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3

        441.
        199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남한에서 채집된 표본과 폴랜드의 동물계통분류진화연구소에 보관된 북한산 표본을 대상으로 분류.동정한 결과, 한국산 무늬잎말이나방족은 총 39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북한산 2종이 신종으로 새로이 기록되며 11종의 미기록종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4,600원
        442.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eds of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were studied for their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seeds of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contained 70.2% and 73.4% lipids, respectively. Fifteen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lipids from the Camellia japonica seeds.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5 previously reported (16 : 0, 18 : 0, 18 : 1, 18 : 2 and 18 : 3), 10 more acids were characterized. The newly identified acids were 14 : 0, 16 : 1, 17 : 0, 20 : 0, 20 : 1, 20 : 2, 22 : 0, 22 : 1, 24 : 0 and 24 : 1. Both seeds lipids contained 18 : 1 in high levels (81. 6~82. 2%). Little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ed between the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seed lipi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Camellia japonica oil was similar to those of the Camellia japonica seed lipids.
        3,000원
        443.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룡산 개미의 분포와 개미상을 밝히기 위하여 계룡산지역을 3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9차에 걸쳐 317colony를 채집하여 3아과 23속 45종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 열마디개미 (신칭) Solenopsis sp.는 한국미기록종이었다. 3개권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수는 거의 같았으며 9개 지역에 고르게 분포한 종은 스미드개미와 일본장다리개미이며, 계룡산에 분포하는 45종 중에서 10종은 1개 지역에서만 채집되었는데, 그 10종 중에서 6종은 신원사권역인 서사면에서 채집되었다. 이제까지는 섬지역과 일부의 해안에만 분포하고 있는 종으로 알고 있었던 제주왕개미 Camponotus tokoensis가 서사면 신원사에 분포하고 있는 것은 흥미있는 일이다.
        4,000원
        444.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남산의 식생과 개미군집의 종조성 및 colony 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9년 6월부터 1990년 10월 까지 13종의 식생에다 39방형구를 설치하여 443colony를 채집한 결과 4아과 23속 28종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중에 배잘록침개미(신칭) Cerapachys humicola 는 한국미기록아과인 배잘록침개미아과(신칭) Cerapachinae에 속하는 미기록종이었다. 식생별 개미군집의 종조성은 아카시나무군락에 3아과 14속 15종으로서 남산에서 채집된 전종수인 28종의 53%에 해당되며, 신갈나무에는 3아과 12속 14종이 채집되어 전체종수의 50%로서 비교적 종류조성이 풍부하였고, 버즘나무에 3아과 3속 3종으로 가장 단조로웠다. 식생별 colony 밀도는 산벚나무군락에서 7,875colony/로 가장 높고, 버즘나무에서 1,000colony/로서 가장 낮았다. 개미의 종별 상대밀도는 스미드개미가 RD=0.422로 가장 높았다. 배잘록침개미, 장구개미가 RD=0.002로 가장 낮았다. 식생간에 개미군집의 유사도를 Sorensen지수로 분석한 결과는 산벚나무와 팥배나무군락사이에서 0.745, 산벚나무와 소나무군락사이에서 0.736으로 높았고, 산벚나무와 화백군락 그리고 산벚나무와 메타세코이아군락간에서 각각 0.164로 가장 낮았다. 각 식생군락내의 개미의 우점도를 Simpson공식에 의해 분석하여 볼 때 버즘나무군락에 =0.067로 가장 낮았다. 역 Simpson지수에 의하여 분석된 다양도는 메타세코이아 =14.925 리기다소나무 =7.874순으로 높았고 버즘나무군락에=2.545로 가장 낮았다. 와 를 사용하여 산출한 균등도는 메타세코이아군락에서 =0.713, 화백군락에서 =0.624로 높았고, 신갈나무군락에서 =0.182로 가장 낮았다.
        4,800원
        445.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배버섯으로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고온성느타리(Pleurotus sajor-caju) 및 야생식용버섯으로 싸리버섯(Ramaria botrytis)과 젖버섯(Lactarius volemus)의 지질성분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각 버섯의 지방함량은 0.32~0.39%이었으며, 그 조성은 인지질(19.4~47.4%), 중성지질(32.1~51.9%), 당지질(14.8~28.7%)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다른 버섯에 비하여 중성지질(51.9%)의 함량이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21.2~38.2%), free sterol(21.0~21.9%), sterol ester(10.3~18.6%)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free fatty acid(34.1%)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특이하게 높았다. 당지질은 steryl glycoside(15.6~29.4%), esterified steryl glycoside(13.4~23.9%), monogalactosyl diglyceride(15.6~24.6%) 순으로 많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36.7~49.5%), phosphatidyl ethanolamine(20.9~29.7%), phosphatidyl inositol(18.4~26.1%) 순으로 많았다. 각 구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4종의 버섯 공히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4,000원
        447.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여치과는 현재까지 32종으로 알려져 왔으나 그들 상당수의 종이 이중으로 기록되어 왔거나 유효하지 않은 혁명을 사용해옴으로써 학명사용상 혼동이 야기되어 왔었다. 이에 저자는 그들의 초기록들을 조사함으로써 이들 학명들을 재정리하여 총 26종으로 재분류하였으며, Metrioptera koreana Mori, Paratlanticus palgongensis Rentz et Miller, 그리고 Tettigonia dolicoptera mori등 3종은 새로운 synonym으로 정리하였다.
        4,600원
        448.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번 조사를 통해 한국산 심식나방과는 3속 5종으로 정리되며, 이 중 Meridarchis속의 M. excisa와 M. jumboa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과거에 기록된 Carposina niponensis 및 Commatarcha palaeosema는 각각 Carposina sasakii와 Commatarcha vaga의 오동정으로 판명되었으며, 김( (1955 )에 의해 신종기재된 Carposina coreana는 그 syntype이 없어 문헌에 기록된 모식산지( type locality)에서 최근 채집된 표본중 암컷 1개체를 neotype으로 지정한다. 이상으로 정리된 한국산 심신나방은 다음과 같다. Carposinidae Walsingham, 1897 심식나방과 Carposina Herrich-Schaffer, 1853 coreana Kim, 1955 산수유심식나방(개칭) sasakii Matsumura, 1900 복숭아섬석나방 Commatarcha Meyrick, 1935 vaga Diakonoff, 1989 흰점검은심식나방 (신칭) Meridarchis Zeller, 1867 excisa (Walsingham, 1900) 어깨무늬심석나방 (신칭) jumboa Kawabe, 1980 삼각무늬심석나방 (신칭)
        5,100원
        449.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창나방과의 정리 결과 총 9종이 밝혀졌으며 이들중 1신종, Rhodoneura shini sp. nov. <줄무늬창나방>, 1신아종 Thyris fenestrella seoulensis subsp. nov.<깜둥이창나방>이 기재되며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R. pallida(Butler) <흰점무늬창나방>와 Striglina venia Whalley <주엽나무창나방>이 확인되었다. Striglina pararenia는 cancellata의 synomym 으로 처리하였으며 과거 기록되었던 T.usitata는 T. fenestrella의 오동정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새로 밝혀진 기주식물로는 창나무의 싸리나무와 사과나무, 주엽나무창나방의 주엽나무, 상수리창나방의 개암나무등이었다.
        5,500원
        450.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좀벌아과의 정리결과 총 39종이 분류.동정되었으며 이중 16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또한 Elachertus tabashii Nakayama, 1938은 노랑좀벌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1904>>의 synonym으로 처리하였다.
        6,900원
        451.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꽃파리 및 씨고자리꽃파리는 마늘, 양파 및 파 등 구근류 작물을 가해하는 중요한 농업해충이나, 그 형태적 유사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학명적용에 있어서 학자간에 수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2종에 대한 종간 및 각 종내의 지역별, 시기별, 기주식물별 등에 따른 형태적 정량형질의 다변량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종간에는 100%의 분리율로 명백히 구분되나, 2종 모두 지역별, 시기별 및 기주식물 등에 따른 종내 정량형질의 차이는 고자리꽃파리에서는 분리율이 모두 75% 이상으로 높았으며, 씨고자리꽃파리에서는 6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8,600원
        45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454.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멧누에(Bomdyx mandarina)chorion 유전자의 형질 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실험을 실시했다. 멧누에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마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매우 특이적인 구조가 인정되었다. 즉 원추상의 불규칙 돌기에 의한 돌기구조층과 이 돌기 구조층을 덮고 있는 한 층의 얇은 덮개 구조층이 그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해 chorion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은 등전점 4~6, 분자량 6~30 kd로 밝혀졌다. 특히 특이난각구조와 관련된 특이단백질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고cysteine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멧누에 난각의 특이 구조 형성에 따른 유전자발현기구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졌다.
        4,000원
        455.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자기컴퍼스 카아드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자장발생장치에 의한 수평자장의 세기와 카아드의 크기 및 컴퍼스액의 점성계수별 제진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한 컴퍼스 종류별 수평자장의 세기에 따른 제진특성은 A, B, C, D컴퍼스 모두 수평자장의 세기가 강할수록 주기와 감도는 짧고, 과행각은 크게 나타났으며, 극지와 같이 수평자장이 약한 0.03gauss에서는 진요회수와 마찰각등이 ISO의 허용범위 보다 미달되거나 크게 나타나, 컴퍼스 카아드의 지북단이 자북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2. 한국근해의 표준자장인 0.30gauss에서 측정한 컴퍼스 종류별 성능제요소를 IMO NAV/ANNEX II 의 성능표준과 비교해 본 결과, 주기를 제외한 전 요소가 IMO NAV/ANNEX II의 성능표준의 허용범위 이내로 한국근해의 사용이 적합하나 지자기의 수평자장이 0.18gauss보다 약한 위도 60˚이상의 고위도 해역에서의 사용은 부적합하다고 생각된다. 3. 한국산 자기컴퍼스 카아드의 크기별 clearance에 대한 제진특성은 clearance가 클수록 감도는 예민하고 주기는 짧아져 방위지시부의 지북단이 자북으로 복귀하는 시간이 짧아진 반면 마찰각은 각각 1.5˚, 0˚, 0.5˚, 2.0˚가 되어 카아드의 크기가 170mm와 175mm로써 clearance가 10.0mm와 12.5mm일때가 마찰오차는 IMO NAV/ANNEX II의 성능표준의 허용범위 이내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4. 카아드의 크기가 175mm, 자침의 자기능률이 1,925 C. G. S. E. M. U인 자침을 사용할 경우 한국근해의 수평자장 0.30gauss에서는 컴퍼스 액의 점성계수가 0.021poise로서 에칠알콜과 증류수의 혼합비율이 4 : 6일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456.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밤바구미류는 지금까지 8종이 보고되었으나, 그 계통분류의 일환으로 재검토한 결과 총 5屬 28種이었고, 그중에는 2新屬, 1新亞屬, 13新種 및 7한국미기록종이 새로 추가된다. 각 분류군의 검색표, 분포상황 및 기주식물을 정리하였다.
        5,700원
        457.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eds of 16 domestic plants were studied for their moisture, total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16 seeds, chestnut, corn, mungbean and ginko nut yielded less than 9% by weight of total lipids compared to others that gave 20-73%. The identified fatty acids from the seed lipids ranged from lauric acid (12:0) to lignoceric acid(24:0).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to classify the seed lipids according to their major fatty acids: Group t-Oleic acid; Group 2-0leic acid and linoleic acid; Group 3-linoleic acid; Group 4-linolenic acid ; Group 5-erucic acid ; Group 6-ricinole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mungbean (33%) was the highest among the seed lipids studied. The highest value for the P/S fatty acid ratio(10) was in perilla.
        4,000원
        458.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딱정벌레류는 포식성(捕食性) 곤충(昆蟲)으로서, 특히 삼림해충(森林害蟲) 및 가축위생해충(家畜衛生害蟲)들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에 기여(寄與)할 수 있는 유용(有用) 천적곤충(天敵昆蟲)이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멋쟁이딱정벌레 5아종(亞種), 9개지역 개체군(個體群)을 대상으로 계량형태학적(計量形態學的)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을 시도 하였다. 그 결과 외부형질(外部形質)의 비교에서 각 아종간(亞種間)이 평균(平均) 96.3%, 아종(亞種)을 무시한 종내(種內) 개체군간(個體群間)은 97.4%, 그리고 jankowskii 아종내(亞種內)의 개체군(個體群)만 비교 했을때 100%로서, 모두 평균(平均) 75% 이상(以上)의 분리율(分離率)이 나타났으며, 유의수준(有意水準)도 P<0.001로 판명되어, 각 아종간(亞種間) 및 지역간(地域間)이 명백히 서로 구별되어졌다. 웅성생식기(雄性生殖器)의 형질에만 의존한 비교에서는 Group 3(quelpartianus)의 85.6%를 제외한 대부분 분리율(分離率)이 표준(標準) 75% 법칙(法則)이하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有意水準)도 대부분 P>0.001로 나타나서 그 판별력(判別力) 해석(解析)에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정량해석(定量解析) 방법(方法)에 의한 구분결과(區分結果)와 정성형질(定性形質)의 차이로서 전남(全南) 진도(珍島) 지역(地域)의 개체군(個體群)을 신아종(新亞種)으로 추가 기재(記載)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멋쟁이 딱정벌레는 현재 7아종(亞種)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원명아종(原名亞鍾)은 조사된 5개 지역에서 모두 미세형태적(微細形態的) 형질(形質)의 차이가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에 의해 인지(認知)되었으므로 장차 자료의 보완과 함께 재검토(再檢討)가 요망(要望)된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