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 프로그램 교수방법을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비전을 가지고 아동 자신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와의 관계형성을 통해 존엄성과 가치를 가진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번트리더십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 저학년 아동 총 2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해피온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서번트리더십 향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코칭 프로그램이 서번트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전 검사에서 동질하였던 두 집단의 사후 검사를 비교하여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5,100원
        4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behavioral-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innovative behavior, and mediator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and mediator effect, data obtained from 140 employees working in business office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behavioral-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trust in supervisor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ust in supervisor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rust in supervisor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behavioral-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300원
        43.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도와 경기도, 경상도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2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및 우편, 직접 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셀프리더십 질문지, 행복감 질문지, 이직의도 질문지, 근무환경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와 백분율 산출, 신뢰도 검증, 적률상관분석, 경로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 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근무환경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행복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근무환경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보다 질 높은 근무환경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44.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L), procedural justice (PJ), and training (T) on employee performance (EP) mediated by self-efficacy (S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Rumah Sakit Umum Daerah (RSUD) M.Th. Djaman, a hospital in Sanggau Regency, while the subjects are the institution’s staff. Data collection search uses purposive sampling with a total of 120 samples. Data a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directly to respondents using the Google Form application. Data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standard error of mean (SEM) with AMOS software version 24.00. Methods use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includ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nstruct Reliability (CR) and 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only trai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lso, self-efficacy is proven to mediate the role of training on employee performance; the other hypotheses are not significant. Training is the most prominent positive factor affecting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t RSUD M.Th. Djam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by management in determining what policy priorities should take precedence.
        4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aders of national universities on faculty creativity. The study examin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theories and investigated self-efficacy, the parameter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to examine its moderating effect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national univers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built four hypothe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ested these using a survey method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Result – At the national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arisma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intellectual stimulus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Therefore,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Conclusion – Creativity is thought to be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survival and continuous development at rapidly changing education administra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s should exerci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develop member creativity. Member self-efficacy, which had a mediating effect on creativity, requires leadership to develop it.
        46.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질문지', '직무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근무기관 유형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교수 성취감, 교수권한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성취감이 자기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도성의 행동적 전략에 대하여는 학력, 자기지도성의 인지적 전략에 대하여는 교수 권한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7.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에 관한 질문지’, ‘조직몰입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은 보통수준이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조직몰입의 정서적몰입, 규범적몰입, 지속적몰입 순으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48.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제89회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한 체조선수 220명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리더십유형은 스포츠 리더십척도 질문지,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조선수들이 인식하는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은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체조선수들은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의 5개 영역에 의해 자신감 요인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 5개 하위요인 모두가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자신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체조선수는 최상의 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신감을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체조종목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종목에서도 경기 중 자신감 향상을 위한 지도자의 리더십유형 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자기지도성이 교사 자아 개념 및 조직풍토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사립 유치원 교사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에 관한 질문지’, ‘교사 자아개념에 관한 질문지’, ‘조직풍토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교사 자아개념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조직풍토와는 낮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교사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의 하위요인으로는 일상적 자아, 원장의 행동특성, 자기수용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