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역행하고 있는 한국사회가 무슬림 및 이슬람 문화에 대한 고정 관념 및 정형화에서 벗어나 다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국내 무슬림 유학생의 적응 유연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razek and Mrazek(1987)은 12가지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Jew(1991)이 개발한 도구 ‘Resilience Belief System’을 번안한 김정득(2003)의 도 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먼저는 문화적․언어적 차이에 따른 적응유연성이의 차이 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아랍권, 동남아시아권, 동북아시아권 유학생 전체의 적응유 연성을 알아보았다. 지역적, 정서적 거리감이 멀다고 느끼는 아랍권 유학생과 지역적, 정서 적 거리감이 가깝다고 느껴지는 아시아권 유학생들 간의 적응유연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 본 결과 아랍권, 동남아시아권, 동북아시아권 유학생 사이에서 적응유연성의 차이가 유 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무슬림과 비무슬림(non-Muslim)의 종교적 배경으로 나 타나는 적응유연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무슬림과 비무슬림 유학생 사 이에서 적응유연성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무슬림 유학생 내에서 각각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적응유연성을 알 수 있었다.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에서 온 무슬림 유학생들의 지역, 성별, 결혼여부, 직업, 가족 형태에 따라서 적응유연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지역과 직업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곧 무슬림의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슬림일지라 도 개인의 환경, 지역사회, 문화와 민족의 역사적 배경 등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 나 본 연구에서의 표본이 그것을 정당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배경 요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무슬림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더 큰 시각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 무슬림의 다양성에 대한 탐색적, 예비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he evaluation and effects of mindfulness· acceptance, commitment(MAC) approach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in elite golf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e three golfers registered by KLPGA. All of golfers received the same measures given at pre- and post-7 treatment :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Bond et al 2000), golf performance (scores average, putting average, birdies average, GIR %, par save% par break%, recover average). MAC strategies of this study were mindfulness, acceptance, defusion, commitment, and value. Results: during 7 treatments of mindfulness⋅acceptance commitment, acceptance & acti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of three golfers was improved. Conclusion: MAC training is evaluate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the MAC training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golf players.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o learn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focus on current awareness, non-judgmental acceptance, decentralized attention of mindfulness, and commitment for value behavior. The detail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Fish generates thrust with a compliant fin which is known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a robotic dolphin, the velocity and the stability, was improved using an optimal compliant caudal fin under certain oscillating frequency. Optimal compliance of the caudal fin exists that maximizes the thrust at a certain oscillating frequency. Four different compliant fins were used to find the optimal compliance of the caudal fin at a certain frequency using the half-pi phase delay condition. The swimming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compliant fin increases the velocity of the robotic fish. The compliance of the caudal fin was also shown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robotic fish. A reactive motion at the head of the robotic dolphin causes fluctuation of the caudal fin. This phenomenon increases with the oscillating frequency. However, compliant fin reduced this fluctuation and increased the stability.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에서 오는 직무 스트레스와 개인 내적 요인인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등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고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 스트레스는 적응 유연성의 하위 척도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 효능감은 적응 유연성의 하위 척도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낮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자신감과 대인관계 효율성이 낮을수록, 낙관적 태도가 부족하고 분노 조절을 못할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 유연성의 하위 요인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는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적,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탐색과 더불어 이를 매개하는 개인 내적인 적응 요소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교사 발달 단계,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교사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또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심리적 소진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은 교사 발달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적응 유연성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지각된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에 따라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적응 유연성의 주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적응 유연성과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적응 유연성이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플라스틱 포장재는 PE(polyethylene: 두께 0.1mm)와 PP (polypropylene; 두께 0.1mm)를 이용하였다. 포장재각각에 흑미 쌀 과자를 각각 5개씩 밀봉하여 온도 2, 습도 65%가 유지되는 저장고에 5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1개월 간격으로 무게변화율, 색도, 경도, 수분 활성도, 산패도 등 물리ㆍ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활성도와 무게 변화율 이외에 색도, 경도, 산패도 등은 저장기간 동안 두 포장재 처리구간 별다
In this paper,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s to vibration control of flexible single link robot manipulator are ocnsidered. The architecture of neural networks is a hidden layer, which is comprised of self-recurrent one. Tow neural networks are utilized in a control system ; one as an identifier is called neuro identifier and the othe ra s a controller is called neuro controller. The neural networks can be used to approximate any continuous function to any desired degree of accuracy and the weights are updated by dynamic error-backpropagation algorithm(DEA). To guarantee concegence and to get faster learning, an approach that uses adaptive learning rates is developed by introducing a Lyapunov function. When a flexible manipulator is ratated by a motor through the fixed end, transverse vibration may occur. The motor torque should be controlle dinsuch as way, that the motor is rotated by a specified angle. while simulataneously stabilizing vibration of the flexible manipulators so that it is arrested as soon as possible at the end of rotation. Accurate vibration control of lightweight manipulator during the large body motions, as well as the flexural vibrations. Therefore, dynamic models for a flexible single link manipulator is derived, and LQR controller and nerual networks controller are compo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nerual networks control system is confirmed by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