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4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예비 해기사 교육의 일환으로 심화교육의 일환으로 IMO 활동, 국제적인 주요협약 및 규정의 종류, 체계 및 전반적인 내용이해를 교육하기 위한 산학간 해기사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전체적 교육의 구성, 교육결과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교육의 결과로서 미래 해기사의 IMO 활동에 대한 관심을 드높이고,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을 통한 국가 의제개발의 씨앗을 창출해내 는 역할이 기대되고, 해기사의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부수적인 잇점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3,000원
        45.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IMO)는 어선 안전에 관한 최초의 국제 협약인 1977 어선안전을 위한 토레몰리노스 국제협약이 발효요건을 충족 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대체하는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동 의정서 역시 현재까지 그 발효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발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는 동 의정서를 발효시킬 목적으로 의정서의 요건을 또 다시 완화하는 내용의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 시행에 관한 협정(또는 총회 결의)”의 초안을 개발할 것을 해당 전문위원회인 복원성, 만재 흘수선, 어선안전 전문위원회(SLF)에 지시하였고 SLF는 제53차 회의(‘11.01)까지 그 초안 작업을 완료한 후 제27차 총회(’11.11)에서 이 를 채택할 계획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대응하고 만약의 1993 의정서 발효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써 본 연구는 그 동안 IMO에서 추진하여 왔던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의 발효를 위한 활동과 내용을 담고 있다.
        4,000원
        46.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원조를 필요로 하는 선박에 선박 피난처를 제공하도록 결의서 Res. A949(23)로 채택하였고, ‘도움이 필요 로 하는 선박’에 대한 피난처 제공에 따른 안내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MO의 피난처 제공에 따른 가이드 라인과 알래스카의 피난처 제공 방안(절차)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국재 피난처 마련을 위한 고려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000원
        4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사고조사는 해양에서 발생한 사고 및 준사고에 대해 조사하여 원인을 규명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사고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사안전관련 협약 및 관련 국내 법규를 채택하고 개정한다. 특히,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해양사고의 조사에 있어 각국이 협조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보고하며, 동 보고에 근거하여 새로운 국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사고의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규정한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안전성심판제도를 통해 해양에서의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분석하고 해양안전심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코드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사고조사제도인 해양안전심판제도에 있어서 반영되고 개정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향후 제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이에는 특히, 조사기관의 독립과 조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국선심판변론제도 몇 선원인권보장 등이 포함된다.
        4,000원
        48.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Japanese measures against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and Japanes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 XII of UNCLOS and the IMO marine environmental treaties will be addressed in brief. Secondly, Japanese implementation of the IMO treaties will be addressed in the context of the regulations regarding both dumping waste into the sea from vessels and marine pollution from vessels. Finally, this paper will clarify the problems regarding the Japanese implement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treaties.
        4,000원
        4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검토되는 의제들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면, 내용도 목적기반선박건조기준(GBS), 선체보호도료의 성능기준개발(PSPC), 선박장거리위치추적제도(LRIT) 등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국제적인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IMO 각 위원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및 활동현황을 조사 분석해 본 결과, A그룹 이사국 지위에 맞는 역할 수행이 아직 미흡하고 정부의 IMO 대응능력을 지속적으로 뒷받침 할 연구지원 인프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은 국가차원에서 국제해사동향에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절실히 인지하여야 하며, 국제해사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국내외 인프라 완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51.
        200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5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IMO)는 회원국 정부에 대해 SOLAS, MARPOL, STCW, LL, TONNAGE, COLREG 등 6개 주요 국제협약의 이행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회원국 감사제도(MAS)를 채택하고 있다. 이 감사제도는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 실시하는 자발적인 감사이나 우리나라는 국제신인도 및 해운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수감을 준비하고 있다. 본 연구는 MAS 대상 6개 협약의 이행 현황 분석을 토대로 MAS 수감에 소요되는 비용과 감사 결과의 효과를 계량화하여 동 감사제도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MAS 도입에 따른 비용편익분석 결과 편익/비용 비율이 200 정도로 나타나 투자비용에 비해 편익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5.
        202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January 1, 2020,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s implemented a global regulation, known as IMO 2020, to reduce the sulfur content in fuel oil of ships from 3.5% to 0.5%. In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air monitoring stations to evaluate the change in air quality at New Port and North Port in Korea areas after the regulation was implemented. The concentration of SO2 and NO2 was higher in the port areas than in the surrounding areas due to exhaust gas from ships and vehicles. However, the SO2 concentration decreased by more than 50% in the port area, demonstrating the efficiency and positive effect of the IMO 2020 sulfur limit.
        5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mportance of clea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t sea has been greatly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in multiculturalism on board both ocean-going and coastal vessels, an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nglish training based on 'Knowledge, Understanding, and Proficiency' specified in STCW has also been recognized. With these growing needs in mind,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updated the Maritime English (ME) Model Course 3.17 in 2015 by providing guidelines on language education within two separate categories, General Maritime English (GME) and Specialized Maritime English (SME). The IMO is now attempting to create a new, global framework of ME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is this new course model must first be thoroughly understood in order to explore the ways to apply the modified version into the context of current ME education in Korea and to design an updated language curriculum. Therefore, the general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w model course will be explained in this paper, and the course focus set by IMO and to be considered and/or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will be closely examined. Finally, suggestions will be made on how to implement this revised model course in practice with the following focus: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curriculum for GME and SME; the provision of practical teaching guidance through relevant online and offline materials for class and self-study; and the establishment of qualification guidelines and a teaching support system for language teachers in maritime and language education.
        57.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nternational Maritime English Organization (IMO) model course for Maritime English has been recently revised and updated, the requirements of current changes to both the 2010 STCW Manila Amendments and English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reviewed.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language teaching, a wide range of new pedagogical approaches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re also suggested.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spread of Business English as a Lingua Franca (BELF) and its critical importance in maritime communication, the pedagogical approaches need to be re-evaluated, specifically in terms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order to emphasize clea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international interlocutors. Therefore, the core pedagogical elements of pronunciation should be clearly set and provided with consideration for Lingua Franca Core (LFC), which places importance on mutual intelligibility rather than following the rules of native speakers. In this paper, the current trends of BELF in the maritime industry will thus be introduced. Following this, the importance of LFC in maritime communication will be outlined, and its key features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clarity of international maritime communications. Finally, a close comparison between LFC and the pronunciation guidelines suggested by the IMO Maritime English model course 3.17 will be conducted,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ing pronunciation in cross-cultural global maritime industry will be suggested.
        5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ynamic Positioning System(DPS)은 그 신뢰성 및 redundancy(대체) 시스템에 따라 IMO 및 각 선급에서 3개의 class(등급)로 나 누고 있다. IMO MSC/Circ 645에 의하면 DPS는 Class 1, 2, 및 3로 나누고 있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좀 더 신뢰성 있고 안전하게 DP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많은 DP Class 선박들이 건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DP Class 1선박의 개조를 통해서 DP Class 2로 변경하거나 DP Class 2선박을 신조 또는 중고선으로 구입하는 경우 무엇을 검토하고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무 자료가 부족하고, DP Class 1 선박을 Class 2로 변경하여 다시 매도하는 새로운 산업분야의 개척에 있어 국내 사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P Class 1선박을 DP Class 2 선박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IMO 및 선급의 DP class 요건의 충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서 어떠한 설비의 변경 및 추가가 필요한지를 국내에서 있었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연구해 보았다. DP 선박 Class 변경을 위해서는 FMEA를 통해서 파악되는 DP 선박의 동력 시스템, thruster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3가지의 주요 시스템에 대체(redundancy)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동 력 시스템은 단일의 발전기, 배전반등에 문제가 발생해도 DP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PMS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thruster 시스템은 단일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선박의 Surge, Sway 및 Yaw를 남은 thruster 시스템으로 자동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각종 제어 시스템, PRS 및 센서는 여러개를 설치하여 단일의 장비고장에도 DP 기능을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59.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O에서는 2003년 12월 제23차 총회에서 ‘Guidelines on places of refuge for ships in need of assistance’를 총회 결의서 Res. A.949(23)으로 채택하여, IMO 협약국에 선박 피난처를 지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선박 피난처란 ‘원조를 필요로 하는 선박이 선박을 정상 상태로 복원하고 항해의 위험을 줄이고 인명이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장소’라고 IMO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선박 피난처를 지정·운영하는 것은 자국의 연안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국가적으로 아주 예민한 문제이다. 그러나 선박 피난처를 지정·운 영하는 것은 해양 사고로 인한 2차적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여, 환경적·재산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현재 외국의 여러 국가에서는 선박 피난처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별로 선박 피난처 입지 선정 방법·기준이 달랐으며 표준화된 선박 피난처 입지 선정 모델은 없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선박 피난처 제도의 도입 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선박 피난처 입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외국의 선박 피 난처 입지 선정 시 고려되었던 요소들을 검토·분석 하였으며, 이러한 고려 요소들의 정성적인 자료를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하여 객관적인 지 표에 따른 선박 피난처 입지 지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피난처 입지 지정 모델은 선박 해양 개연성 평가, 입지 분석, 지원 시설의 접 근성 평가 과정을 통하여 최종 선박 피난처 입지를 제시하였다.
        60.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퍼지 TOPSIS법과 AHP법을 이용하여 IMO 정보관리시스템의 예비과제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평가를 위해 먼저 24개의 예비과제를 추출하여 FSM법을 이용하여 대체안을 구조화하였고, 최종 4개의 주요 예비과제를 도출한다. 또한 평가항목간의 가중치는 의사결정자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평가가 가능한 AHP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AHP법은 비교대상의 수가 증가하면 쌍대비교의 횟수가 증가하고, 평가에는 수많은 애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종 우선순위 선정에는 TOPSIS에 퍼지이론을 도입한 퍼지 TOPSIS법을 이용한다. 그 결과 IMO 기준정보관리, IMO 정보기준전달, IMO 통합데이터베이스, IMO 지식허브 순으로 구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