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2.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실험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실험체의 주요 실험변수는 접합부 파괴모드, 콘크리트 압축강도, 철근의 정착 방법이다. 모든 실험체는 ACI 352R-02 기준에 바탕을 두어 J파괴와 BJ파괴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주철근은 90도 표준갈고리로 하거나 확대머리철근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제한되는 현행 ACI 설계 기준식이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를 다소 과소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확대머리철근을 가진 J파괴형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는 표준갈고리를 가진 접합부보다 약 10% 이상 높게 평가되었다.
        4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high performance concrete structures can be develop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which has mainly high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Therefore, in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reduce structural elements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and steel bars.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bending performances of RC and UHPC beams respectively and examined the design suitability of UHPC flexural members.
        4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alyzed of the correlation UPV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timber. As a result, increased of UPV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ough more experiments, judgment to be possible to estimat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ructural timber with UPV
        4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ational prediction models for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s of HSC corner and interior columns with intervening NSC slabs are developed. A structural analogy between HSC column-NSC slab joint and brick masonry is used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s. In addition, the aspect ratio of slab thickness to column dimension and the surrounding slab confinement effect are considered in the models.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various prediction expressions. As a result, with average test-to-predicted ratios of 1.00 for HSC corner columns and 1.09 for interior columns, the proposed equation provides superior predictions over all of the existing effective strength prediction approaches including KCI structural concrete design code(2012).
        4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as increasing interests in Korean-style house,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olicy that encourage constructing Korea-style house fabricated timber though the improvement of the related law and administration system. Also, the perception for historic preservation has been increased in respond to heightened interest. In this paper, External bond and Near surface mounted was used as the way to reinforce timber structure’s durability. bond strength for specimens with different bond length was investigated.
        4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초장대 교량, 초고층 빌딩 등 토목 및 건축 분야에서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건립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화재시 폭렬현상 등 내화성능 저하에 대한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설계기준강도 5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내화성능관리기준을 법령으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지만, 100 MPa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내부 조직이 고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훨씬 더 치밀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내화 방안으로는 화재시 내부 수증기의 배출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화재시 또는 화재후의 구조적 성능에도 일반적인 고강도 콘크리트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어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상황 하에서 초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이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성능의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4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ase of cultural properties, each member has a cultural value and replacing of damaged wood is not easy. In addition, state of our country research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of timber are still incomplete. since 2008, research of the reinforcement method using CFRP plate has started. in this study, experiment for the adhesion strength along attachment length of surface bonded and NSM using CFRP plate. As a result, the adhesive strength is increased depend on increased of the adhesion area, measured the change of intensity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wood.
        5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igh strength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gions, without the shear reinforceme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men BCJNSP1.0 were increased th maximum load-carrying capacity and showed stable hysteresis behavior and satisfactory crack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 specimen BCJN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in the beam-column joint region.
        51.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자유로운 형상의 슬리브를 만들 수 있는 구상흑연 주철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구조성능을 발휘하면서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하게 개발된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을 대상으로 실물크기의 19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 강성, 슬립을 중심으로 한 구조성능에 대하여 본 실험의 주요한 변수에 따르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의 요구 성능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한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은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모르타르 충전식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정립에 필요한 정량적인 기술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52.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개발한 후에 실물크기의 20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를 비롯한 구조성능을 철근의 정착길이, 슬리브의 타입, 철근의 규격과 같은 실험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 따라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 철근이음은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확립을 위한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53.
        200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서 접합부의 전단강도와 같은 구조성능을 향상 시켜서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기둥․슬래브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한 후에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의 조합하중을 가력하여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기둥․슬래브 접합부에 대한 전단강도를 비롯한 주요한 구조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변수는 슬래브의 철근비와 슬래브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의 비율로 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