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4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n from seeds of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g 2,4-D 3 or 5mg/l was used for callus induction,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volu
        3,000원
        4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차드그래스의 완숙 종자배양에서 배지 내에 첨가되는 copper의 농도가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캘러스의 유도는 의 2,4-D와 의 copper sulfate를 첨가한 MS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식물체 재분화는 의 NAA, 의 kinetin 및 의 copper sulfate가 첨가된 N6 배지를 이용하였다.그 결과, copper의 첨가는 캘러스 형성능력에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opper가 첨가된 배
        4,000원
        4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 종자로부터 직접 갤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데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ge and Skoog) 및 N6(Chu). 배지중에서 MS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시에는 2,4-D 를 첨가한 조건, 캘러스 증식시에는 2,4-D 을 첨가한 조건이
        4,000원
        47.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med out in order to establish plant regeneration via seed-derived callus of perennialryegrass.Varietal difference in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was obvious between two cultivars of perennialryegrass. "Reveille" showed a relative
        4,000원
        4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차드그래스의 종자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배양기간별 부정배 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유래의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였을 때, 세포 모양이 둥근것과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50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현탁배양 기간에 따른 갤러스의 부정배 형성과 식물체 분화율은 배양 60일째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현탁배양에서 배지 내에
        4,000원
        4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즈풋 트레포일 (Lotus corniculatus L. cv. Empire)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ng and Skoog), N6 (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 및 중식시에는 2,4-D 3 m g / ℓ 을 첨가한 조건이 가장 효율이 좋았다. 식물체 재분화 조건은 BOi2Y 배지에서 20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며 재분화를 완성한 조건 2가 더 좋았으며,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60일이었다.
        4,000원
        5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팔파의 하배축(hypocotyl)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하여 2.4-D 와 kinetin이 조합 처리된 MS 배지에 조직을 치상하였을 때 4주 후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2.4-D 4 m g / ℓ 와 kinetin 0.1 m g / ℓ 그리고 2.4-D 4 m g / ℓ 와 kinetin 0.5 m g / ℓ 조합에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를 MS 기본배지로 계대배양하였을 때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 하였다. 이차 체세포배 발생을 위하여 재분화된 기내식물의 자엽으로부 터 이차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2.4-D의 농도에 따라 배발생 캘러스의 형성률에 차이를 보였으며, 2.4-D 4 m g / ℓ 의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가 가장 좋았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이차 체세포배의 발생률을 2.4-D 0.1 m g / ℓ 첨가한 MS 배지에서 가장 좋았으며, 캘러스당 배 발생률이 일차 캘러스 보다 평균 18배 증가하여, 이차 체세포배 배양에 의한 재분화 식물체의 대량증식이 가능하였다. 성숙한 이차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 계대배양 하였을 때 뿌리가 유도되었으며 정상적인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4,000원
        51.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5품종의 오차드그라스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공시품종중 합성 19호가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SH, MS, N6 배지중에서 캘러스 유도시에는 MS 배지가, 재분화시에는 N6 배지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52.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품종의 알팔파 (Medicago sativa L.)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공시품종중 "Vernal" 품종이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SH(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ge and Skoog), N6 (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시에 모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캘러스 유도 및 증식시
        53.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팔파의 하배축 (hypocotyl)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하여 2,4-D와 kinetin이 조합 처리된 MS배지에 조직을 치상하였을 때 4주 후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2,4-D 4 mg/l와 kinetin 0.1 mg/l 그리고 2,4-D 4 mg/l와 kinetin 0.5mg/l 조합에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를 MS기본배지로 계대배양하였을때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 하였다. 이
        54.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 유래의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현탁배양기간별 부정배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한 바, 2주 간격으로 4회계 대배양 하였을 때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종자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현탁배양에서 모양이 둥근세포와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30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중략)
        55.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ennial ryegrass의 종자유래 캘러스 및 조직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 조사하였다. 종자유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품종, 배지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따른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다. Reveille과 Modus의 품종간 비교에서 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은 Reveille이 2,4-D 10mg/l에서 가장 좋았으며, MS배지가 SH, B5배지보다 더 좋았다.(중략)
        5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품종의 알팔파(Medicago sativa L.)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공시품종중 "Vernal" 품종이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SH(Schenk and Hildebrandt), MS(Murashige and Skoog), N6(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시에 모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캘러스 유도 및 증식시에는 2,4-D 3 m g / ℓ 을 첨가한 조건이 가장 효율이 좋았으며, 식물체 재분화 조건은 5 m g / ℓ 의 NAA (1-naphtalene acetic acid)와 2 m g / ℓ 의 kinetin (6-furfurylaminopur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8~30일간 배양하고, 11 m g / ℓ 의 2,4-D와 1 m g / ℓ 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5일 배양한 다음, 1.6 g / ℓ 의 ammonium sulfate와 5.75 g / ℓ 의 prol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1~25일 배양하며 재분화를 완성한 조건 3이 가장 효율이 좋았으며,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52~60일이었다.
        4,000원
        5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에서 캘러스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구명하기 위하여 품종간의 차이와 배지조성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바, 공시품종중 "Amba"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고, $N_6$ 수식 이미지 배지가 MS, $B_5$ 수식 이미지 배지보다 종자에서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이 무거웠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3 mg/L의 dicamba가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재분화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ㅍ
        4,000원
        58.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품종의 오차드그래스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공시품종증 합성 19호가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SH, MS, N6 배지주에서 캘러스 유도시에는 MS 배지가, 재분화시에는 N6 배지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별 배지중 호르몬 첨가는 캘러스 유도 및 증식시에 dicamba , 뿌리와 잎의 유도시에 NAA 와 kinetin , 재분화 완성기에 무
        4,000원
        59.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硏究)는 식물(植物)의 발생(發生)과 분화(分化)에 관(關)한 생화학적(生化學的)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구명(究明)을 위해 조직(組織) 발생(發生) 단계(段階)의 특이적인 유전자(遺傳子)의 발현조절 기작과 역할(役割)을 연구(硏究)하기 위한 기초(基礎) 지식을 얻고자 수행(遂行)되었다. 벼를 실험재료(實險材料)로 하여 현미로부터 callus를 유도(誘道)하고 이들 callus에서 여러가지 방법(方法)을 통(通)해 embryogenic callus와 nonembryogenic callus를 분리(分離)해 somatic embryogenesis에 관련된 특수한 단백질(蛋白質)을 찾고자 하였고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의 보고(報告)에 의하면 재분화가 잘되는 callus와 그렇지 않은 callus간에는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가 난다고 알려져 있다. 재분화가 잘되는 callus는 표면이 거칠고 흰색에 가까우며 조직(組織)이 단단하다. 반면에 재분화가 되지않는 callus는 표면(表面)에 윤기가 나며 단단하지 않다. 이러한 보고(報告)를 기초(基礎)로 하여 media에 1mg/1의 2,4-D가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 2주 정도 callus를 유기시키고 유기된 callus는 다시 배양(培養)하였다. 7-8차 계대배양하면서 embryogenic callus와 nonembryogenic callus를 분리(分離)한 다음 이를 시료(試料)로 하여 protein을 추출(抽出)하여 SDS-PAGE 상에서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結果) 두 callus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8차 계대배양한 두 종류(種類)의 callus로 부터 protein을 분리하여 two-dimensional gel 전기영동에 의해 비교하여 본 결과(結果) 몇 개의 단백질(蛋白質)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0.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완숙현미(完熟玄米)의 배(胚)로부터 유기(誘起)된 callus의 계대배양(繼代培養)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계대배양(繼代培養) 회수(回數), 기간(期間) 및 배지내(培地內)에 첨가(添加)되는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의 조성(組成) 등(等)과 같은 몇가지 요인(要因)에 대한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벼 callus의 계대배양(繼代培養)은 4주간격(週間隔)보다는 2주간격(週間隔)으로 배양(培養)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고 식물체(植物體) 재분화율(再分化率)은 품종(品種)과 계대배양(繼代培養) 기간(期間)에 따라 크게 상이(相異)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덕(盈德)벼"의 경우는 2주간격(週間隔)으로 4회(回) 계대배양(繼代培養)된 callus에서 72.5%의 가장 높은 재분화율(再分化率)을 보였으며, 4주간격(週間隔) 2회(回) 계대배양(繼代培養)된 callus에서도 58.3%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을 보였다. Callus유기(誘起) 배지(培地)에 CH(2g/1), MI(200mg/1), TH(2mg/1)등(等)을 첨가(添加)하면 callus생장량(生長量)도 많았고 식물체(植物體) 재분화율(再分化率)도 향상(向上)되었으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에는 kinetin단용(單用)보다는 kinetin과 NAA를 혼용(混用)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Callus 계대배양(繼代培養)에 CH, MI, TH 등(等)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를 이용(利用)하면 embryogenic callus의 발생량(發生量)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식물체(植物體) 재분화율(再分化率)도 높게 유지(維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