는 병원성이 다른 어떤 균주로 접종이 되었던지 이병성으로 남아 있었으며 접종전에 기주가 다른 온도조건하에서 자랐을 경우, 도열병균의 특정균주 또는 Race의 병원성발현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4,000원
        417.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은 몇가지 우화기구를 사용하여 기구형에 따른 우화상내 온도변화가 솔잎혹파리의 우화소장에 미치는 영향 및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변화와 우화소장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처리별 우화소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화기구별 상내 최고온도는 현저한 차리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Vinyl형은 월평균 가 높았고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표준형의 순이었다. 2) 처리별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최저온도분포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Vinyl형 처리구에서는 우화최성일이 5월 15로 대조구에 비하여 20일 앞당겨했고 표준형구와 Cage-50구도 14일 빨라졌다. 4) Funnel형 처리구에 있어서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의 분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우화최성일은 6일이 지연되었다. 5)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처리효과는 12월중순과 3월중순의 최고온도의 상승이 우화최성일을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419.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저장병으로서 중요한 Fusarium solani, F. roscum, F. oxysporum 및 Erwinia carotovora를 분리 동정하고 수확후에 공시품종 Epicure, Irish Cobbler, 및 Superior의 괴경을 절단하여 각 온도의 습실에 1, 3, 5, 및 7일간 예치한 후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을 검경하였다. 그리고 위와 같이 처리한 괴경에 4종의 병원균을 접종하여 9일간 정치한 후 부패도를 조사하였다. 예치온도가 높을수록 또 그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보호막으로서의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이 증가하였으며 부패는 감소되었다. 공시균종간의 병원성, 품종에 대한 반응, 보호막 형성에도 차이가 있었으나 예치온도 및 기간의 효과가 부패방지에 더 중요하였다. 에서는 7일이내의 예치기간에 보호막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으며 부패는 심하였고 에서는 대체로 이와 반대하였다. 그러므로 절상감자를 바로 에 냉장함은 피해여야 할 것으로 본다. 에서 3일 에서 5일이 지나면 부패되지 않았으며 suberin 및 periderm 형성은 중정도였다. 고온에서는 예치, 기간중에 기경이 부패되는 수도 있으므로 그 적온을 피하여 에 5일 이상 예치한 후에 저장하는 것이 실용적이라 생각된다.
        4,000원
        420.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라고나이트는 탄산칼슘(CaCO3)의 동질이상 중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침전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아라고나이트의 형성 및 성장뿐만 아니라 아라고나이트 내 스트론튬(Sr)과 같은 미량원소의 치환 특성은 화학종의 농도와 온도와 같은 핵심 인자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생태계와 유사한 용액 온도와 아라고나이트에 대한 이 용액의 다양한 포화도 조건에서 아라고나이트 내 Sr 병합 특성이 규명되었다. 반응 용액의 주입속도(0.085-17 mL/min), 반응 용액의 이온 농도([Ca]=[CO3] 0.01-1M), 혼합 용액의 온도(5-40 oC)의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컨스턴트-에디션 (constant-addition) 방법을 통해 순수한 아라고나이트가 합성되었다. 또한, 모든 Sr 병합 실험 조건(0.02-0.5 M, 15-40 oC)에서도 순수한 아라고나이트가 형성되었다. 합성된 아라고나이트의 결정도와 결정크기는 포화도 및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며 아라고나이트 결정이 더 많이 성장하였음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BET-비표면적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정성장속도는 결정 형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아라고나이트 내 Sr의 분배계수(KSr)는 반응이온의 농도가 0.02에서 0.5 M로 증가할 때 2.37에서 1.57로, 온도가 15에서 40˚C로 증가할 때 1.90에서 1.54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조건에서 KSr 값이 1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KSr가 결정성장속도와 역의 상관관계로서 아라고나이트 내 Sr 병합이 호정성 관계임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