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2.
        199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β-heat treatment on th microstructure, mechanical properties and texture in the nuclear fuel cladding of Zircaloy-4 tubes was chosen at 1000, 1100 and 1200˚C, and the tubes were heat-treated by a high frequency vacuum induction furnace. Morphology of the second phase particles and α-grain of as-received tubes were markedly changed by heat treatment. The average sizes of second phase particles of as-received and β-heat treated tubes were 0.1μm and 0.076μm, respectively. However, the average sizes of second phase particles were not much changed in the β-heated temperatures.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s, the 0.2% yield strength and the hoop strength were decreased because of changes in preferred orientation as will as α-plate width. Heat treated Zircaloy-4 tubes exhibited texture changes but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grains still remained.
        4,000원
        4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mpact energy in 93W heavy alloy with a Ni/Fe ratio of 9/1 has been carried out as a function of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traditional alloy system in which the Ni/Fe ratio is 7/3 or 8/2.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from 1150 to 125, the impact energy of the alloy with the Ni/Fe ratio of 9/1 is remarkably increased from 42 to 72 J,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alloy, up to 118 and then saturated. Fracture mode was also changed from brittle W/W boundary failure to W cleavage. The temperature showing the dramatic shrinkage by dilatometric anaysis of the heavy alloy with Ni/Fe ratio of 9/1 was found to be 1483 , which is higher than that (146) of the heavy alloy with Ni/Fe ratio of 7/3. Auger Electron Spectroscopy showed that the segregation of impurities, such as S, P, and C in W/W grain boundary was considerably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from 1150 to l18.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mpurity segregation in W/W grain boundary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ecrease of impact properties, and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should be appropriately chosen, as considering the Ni/Fe ratio of the alloy, in order to get good impact properties.
        4,000원
        44.
        199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50AI합금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2단시효처리의 영향을 투과전자현미경, 열분석, 경도시험 및 인장 시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20˚C에서 6시간 1차 시효처리한 후 165˚C와 175˚C에서 2차 시효처리하였을때 165˚C에서는 6시간 시효시 최대경도값 201.3Hv를 나타내었고, 175˚C에서는 3시간 시효처리하였을때 최대경도값 197Hv를 나타내었다.
        4,000원
        4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M high speed steel of ASP 30 grade was austenitized, gas quenched and tempered at various conditional.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bend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were evaluated after heat treatment. The microstructure and the type and volume fraction of carbides were analyzed by an optical microscope, image analyzer and XRD. The primary carbides after the heat treatment were MC and type. The volume of the total carbide varied from 10 to 15% depending on the austenitizing and tempering temperature. The tempering temperature for maximum hardness was at around 52. But the maximum bend strength was obtained at about 55. The fracture toughness was large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retained austenite after gas quenching and secondary hardening during tempering.
        4,000원
        46.
        199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탕단조법에 의해 제조된 Mg-6AI-xZn(x=0,1,2)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시효열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조상태에서의 미세조직은 초정 Mg고용체, 과포화된 상태의 Mg상, 응고과정에서 형성된 β(Mg17AI12)화합물 등 3개의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용체화처리 수 200˚C및 240˚C에서 시효열처리한 결과 Mg-6AI-xZn(x=0,1,2)합금은 β 석출물에 의한 피크 경도값이 나타났으며, 석출물의 형태는 200˚C에서는 lamella 형태의 불연속 석출물이, 240˚C에서는 미세분산분포된 연속석출물의 형태를 보였다. 용탕단조방법에 의해 제조된Mg-6AI-xZn합금의 기계적 성질은 사형주조법에 비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Zn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Zn의 고용강화 효과에 따라 강도값이 증가되었다.
        4,000원
        47.
        1995.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용 디젤엔진 부품 크랭크샤프트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화학 성분과 열처리 공정의 영향을 인장시험기, 경도시험기, 충격시험기와 광학현미경으로 조사연구하였다. 시행된 4가지 열처리공정중 다음의 열처리 공정인 노말라이징→TR단조→?칭→템퍼링이 최적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냈다. 이때 기계적인 성질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크기, 냉각 속도,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와 오스테나이트화 유지 시간에 의존하였다.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는 TR단조 후의 초기 결정입도 크기에 의존하고, 냉각 속도는 C-곡선 Nose를 지나야 하고,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는 탄소 함량에 의존하고 그리고 오스테나이트화 유지 시간은 저어널지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50.
        1995.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를 함유한 2종의 저합금 고장력강(HSLA-A, HSLA-B)?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시효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Cu첨가로 석출물을 생성시킴으로서 2합금 모두 650˚C에서 시효한 경우 양호한 강도(HSLA-A:Y.S 703Mpa, E.L 22.6% HSLA-B:Y.S 810 Mpa, E.L 23.8%)와 인성(HSLA-A:271.4J, HSLA-B:197.5J at -50˚C)의 조합을 나타내었다. 500˚C에서 시효할 때 가장 높은 항복 강도를 나타내나 인성은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500˚C이상 시효 온도가 증가하면 강도는 감소하고 인성은 증가하였다. HSLA-B강의 강도가 HSLA-A 강보다 높은데, ?칭 상태에서의 강도 차이는 경화능을 증가시키는 원소인 Ni, Mn, Mo, Cu의 첨가량 차이에 의한 기지 조직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시효한 상태에서의 강도 차이는 기지 조직과 석출 강화에 기여하는 Cu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효 경화 곡선에서 700˚C에서의 경도 증가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영역으로부터 냉각시 생성된 “M-A constituents”에 의한 것이다. HSLA-A강과 HSLA-B강의 충격 천이 온도는 각각 -125˚C와 -145˚C이었다.
        4,300원
        52.
        199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N계 탄소섬유 roving 및 fabric을 2170˚C에서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탄소섬유 fabric과 행한 것을 사용하고, Autoclave를 이용하여, CFRP와 CFRP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열처리를 행한 탄소섬유 roving과 행하지 않은것 및 두종류의 성형체의 분석을 통하여, 열처리에 따른 탄소섬유 및 탄소복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열처리 후 성유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탄소섬유의 직경이 6.8μ m에서 6.4μ m으로 감소하였으며, 열중량분석을 행한 결과 내산화성이 증진되었음을 알았다. 단섬유인장실험 결과 인장강도는 탄소섬유의 (3.11± 0.32)× 103 MPa 에서 열처리 섬유의 (1.87± 0.26)× 103MPa으로 감소되었으나, 탄성율은 탄소섬유의 (1.94± 0.06)× 105 MPa에서 열처리 섬유의 (2.02± 0.11)× 105MPa으로 증가하였다. 층간전단강도 측정 실험을 한 결과 그 값이 CFRP(148.8±1.6Mpa)가 CFRP(82.2±1.1Mpa)에 비하여 높음을 알 수 있었고, torch test 결과 CFRP는 층간분리 없이 매끄러운 삭마가 일어나나, GFRP는 층간분리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se of mechanical treatment (MT) for preparing solid refuse fuel (SRF) using municipal solid waste has been growing in Korea. One of the problems with using this treatment measure is the generation of residual waste from the MT, which will not be contained in the SRF. Most of this waste will be dumped into landfill instead of being used for the production of SRF. Much of the waste will be organic portions originating from food and biodegradable wastes. Consequently, the organic portion dumped into the landfill generates methane gas, which is a strong greenhouse gas. In this paper, the waste from MT was investigated directly at the MT facility located at Su-Do-Kwon landfill site to develop proper treatment measures to avoid disposing of the MT waste in landfill, which is prohibited in Germany and England.
        5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에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매립, 소각,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은 부산물 발생으로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소각 및 매립시설을 보완하기 위해 정책과 R&D 사업을 통해 다양한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2007년부터 가정,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에서 자원화 및 에너지화 가능한 물질을 최대한 회수하여 소각 및 매립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전국에 약 20여기가 가동 및 건설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가동 중에 있는 전처리시설에서 자원화 및 에너지화 물질을 회수한 나머지인 저품위 혼합폐기물 약 40%이상이 고함수율(40%이상) 상태로 배출되고 있어 지역에 따라 소각 또는 매립처리되고 있다. 저품위 혼합폐기물의 배출상태는 대부분 입도 선별된 물질과 기계선별이 되지 않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어 입도가 작고, 유기물이 엉켜있어 수분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저품위 혼합폐기물내에는 기계식 선별장치로 선별되지 못한 가연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기존 시설을 보완하여 소각 및 매립되는 폐기물 양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 및 매립으로부터 발생되는 2차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저품위 혼합폐기물을 대상으로 건조공정 이후 간단한 기계식 선별로 가연물을 회수한 다음 회수된 가연물로부터 에너지원 활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