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first results of a wide field survey for planetary nebulae throughout M31 undertaken at the KPNO 0.9m telescope with the Mosaic camera. So far, images in [O III]⋋5007 and its continuum filter have been analyzed. Our survey appears to be at least 90% complete to about 2 mag below the peak of the planetary nebula luminosity function. Over 900 planetary nebulae candidates have been found within a 12 square degree area.
        3,000원
        42.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질조사는 제7차 지구과학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을 배우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시간, 거리,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실제로 학생들이 야외지질조사를 나가서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 일대를 선정하여 가상야외지질조사의 웹 컨텐츠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 웹 컨텐츠는 주 메뉴, 부메뉴, 내용의 3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존웹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탐구 학습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였고 웹 컨텐츠는 실제 야외지질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4,000원
        4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양액재배 36개 농가의 원수를 채취하여 무기이온을 중심으로 한 수질상태를 분석하여 배양액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양액 재배에 이용되는 원수의 수질 분석 결과에서 pH의 수준은 5.95-7.61로서 평균 6.75이었다. 전기전도도(EC)의 분포범위는 0.07-0.97 mS/cm로서 비교적 넓었으며 평균 0.35 mS/cm이었다. 원수의 전기전도도가 0.5 mS/cm를 넘는 농가가 19.5%로 이들 농가는 배양액 조성 및 관리에 주의가 요구되었다. Na과 Cl의 분포범위는 각각 5.0-41.4 ppm, 10-99 ppm로서 평균 20.38 ppm, 35.16 ppm이었다. 75%의 농가가 Na 기준치인 11.5ppm을 넘었고, 33.3% 농가는 Cl 기준치인 35.5 ppm을 넘어 배지경에서 염류집적의 우려가 있었다. Ca 및 Mg의 분포범위는 각각 1.60 131 ppm, 0.96-34.1 ppm로서 평균 26.11 ppm, 8.10 ppm이었다. HCO3의 분포범위는 24-295 ppm로서 평균 63.13 ppm이었다. Fe의 분포범위는 0.01-0.87 ppm로서 평균 0.14 ppm이었다. 이 결과는 고형배지경 기준인 0.03 ppm을 60%의 농가가 상회하여 Fe 제거의 필요성이 있었다.
        4,000원
        44.
        197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1975년 11월 4일부터 11일 사이에 전북지방의 답작지대에서 의 면적내에 서식하는 거미를 채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늦가을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우점종은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황산적거미(Piratasubpiraticus), 혹황갈애접시거미(Gnathonarium gibberum), 등줄애접시거미(Oedothorax insecticeps)이다. 2. 단위면적당의, 평균서식밀도는 이리에서 125 마리, 진안 102마리, 부안 133마리, 대장 58마리였다. 3. 논거미로서 혹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gibberum), 착살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japonica), 톱니애접시거미(Erigone prominens), 혹갈애접시거미(Erigonidium graminicola) 여덟점꼬마거미(Theridion octomaculaculatum) 들늑대거미 (Lycosa pseudoannulata), 가는줄맛거미(Dolomedes angustivirgatus) 등의 7종이 추가되어 우리나라의 논거미는 55종이 된다.
        4,000원
        45.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저지진에 의해 촉발되는 파괴적인 지진해일은 지진의 진원지 부근은 물론 멀리 떨어진 해안지역에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은 많은 인구밀집지역과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하고 있어 예상하지 못한 지진해일의 내습으로부터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진해일 현장조사, 방재대책 및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주제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4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cultivated crop database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survey over Daesso-myeon, Umsung-gun, Chungbuk. When comparing with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cadastral maps, Daeso-myeon crop field shows 29.8%(2,030 parcels out of 6,822 parcels) is either mismatched or missing. It covers almost 19.3%(3.4km2 of 17.6km2) of total farmlan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ultifaceted plan including cadastral ma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the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the field survey agreed only in 3,622 parcels in total 6,822 parcels whereas 3200 parcels disagree. Among these disagreed parcels 2,030(29.8%) have been confirmed as unregistered farm business entity. Accuracy of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agreed in 75.6% cases. Especially the paddy field registration is more accurate that other crops. These discrepancies can lead to false payment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For exploration and analysis of regional resources, UAV images can be used together with farm business management database and cadastral map to get a clearer grasp over on-site resources and conditions.
        4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바다낚시인의 증가 따른 낚시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고 바다낚시를 해양레저로 정착시키며 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돕 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측면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개선사항 및 새로운 바다낚시공원의 계획을 위한 시설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설측면의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9군데 바다낚시공원과 2 군대 바다목장을 대상으로 시설운영 현황조사 및 시설관리인 인터뷰조사를 실시하고 바다낚시공원, 어촌체험마을 등 25군데 바다낚시시설에 서 낚시인을 대상으로 시설요구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가족단위 낚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안전시설 및 화장실, 휴게시 설 등의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초보자를 위한 가두리낚시터 등의 교육, 체험시설의 필요성과 캠핑장, 해변공원, 산책로 등의 낚시활동 외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 도입에 대한 요구가 높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바다낚시공원은 낚시활동을 중심으로 한 복합레저공간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낚시공원 내 활동요구사항에 적합한 시설구성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
        4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bile application to support field survey on earthquake damage buildings and to shorten the surveying time. The results from the mobile are transmitted to a data managing program. And it displays a surveyed-place and result and suggests static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effectively responds to earthquake disaster.
        5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which is provid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ural community by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To achieve this,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atial structure of rural area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then we have examined the applicability through case studies after modification work which is based on experts's discussion and rearrangement by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lassified productivity area, residential area, community area in first group and this classification is divided into 6 space to production, 4 space to residence, 5 space to community in second group by literature search,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and field survey. The subject elements surveyed a total of 123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dditionally, 1 element at a space to production and space to community in field survey for types in zoning cases. As a result, categories and items are decided that it is included 125 target elements.
        5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하천에서 사주 상 식생 활착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이대부분인이른바 'White River (백사장하천)'이었으나, 1970년대이후댐건설, 하천정비등으로유황과유사이 송특성이 교란되어수변에 식생이번무하게 되는이른바 'Green River (식생하천)'가진행중이다. 본 연구는비조절하천사주 상 식생활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수위, 수온, 강우, 토양수분, 토양입경 등의 상호연관
        5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이변으로 인한 대규모 자연재난과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는 대형 인적재난의 피해를 해마다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재난은 대형화, 복잡화되어 가고 있어 재난대응에 있어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 환경에 따라 재난발생시 반복되는 재난현장 대응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방대원의 의식 조사를 통하여 재난현장 대응체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55.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한 국내외 허용오차 관련기준을 검토하여, 현행 국내 허용오차 기준의 수준을 검토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시공오차 측정방법과 측정기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시공오차를 조사하여 현재 국내 시공오차 허용범위 만족도를 검토하고, 구조체의 저항능력 평가 시, 부재크기 오차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5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노출로부터 야기되는 콘크리트 열화 중에서, 도심지 및 지하구조물의 탄산화에 대한 문제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예측에 사용되는 예측식은 국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외국의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예측식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오차를 수반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환경에 따라 탄산화 깊이를 예측할 수 탄산화 예측식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탄산화 예측식을 분석하였으며,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환경을 고려한 보정계수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보정계수를 강도의 함수로 구현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환경에 따른 탄산화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59.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 6~9월의 강수량이 1,042mm, 강수일수가 60일이나 되어 배수조건이 나쁜 포장의 밭작물에 습해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안동지역에서 습해정도에 따른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방풍은 습해가 심할수륵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육장해가 더 심하였으며, 주근의 신장생장이 비대생장보다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습해 정도별로 ha당 생근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21~80% 감소되었다. 지황은 습해 정도별로 고사주율이 52%였으며, 습해에 의하여 근경의 형성 및 발육이 장해를 받아 습해가 심할수록 주당 근경수와 근경의 직경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습해가 심할수록 상품성이 높은 근경의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습해 정도별로 ha당 근경의 생체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19~83%감소되었다.
        60.
        199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tual condition of farmstead, mainly livestock facility, was surveyed in ChungChongBukDo in order to find out factors and problems of farmstead planning design. From the data collected, a type, plot, size and scope of farmstead, relationship of house and farmstead, topography, climate, proprietor's opinion on them were analyzed or obtained as the basic design criteria for planning: designs. The best type of farmsteads was individual farm having livestock facilities. They were mostly breeding a kind of livestock without their plan and Bone planning at residing area. The south aspect of the facility was extremely much and slope of the land was mostly 15。 below. Wind blows from East-South in summer and winter wind are West-North extremely much. Sun heat was mostly above 6 hours. In the case of collective and composite farmstead, proprietors wanted that a head of cow has 1,000-3,000 pyeong, the area of facility has 1,500-2,000 pyeong, total area of farmstead has 45,000-400,000 pyeong and an estimated expense is 0.2 - 1.5 billion won. Farmstead planning design was proposed through field survey results and contents of'references. Examples of farmstead planning design were composite and concentrated type and exi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road(North, South, East, and Wes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