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체통찰력의 특성을 국내 실정에 맞는 측정도구로 모색하고, 학생들이 신체통찰력의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하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신체통찰력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대학생 총 120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번역,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인동일성 및 잠재평균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국의 신체통찰력척도를 우리 문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척도의 번역도입에 따른 절차를 적용하여 검토진의 의견을 반영하고 원본이 가지는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을 포함한 신체통찰력의 의미가 우리 문화에 적합하게 측정되어 총 18문항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예비검사 결과, 왜도, 첨도, 문항반응 비율에서 문제가 되어 삭제되어야 할 문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상분포에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의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의 하위구조로 탐색되었다. 셋째, 본 검사에서 신체통찰력척도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3요인 구조로 에너지 신체자각, 편안함 신체자각, 내부 신체자각에 대한 모델의 적합성이 검증 되었으며, 타당도의 검증과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양호하게 나타났다. 넷째, 신체통찰력척도의 구인 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에서 집단별 공용 검사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에서 성별, 생활체육 참여유무별, 계열별에 따라 신체통찰력 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통찰력척도는 개인의 몸에 대한 관심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신체감각에 대해 알고 표현하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82명의 보디빌딩선수 및 선수경력자들과 245명의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운동중독의 정도를 파악하여 보디빌딩 참가자의 심리적 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선수 및 동호인의 배경번인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운동중독의 하위요인인 금단, 감정적 애착, 운동욕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 되었다. 첫째, 동호인의 운동중독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경력이 오래 된 사람이 운동중독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 횟수, 운동시간, 선수 경력 간 운동중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지역대회, 아시아대회, 세계대회의 입상경력이 있는 시합 참가자가 소규모대회 입상경력이 있는 시합 참가자보다 운동중독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대회, 아시아대회, 세계대회의 입상경력이 있는 시합 참가자가 감정적 애착에서 소규모대회 입상경력이 있는 시합 참가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디빌딩을 시합을 참가하는 사람은 운동 초심의 긍정적 효과와 목적을 항상 염두에 두고 매순간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여 이런 운동중독 증상으로 빠져드는 현상을 인식하고 조절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동호인은 자신의 운동 목적에 맞는 근력강화나 유산소운동이 되도록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여야겠다.
        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조선수를 대상으로 성별, 소속, 입상경력, 운동경력별로 자기관리와 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제69회 전국종별체조선수권대회에 참가한 체조선수 290명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자기관리는 자기관리 질문지, 자신감은 한국형 스포츠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조선수의 자기관리와 자신감은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체조선수들은 자기관리 유형의 4개 영역에 의해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관리 4개 하위요인 모두가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선수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체조선수는 최상의 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신감을 자기관리 요인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체조종목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종목에서도 경기 중 자신감 향상을 위한 자기관리 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제89회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한 체조선수 220명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리더십유형은 스포츠 리더십척도 질문지,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조선수들이 인식하는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은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체조선수들은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의 5개 영역에 의해 자신감 요인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 5개 하위요인 모두가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자신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체조선수는 최상의 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신감을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체조종목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종목에서도 경기 중 자신감 향상을 위한 지도자의 리더십유형 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있어 신체활동의 선택 및 지속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를 통하여 운동변화단계를 예측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683명을 대상으로 운동변화단계,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행동규제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 심리욕구 하위변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과 행동규제의 하위변인인 부과적 규제, 확인적 규제, 내적 규제에서는 유지단계가 계획전단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에서는 무동기와 외적규제에서는 계획전 단계가 유지단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대해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 중 확인적 규제와 내적 규제만이 운동변화단계를 판별하는데 작용하였다.
        6.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 중학생들이 자신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신체적 유능감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단계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첫째, 예비판 설문지를 제작하기 위해, Horn, Glenn과 Wentwzell(1993)의 PCIS(Physical Competence Information Scale)와 개방형 설문자료(103명)를 비교․검토하여 한국의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신체적 유능감 정보 문항을 제작하였다. 둘째, 예비판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545명)를 통해 최종판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32문항을 포함하는 최종판 설문지의 요인구조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새로운 자료(883명)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총 1531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개방형 설문자료), 기술적 통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검사(Cronbach's α와 검사-재검사)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일반학생들의 신체적 유능감 정보를 측정하는 32문항을 포함하는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이 척도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CIS(SCIS)의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비교․논의하였다.
        7.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성별, 주당 운동빈도(고/중/저), 1회 운동시간(장/중/단)의 그룹에 따른 자신의 신체평가 수준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하위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481명(남학생 272명, 여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PSDQ(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있었다. 주당 운동빈도에 따른 분석결과 스포츠 유능감, 외모,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고빈도 그룹이 중·저빈도 그룹보다 높은 수준으로 자신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 1회 운동시간에 따른 분석결과, 스포츠유능감, 외모,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장·중시간 그룹이 단시간 그룹보다 자신의 신체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스포츠 유능감, 외모, 유연성, 근력, 신체전반요인에서는 장시간과 중시간 그룹은 유사한 수준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운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무대공연 전 상태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Smith 등(1990)이 개발한 스포츠 경쟁불안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무대공연 전 상태불안에 맞도록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제작된 20개 문항에 대한 요인탐색과 구조적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Cronbach`s α계수수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무용인 238명으로 하였으며, 공연 30분전에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수정 개발된 질문지는 총 20문항에서 1차 14개 문항에 3개요인, 2차 12개 문항에 3개 요인이 탐색되었으나 구성된 문항 내용상 개념에 문제가 있어 3차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8개 문항에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등 2개의 요인구조로 구성되었다. 이에 대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14개, 12개, 8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요인 8개 문항의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스포츠를 대상으로 제작된 검사도구를 참고로 수정 제작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문항이 수렴되지 않았으며, 스포츠에서 느끼는 불안의 정도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개방된 문항을 수집하여 문항을 제작하고 이에 대한 요인을 탐색하여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9.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포츠 심리학에서 건강심리(health psychology)영역이 매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운동요법(movement therapy)을 통하여 정신건강에 큰 도움을 주는 연구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요법 중에서도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방법을 선정하여 총 5개의 임상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수영요법을 적용한 결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높아졌고, 둘째, 정신적 장애아를 위한 태권도요법을 사용한 결과 pre-motor Reaction Time과 Reaction Time이 감소되었으며, 셋째, 신체적 장애자를 위한 무용요법을 적용한 결과 신체화, 강박증, 우울, 불안 등의 정신건강 증상이 감소되었다. 넷째, 정상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전호흡 수련을 시킨 결과 상태불안, 특성불안, 심박수, 수축기 혈압 등이 감소하였고, 다섯째, 중학생 양궁 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단전호흡을 시킨 결과 양궁기록과 심폐지구력이 향상되었다.
        10.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문화적 정서와 친근한 태권도를 중심으로 단전호흡과 요가 등을 적절히 구안한 운동 요법이 중년 여성들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심리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34명의 전업 주부들을 대상으로 (평균연령 : 38.5세) 통제집단에 17명, 실험집단에 17명씩 배치하여 주 3회씩 8개월 동안 전문지도 강사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실험실용 4채널 무선 뇌파측정기(Laxtha Inc, 2001)와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척도` 검사지(윤진상 등, 1998)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피험자들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대적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거친 Fpl과 Fp2에서 수집된 EEG와 심리적 안녕감을 반영하는 삶의 질에 대한 인식정도는 사전검사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Fpl과 Fp2 부위에서 α파와 θ파가 유의하게 활성화되었고, 상대적으로 β파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 중 유능감, 정신적 안녕, 신체적 안녕, 활력의 요인에서 실험집단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정성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적용한 운동 요법은 α파와 θ파를 활성화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심리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6.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uld say that the knowledge of results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motor skill learning. This paper was analyzed to stipulate how inside-kick of soccer affect to perform when we present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 randomly selected 60 students in the Hakj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divided 6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 of the exercise and the transfer performance. 2. When we tried various time interval of the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in transfer performance . 3.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clge of results in interaction effects. 4. The most effectively performed group in this experiment was as the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who performed 6 seconds of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