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maintain a rich biological diversity is important to develop for biomaterial resources such as Korean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the distribution of which is restricted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 assesse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a and Castanopsis sieboldii, the representativ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in order to establish a basis for conservation strategy related to distributional change in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un and shade leaves of the two species. Sun leaves in both species revealed higher light compensation point and maximum photosynthetic rate compared to the shade leaves. In addition,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Q. acuta than C. sieboldii, which was supported by a higher leaf nitrogen content and leaf mass per area. Water use efficiency was also higher in Q. acuta as compared to that in C. sieboldii. Similar photosynthetic rate, however, was shown in photosynthetic response to CO2 concentration in the intercellular sp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species could respond differently to the chang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limate chang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istributional changes resulting from a differential growth rate.
        42.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cold tolerance of 24 species broad-leaved evergreen trees in southern region, South Korea, and propose the selection for urban greening responsive to the climate change. The cold stressed impact of each species was measured and calculated by the electrolyte leakage (EL) method, and then the lethal temperature was predicted by th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cattered plots and fitted curves of most species tended to show sigmoidal response curve. On assessing the EL values and sigmoidal response curve pattern with different temperature, the differences were obviously showed among all the species. Also, among the species within the same family, the differences were obviously showed.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was over 10℃. Between Ilex rutunda and Ilex integra within the same family, Aquifoliaceae, it was over 10℃.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d tolerance among different species in the same region, which are not affected by any environmental factors but affected by any genetical factors. Thus it is valuable to assess the cold tolerance on most broad-leaved evergreen trees in southern region, South Korea. As a result, Euonymus japonicus, Trachelospermum asiaticum, Dendropanax morbiferus, Ilex integra, Machilus thunbergii, Ilex x wandoensis, Cinnamomum japonicum, Distylium racemosum, and Castanopsis sieboldii may have better cold tolerance and survive the region closer to middle regio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others.
        4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도시경관의 향상과 생태적 건전성을 위해 조경용 상록활 엽수 종자 및 묘목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가 시나무에 대하여 채종시기와 종자크기에 따른 종자발아 및 유묘생 장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남부산 림자원연구소(N35°09’58.62”, E128°06’23.42”, 67m)에 식재 된 종가시나무에서 2011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30일 간격으 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크기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하고 종자특 성과 발아 및 유묘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자의 수 분함량은 채종을 개시한 11월에서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점차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배의 피해가 증가하 며 특히 대립에서 더욱더 많은 피해가 나타냈다. 발아율은 채종경 과일수와 종자 내 배의 피해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 을 나타냈고, 종자크기와는 뚜렷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12월 까지 채종된 종자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지만 이후에는 점차 발아율 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아속도, 발아지수, T50값도 11월과 12월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유묘생장은 채종경과일수와 상관 을 나타내지 않았고, 종자크기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종 자크기가 클수록 총 건중량이 높게 나타냈으며, 11월부터 12월까 지 묘목품질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건전 한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을 위해서 종가시나무의 채종시기는 12월 까지가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큰 종자를 선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4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over 25 years (between 1986 and 2010),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some conditions (the vegetation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s WI, CI, mean annual temperature, mean annual total precipitation etc.)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ong-Do island. The EBLF is classified into five units of vegetation (Hedera rhombe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M-M comm.), Castanopsis sieboldii forest (Machilus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C. sieboldii community), community (Qa comm.), Carpinus turczaninovii community (Ct comm.), Camellia japonica stand (Cj st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by CCA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nd it did the succession (transition) that the M-M comm. (2010) from Mallotus japonicus community・Machilus thunbergii community・Carpinus coreana community (Cc comm.)・Aucuba japonica community (Aj comm.)・Trachelos 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Quercus acuta community (TQ comm.) (1986), the communities of C. sieboldii forest (2010) from Aj comm.・TQ comm.・Raphiolepis umbella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RC comm.) (1986), the Qa comm. (2010) from Ardisia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C comm.) and TQ comm. (1986), the Ct comm. (2010) from Cc comm.・RC comm.・Aj comm.・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the Cj stand (2010) from AC comm. (1986).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re also changed.
        45.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a vegetation and an environment, a species diversity and a life-form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EBLF) located in Gageo-do Island. It is also the objective that the estimation of vegetation change found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The vegetation of EBLF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s or four community units as Machilus thunbergii forest (Polystichum polyblepharon-M. thunbergii community and Phaenosperma globosum-M. thunbergii community), Ilex integr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Neolitsea sericea stand. The ordination analysis by DCA is analogous with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ltitude has the signific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The total vegetation change by progress of succession will not be wandered away from the present vegetation structure practically, and the vegetation on the underlayers will be a little changed.
        46.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상록활엽수 묘목의 효과적인 재배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광환경 변화에 따른 상록활엽수 4수종의 형태적․생리적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조록나무, 붓순나무, 새덕이나무는 95%차광까지 차광률에 비례하여 엽면적의 증가를 나타냈고, 35%차광에서 가장 높은 엽수를 나타냈다. 조록나무는 95%차광에서 뚜렷한 가지수의 감소를 나타냈다. 멀꿀은 35%차광에서 가장 높은 엽면적, 엽수, 가지수를 나타냈다. 광보상점과 총 엽록소함량은 조록나무, 붓순나무, 멀꿀에서 95%차광까지 차광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 감소와 증가를 나타냈다. 새덕이나무는 35%차광에서 가장 낮은 광보상점과 총 엽록소함량을 나타냈다. 품질지수는 조록나무에서 95%차광까지 차광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붓순나무와 새덕이나무는 95%차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품질질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멀꿀는 95%차광까지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시된 상록활엽수 4종은 95%의 저광도 조건에서도 생육하는 내음성이 강한 수종이지만, 지하부와 지상부가 균형을 이루는 우량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정 광조건으로 35% 차광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4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가지 인공배합토 모두는 용적밀도와 포장용수량을 고려할 때에 초본류를 적용한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뿐만 아니라 관목류를 적용한 혼합형 또는 관리․중량형 옥상녹화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간이 경과하며 인공배합토 모두는 산성화되며 펄라이트 소립과 펄라이트 소립+일반토양(v/v, 2:1)은 적정한 수준을 나타냈고, 세라소일과 세라소일+자연토양(부피비, 2:1)은 알칼리성을 나타냈다. 펄라이트 소립과 펄라이트 소립+일반토양(v/v, 2:1)은 유기물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식재 후 1년이 경과한 후에 4가지 인공배합토 모두는 척박하며 건전한 생육을 저해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 후 1년이 경과한 후에 4가지 인공배합토에서 자란 3종의 상록활엽수는 먼저 6개월이 경과한 후에서의 식물체와 비교하여 불량한 생육을 보였고, 4가지 인공배합토 상호간에도 서로 다른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다정큼나무는 세라소일, 세라소일+일반토양(v/v, 2: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고, 남천은 4종의 인공배합토 모두에서 일반토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생육량을 나타냈으며, 영산홍은 펄라이트, 펄라이트+일반토양(v/v, 2: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다. 이것은 보다 건전한 식물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 각각의 상록활엽관목의 생육특성을 고려한 인공배합토의 선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상록활엽관목을 옥상녹화에 도입하기 위하여 각각의 인공배합토에서 그 생육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4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상가치가 높은 상록활엽수 4종에 대하여 실내조경소재로서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차광률 0, 35, 50, 75, 95%로 달리하여 실험구를 조성하고 생육상태와 광합성반응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으로 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육특성을 살펴볼 때, 까마귀쪽나무와 돈나무는 차광률 95%까지 그리고 금목서와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75%까지 양호한 생육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 변화는 생육특성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상대적으로 까마귀쪽나무와 돈나무는 차광률 35~95% 범위에서 차광 정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순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금목서와 홍가시나무는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고 차광률 95%에서는 오히려 총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광합성능력은 4수종에서 3가지 유형의 순응 반응을 나타냈다. 차광률 95%에서 불량한 생육을 보인 금목서와 양호한 생육을 보인 돈나무는 전형적인 양엽과 음엽에서 나타는 광합성능력 차이를 나타냈다. 돈나무와 유사하게 차광률 95%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인 까마쪽나무는 양엽과 음엽 간에 광합성능력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양수에 가까운 중용수로서 차광률 95%에서 불량한 생육을 보인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35%에서 가장 높은 광합성능력을 나타냈다. 최종으로 각 수종에서 차광에 따른 광환경의 순응 정도, 즉 내음성을 광보상점으로 평가하면, 금목서는 차광률 75%인 968lux 이상, 까마귀쪽나무는 차광률 95%인 273lux 이상, 돈나무는 차광률 95%인 331lux 이상,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75%인 565lux 이상의 광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