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4

        44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se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nd an acid-base clean-up process to determine the amount of methylmercury (MeHg) in marine products was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icated sample preparation process. The optimal conditions for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was developed by using a 10% NaCl solution as an extraction solution, setting the extraction temperature at 50℃, and holding for 15 minutes to extract the MeHg in marine products. A NaOH solution was selected as a clean-up substitute instead of L-cysteine solution. Overall, 670 samples of marine products were analyzed for total mercury (Hg). Detection levels were in the range of 0.0006~0.3801 μg/kg. MeHg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the current food code and the proposed method for 49 samples which contained above 0.1 mg/kg of Hg. Detection ranges of methylmercury followed by the Korea Food Code and the proposed method were 75.25 (ND~516.93) μg/kg and 142.07 (100.14~244.55) μg/kg, respectively. The total analytical time of proposed method was reduced by more than 25% compared with the current food code method.
        4,000원
        44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면봉산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장기모니터링 조사구 내 초기 임분구조를 분석하고 장기모니 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1㏊의 조사구 내 10×10m의 소조사구 100개소를 설치하여 흉고직경 2㎝ 이상의 목본류 개체를 중심으로 흉고직경, 수고 및 공간좌표를 측정하였으며, 소조사구 내 5×5m의 크기로 하층식생 조사구를 설치하여 피도 및 수도를 조사하였다. 중요치 분석결과 상층에서 신 갈나무(46.5), 소나무(38.3)의 순으로 나타났고, 중층에서 신갈나무(47.5), 박달나무(1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기모니터링 조사구내 출현한 개체수는 총 3,070본/ha로 조사되었다. 흉고직경급은 역J자형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수종이 대부분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445.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시 천성항 내 훼손이 예상되는 거머리말 서식지의 복원을 위해서 기존 서식지의 현황조사 를 실시하고 인근 두문리 해안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4년 1월 항내 자생하는 거머리말은 수심 1.2∼3.1 m의 범위에서 출현하였고, 수온은 7.4℃, 염분은 29.1 psu, pH는 8.05를 나타냈다. 거머리말의 서식밀도는 167.1±16.4 shoots m-2로 조사되었고, 총길 이 48.5±18.1 cm, 엽초길이 9.1±2.8 cm, 엽폭 4.8±1.1 cm로 조사되었다. 2014년 12월에 이식을 실시한 후 다음해 8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식 초기 서식밀도는 감소하여 1월에 8.5 shoots patch-1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증가하여 4월에 19.0 shoots patch-1 까지 증가하였다. 총 길이는 73.3±2.9∼121.3±6.1 cm, 엽초길이는 9.6±0.6∼21.0±1.2 cm, 엽폭은 5.7±0.1∼6.8±0.2 mm 로 조사되었고 측정값은 7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8월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천성항 내 거머리말 서식지와 이식 초기 대체서식지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생식지(flowering shoot)가 2015년 3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 관찰되었으며, 2016년 조사 시 생식지의 씨앗에서 발아한 거머리말을 대체서식지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44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적화 분야에서는 VRP(Vehicle Routing Problem)에 대한 많은 연구가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기본적인 VRP 모형을 확장하여, 단일차고지와 다수차고지 특성, Pickup and Delivery 특성, Time Windows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형들을 도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보다 나은 해를 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들 VRP 모형들은 노드 수의 증가에 따른 NP-Hard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적화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Genetic Algorithms, Tabu Search, Simulated Annealing 등의 메타휴리스틱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해를 도출하려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제약을 가지는 Multi-Depot Pickup and Delivery 모형을 이용하여 3자물류 기업에서 물류 트럭의 할당 및 이들에 대한 운영 상황 모니터링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요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가장 중점을 두고자 하는 혼적이 가능하고 시간제약을 반영한 해를 도출하고자 했으며 도출된 해를 기반으로 물류를 트럭에 할당한 후 물류 트럭에 대한 GPS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449.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는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양념 중 하나이다. 하지만 수입 고춧가루와 다진 양념(다대기)에 부과되는 관세율(45%/270%)의 차이로 인해, 다진 양념이 수입된 후, 건 조 및 분쇄 과정을 거쳐 고춧가루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 특이 PCR 기술과 whole-genome amplification 방법을 접목하여 고춧가루(N=45) 및 다진 양 념(N=5) 제품의 사용원료(고추, 마늘, 양파, 파, 생강)를 분 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39개 고춧가루 제품은 표시사항 을 준수하였으며, 6개 고춧가루 및 5개 다진 양념 제품은 제조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분석 제품의 22% 가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고춧가루 제품에 사용된 원료 분석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4,000원
        453.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pplicability of corrosion inhibitor was evaluated using pilot scale water distribution pipe simulator. Calcium hydroxide was used as corrosion inhibitor and the corrosion indices of the water were investigated. Corrosion indices, Langelier saturation index (LI) increased by 0.8 and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potential (CCPP) increased by 9.8 mg/L. This indicated that corrosivity of water decreased by corrosion inhibitor and the effects lasted for 18 days. Optimum calcium hydroxide dose was found to be 3~5 mg/L for corrosion inhibition. We suggest that monitoring of CCPP as well as LI need to be conducted to control corrosivity of water.
        4,000원
        454.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PSC 거더의 긴장력을 계측하기 위한 EM 센싱 기법을 다양한 PS 텐던에 적용하기 위하여 PS 강종별 긴장력 변화에 따른 자기이력 모니터링 결과를 소개한다. PSC 교량의 성능평가에 있어 PS 텐던의 긴장력은 매우 중요한 인자이나 현재는 시공시 설계 긴장력의 도입 여부만을 검증하고 그 이후에는 긴장력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를 계측하기 위하여 EM 센서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계측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PSC 거더에 사용되는 모든 PS 텐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C 교량에 주로 사용되는 B, C, D종 PS 텐던에 대해 EM 센싱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각 강종별 긴장력에 따른 자기 이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위해 B종 12.7mm, C종 15.2mm, D종 15.2mm PS 텐던 시편에 50, 100, 150, 180kN의 긴장력을 도입하고 각 긴장력 단계마다 자기 이력 곡선을 EM 센서를 통하여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각 긴장력 단계마다 그 투자율이 정량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 C 종의 경우 단면적이 달라 선형회귀분석식의 상수는 상이하지만 유사한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고 D종의 경우 다른 강종과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45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락타이드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유해 중금속인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을 측정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중인 폴리락타이드 시료 총 211건을 수거하였다. 용출실험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조건 에 따라 식품모사용매인 4% acetic acid로 하였으며 온도 조건으로 70oC와 가혹사용조건인 100oC 모두 적용하여 이 행량을 비교하였다.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모두 70oC보다 100oC의 조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납 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과 비교하여 1.0%의 낮은 수 준이었고, 카드뮴은 모두 미량이 검출되었으며, 비소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 대비 3.9%의 낮은 수준으로 기준·규격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이행량 결과를 바탕으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후 잠정주간섭취허용량 등과 비교하는 안전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용 폴리락타이드 기구 및 용기·포장을 통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2.5 × 10−5~ 2.0 × 10−3μg/kg bw/day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용출조건별로는 70oC, 30분에서 카드뮴의 일일추정섭취량이 가장 낮았고, 100oC, 30분에서의 납 일일추정섭취량이 2.0 × 10−3μg/kg bw/day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나, 납의 위해도는 인체안전기준(25 μg/kg bw/week)과 비교시 0.055% 수준으로 매우 낮음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 유통 폴리락타이드 재질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의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 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5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cent decades, introduction of the alien plant pests into Korea was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role of plant quarantine became more important than ever. At the same time, early detection of the introduced population of the alien pests is critical for protection of their spread. However, continuous monitoring for their distribution or spread has not been performed yet in Korea. Present monitoring systems in Korea is not unified but sectored according to three institute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anaging human resources, executing budgets, and collecting information among them, resuling in delayed responses to the introduced alien pests. Our study focused on 1) constructing nation-wide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2) developing a decision flow chart for evaluating risks, 3) performing the benefits and costs analysis. Continuous monitoring will clarify overall distribution of alien pests, support government’s quarantine negotiation, and enable early detection of alien pests. Furthermore, the system will provide scientific data management and early responses to invasion of alien pests.
        45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벗초파리는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해충으로 인식되지 않아 발생 기간 및 패턴, 기주 범위 등의 생태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모니터링을 위한 우수 유인제 및 트랩의 연구도 제한적으로 수행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사과식초 함유 유인제 2종과 화학적 루어 2종 그리고 트랩 2종에 대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선발 시험은 사육중인 벗초파리를 이용한 choice test와 함께 수목원, 딸기 농장, 블루베리 농장에서의 6반복 유인력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인력 비교 결과 ACV + wine의 포획량이 높았으며, 블루베리 농장 인근 결과값은 전체 조사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트랩 선발 실험 결과 모든 실험 장소에서 Dreves 트랩이 높은 포획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CV + wine과 Dreves 트랩 조합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월동 발생 조사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5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calfa pruinosa was first reported in 2009 in Gimhae persimmon farms in Korea, and in Chungnam province in 2011, they first occurred in Dangjin and Taean. M. pruinosa adults are known to lay eggs among the crevices beneath the bark of the host plants, and they are reported to lay mainly on Robinia pseuroacacia tree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ime and effort are too much to investigate by moving the 10 cm branch of R. pseudoacacia and removing the whole bark,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wintering eggs at different parts of branches from R. pseudoacacia and surveyed occurrence of them in Chungnam province. 14.5 times and 5.4 times more eggs were observed in the hair tissues of the twigs and thorms bases than the surface of R. pseudoacacia tree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ranche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branches. M. pruinosa in Chungnam province were mainly occurred in Taean, Geumsan and Dangjin, and showed patterns that occurred mainly in highways.
        45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해충 발생 추이를 보고자 시설토마토, 노지고추, 복숭아, 포도에서의 해충 발생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2015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조사 진행 중이며, 본 결과는 2017년 조사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토마토는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등 3종의 해충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가루이와 총채벌레는 4월 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 하순경에 최성기를 보였다. 고추는 6월 중순부터 총채벌레, 진딧물, 가루이의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가장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포도는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가 모든 농가에서 발생하여 주요 해충으로 판단되며, 총채벌레는 여름 이전에 고밀도를 보였으나 재배에 영향을 줄 정도의 피해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복숭아는 복숭아순나방,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관찰되었고 복숭아순나 방과 총채벌레는 모든 농가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농가 간에 차이가 컸으며 이는 농가마다 방제 시기와 방법에서의 차이로 보여 진다.
        4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ong-term biological monitoring data in domestic streams need to be appropriately analyzed. Food-web analysis using network-based approach can give ecological implications on these kinds of data by including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tructing food-webs as a preliminary step of the analysis. We used observed species list data for 8 years (2008-2015) provided in Water Information System (WIS), focusing cheonggye streams as a case study. On the basis of species interaction dataset extracted from Global Biotic Interactions (GloBI) database, 96 food-webs were constructed. In further studies, these food-webs could be analyzed in various ways such as static, dynamic and spatial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