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assess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flavonoid compounds (rutin, qurcetin, luteolin) and maysin(2''-O-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isolated from corn silks of Zea mays L. Maysin extracted by corn silks was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mong flavonoid compounds such as rutin, qurcetin, and luteolin. But, the other flavonoid compounds(luteolin) showed the strongest free radical scanverning activity. In the results of peroxidase activity(POD), maysin don't indicated the remarkable peroxidase inhibiton activities. At the lowest concentration, NBT(Nitro blue tetrazolium) reduction activity of rutin, qurcetin, and luteolin were the low inhibition activities but maysin showed the highest Nitro blue tetrazolium reduction activity. Lipid per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using Thiobarbituric acid(TBA) method, maysin showed the highest lipid peroxidase inhibition in three concentration levels..
        42.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옥수수 수염을 가지는 옥수수 계통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자식계통과 F1을 대상으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각각 980~2,420 mg 100 g-1, 1,532~3,274 mg 100 g-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안토시아닌의 고유영역인 517 nm에서의 흡광도는 0.05에서 0.76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DPPH, ABTS, FRAP assay에서 얻어진 항산화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BTS와 FRAP assay에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성물질 및 안토시아닌간의 상관계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옥수수 수염의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용매가 산성이라는 점과 안토시아닌의 DPPH 용액과의 가시영역 파장에서의 간섭을 고려할 때, DPPH 보다는 ABTS assay나 FRAP assay가 더 적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이 될 것이다. 이들 중 특히 ABTS assay는 옥수수 수염의 주요한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물질과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옥수수 수염의 종합적인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우수 계통을 선발하는데 적합한 측정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안토시아닌 함량과 페놀 함량이 높고 ABTS assay와 FRAP assay에서 모두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 S15은 고 기능성 품종 육종 및 옥수수 수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능 측정에 대한 항산화 실험의 적합성 연구는 우수한 옥수수 수염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was used to classify normal and artificially aged nonviable corn (Zea mays L., cv. 'Suwon19') seeds. The spectra at 1100-2500nm were scanned with normal and artificially aged single seeds and analyzed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To discriminate normal seeds from artificially aged seeds, a calibration modeling set was developed with a discriminant partial least square 2 (PLS 2) method. The calibration model derived from PLS 2 resulted in 100% classification accuracy of normal and artificially aged (aged) seeds from the raw, the 1st and 2nd derivative spectra.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unknown normal seeds was 88, 100 and 97% from the raw, the 1st and 2nd derivative spectra, and that of the unknown aged seeds was 100% from all the raw, the 1st and 2nd derivative spectra,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a possibility to separate corn seeds into viable and non-viable using NIR spectroscopy.
        4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ysin, a C-glycosylflavone, was isolated from the silks of maize, Zea mays L. The ESI mass spectrum indicates that molecular weight of maysin is 577~textrmM+ m/z, and the ether-linked sugar is rhamnose, 431~textrmM+ m/z (MW+ -146).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ysin was higher than that of rutin. However, as compared with its aglycon luteolin, maysin showed the relatively moderate DPPH scavenging activity mainly due to the glycosylation of two sugars moieties, keto-fucose and rhamnose. In the in vitro cytotoxicity test against the five human tumor cell lines such as lung (A549), ovarian (SK-OV-3), melanoma (SK-MEL-2), central nerve system (XF-489), and colon (HCT-15), maysin exhibited the relatively weaker activities than cisplatin. The ~textrmED50 values of maysin were 62.24, 43.18, 16.83, 37.22, and 32.09/m~ell , respectively. Result suggests that maysin is a potential cytotoxicity compound, particularly for human colon, central nerve system, and melanoma tumors.s.
        47.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jor characteristics of new Waesungri maize inbred line has multi-tiller and ears: five to six tillers and seven to eight ears per plant and flowering date of Waesungri was delayed about 18 and 24 days compared to Mo17 U.S line and IK4 Korean local lines, respectively. Number of ears, fresh and dry weight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ested hybrids including Waesungri/Sinkihong hybrid under different planting times and densities. Especially, both fresh and dry weight of IK1/FR140//Waesungri F1hybrid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high planting density. In kernel weight per unit area, Wnesungri/Sinkihong hybrid was high at high density and IK1/FR140//Waesungri hybrid was high at low planting density. As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flowering date was shown a significantly different both planting times and varieties, while other characters including stem height were shown very variable in interactions with enviromental factors.
        4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얼형 옥수수인 4개 교잡종과 대조구인 P3394 교잡종과의 수량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초수량에 대하여 재식밀도별로 알아보면 4,800주/10a에서는 PI213749//FR805/IK3 교잡종이 7,862kg이고, FR805/IK3//Waesungri 교잡종이 8,290kg/10이며, IK/LE//FR805/IK3 교잡종이 7,746kg/10a로서 대조구인 P3394의 6,247kg/10a보다도 많았다. 2. 건물수량은 대조구인 P3394 교잡종이 4,800주/10a에서 1,430kg로 다른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인 PI213749//FR805/IK3은 1,834kg/10a FR805/IK3//Waesungri 교잡종이 1,836kg/10a, IK/LE//FR805/IK3 교잡종이 1,810kg/10a로 많았다. 3. 종실수량은 4,800주/10a에서 IK/LE//FR805/IK3 교잡종이 783kg로 대조구인 P3394의 776kg/10a 보다 많았으며, 3,600주/10a에서는 대조구에서 714kg/10a로 다른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보다 종실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2,400주/10a에서는 오히려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인 IK/LE//FR805/IK3 교잡종이 752kg/10a이고, PI213749/Dangjin//FR805/IK3 교잡종이 699kg/10a로서 대조구인 P3394의 680kg/10a 보다 높았다.
        4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lyses of now karyotypes using different maize (Zea mays L.) inbred lines have been performed. The accumulation and isolation of high quality and quantity metaphase chromosomes from root tips can be achieved from many kinds of maize lines. The chromosome suspensions were prepared by a simple slicing method from synchronized maize root tips and analyzed with a now cytometry. The variations of experimental now karyotypes were detected among inbred lines in terms of the positions and/or the numbers of chromosome peaks. The 2C DNA amount among 8 inbred lines ranged from 5.09 to 5.52 pg. The variability of DNA content in maize chromosome 1 was 9.1 % ranging from 0.685 to 0.747 pg.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ize lines is critical for sorting specific single chromosome types. At least five different chromosome types can be discriminated and sorted from five maize lines.
        50.
        199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otenoid compounds in embryos of wild-type(WT) and viviparous mutants of maize(Zea mays L.) were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ehromatography (HPLC)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Zeaxanthin accumulates in WT embryos as the major carotenoid. Phytoene accumulates in vp2 and vp5. Phytofluene in w3 and ζ-carotene in the vp9 mutant embryos. This indicates that the vp2 and vp5 mutants impair phytoene desaturase from 15-cis-phytoene to 15-cis-phytofluene. The w3 mutant has neither an isomerase from 15-cis-phytofluene to all-trans-phytofuene nor phytofluene desaturase from phytofluene to ζ-carotene. The vp9 mutant does not have the ζ-carotene desaturase from ζ-carotene to lycopene. Our analysis shows that the terminal carotenoid. γ-carotene(β,ψ-carotene), accumulates in the vp7 mutant embryos. The ε-carotene(ε,ε-carotene), a product of δ-carotene(ε,ψ-carotene) in some plants, however, has not been found in maize embryos. The vp7 mutant impairs a cyclization step from γ-carotene to both β-carotene and α-carotene. We suggest that monocyclic γ-carotene is the sole precursor of both bicyclic β-carotene(β,β-carotene) and α-carotene(β,ε-carotene) in maize.
        51.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plant hormones (NAA, GA3 and BA) and light qualities (white, red, green and blue light) on the changes of reducing sugar contents and invertase isozyme activities in leaves of maize (Zea mays L.) and mung bean (Phaseolus radiatus L.) seedlings were investigated. NAA accelerated the increase of reducing sugar contents and invertase isozyme activities, on the contrary, GA3 had little effect in the accumulation of reducing sugar and in the increase of enzyme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maize and mung bean seedlings. On the other hand, BA accelerated an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the invertase isozyme from the leaves of mung bean seedlings whereas it had little effect in the increase of the enzyme activities from those of maize seedlings. The accumulation of reducing sugar in leaves of both seedlings was promoted by red light irradiation compared to white light irradiation, while the activities of the enzyme were little affected by various light qualities. In the simultaneous applications of plant hormone and light quality, NAA with white light was very effective in the increase of reducing sugar contents and the enzyme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mung bean seedlings, whereas NAA application with blue light showed a prominent enhancement in the reducing sugar contents and the enzyme activities from those of maize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hormone, particularly NAA, may be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various light qualities in the stimulation of invertase activity.
        52.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입의 라이신 및 트립토페인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오페이크-2 인자와 오페이크-2 옥수수입의 표현형을 변갱시키는 변갱 오페이크-2 인자를 사용하여 합성한 부여 No 2 옥수수와 부여 No. 3 옥수수의 입특성을 분석조사하였다. 부여 No. 2나 부여 No. 3 옥수수의 입 특성을 정확히 아는 것은 이들 옥수수의 증수를 위한 육종방법을 규명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의 물리적 특성으로서 표현형을 본 결과 부여 No 2나 부여 No.3 모두 원래 오페이크-2 옥수수입이 보여주는 표현형과는 매우 다르게 변갱 되었지만 부여 No. 2는 부여 No.3보다 더 보통 옥수수에 가깝게 변갱되었다. 그리고 부여 No. 2는 동일품종내에서도 표현형의 변이가 매우 크게 분포되어 있었다. 입중에 있어서 부여 No. 2는 No. 3보다 입중이 가벼웠는데 그 이유는 크기가 작기 때문이었다. 배유의 밀도는 부여 No. 3이 제일 작았고 이는 입의 경도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부여 No. 2의 소입성은 조와 배유의 함량에도 영향을 주어 일정량으로 옥수수를 두고 볼 때 소입중 부여 No.2는 대입중인 부여 No.3보다 배의 양이 많았다. 변갱오페이크 옥수인 부여 No. 2와 부여 No. 3의 배유내 전분조직을 현미경 관찰한 결과 부여 No.2 옥수수입은 배유내 연질전분 조직과 경질전분 조직이 동시에 매우 다양하게 되어 있었다.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인 라이신 함량은 부여 No.2가 공시품종 가운데서 가장 높았다.
        53.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통 옥수수의 배유에서 결핍되어 있는 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갱 오페이크-2 유전인자를 도입하여 부여 # 2와 부여 # 3(가칭)의 두 합성품종을 충남대 농대에서 육성(1980)하여 이들의 두 품종이 가지고 있는 유전변이를 알고져 Hallauer와 Wright의 분석방법에 따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두 품종이 다 같이 초장, 이삭높이, 이삭의 크기, 100립중, 수량/이삭등에 있어서 우성인자효과 보다도 상가적 효과가 큼을 확인하였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이들 주요 식물 특성이 순환선발과 같은 적당한 육종방법에 의해 개량될 수 있다는 것이고 이삭당 열수나, 이삭의 직경등은 우성효과가 상가적 효과(분산)보다 커서 두 품종 모두 육종적 개량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54.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에 있어서 다형현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Peroxidase 8에 대하여 수평전기 영동법에 의한 변이를 본 결과 중심주의 Peroxidase 8은 옥수수의 계통이나 품종에 따라 Fast, Slow, Fast/slow 밴드를 보여 주어 Peroxidase 8은 단일유전인자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생각되며 특히 본 연구에서 동일한 자식계통에 있어서도 상이한 밴드의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사용한 계통이 동질접합체가 되지 못하였거나 혼종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대가 자식계통의 옥수수는 Fast나 Slow의 단일 밴드패턴을 보여주었는데 반하여 단교잡 내지는 합성품종은 여러 가지 형태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eroxidase 8은 대개 초엽(중심주)이나 목화되지 않은 조직에서 흔히 관찰되나 Peroxidase 3와도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특히 옥수수 줄기의 절에서 관찰되는 Peroxidase 3과 8의 패턴으로 보아 이 두 효소는 서로 상반되는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55.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생장발육의 한 Scheme을 작성하기 위하여 조생종 MIC-1과 만생종 수원 19호를 공시하여 1980년 4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12일 간격으로 6파종기를 두고, 휴폭 60cm에 주간 15cm로 파종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작물체의 주요기관 즉 엽, 기, 자종의 형태적 변화를 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의 발육을 그 전개정도에 따라 10등액으로 구분하여 Leaf Development Index(LDI)를 정의하였다. 2. 엽출현율(LAR)은 평균 3일로써 품종간, 재배시기간 큰 차가 없었다. 3. 출현 후 약 1개월 후에 절간이 신장하기 시작하여 절위별로 신장하며 지상부 제 1절이 벽출되는 시기는 제 8-9엽기에 해당되었다. 4. Silks의 형태적 변화는 종실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표 4참조). 5. 영양생장기간은 품종간 및 재배시기간에 차이가 현저하였지만 생식생장기간은 별차이가 없었다. 6. 완전전개된 엽수, 비대된 절수 그리고 Silks의 형태적 변화 및 종실발달 등으로 옥수수의 Scheme을 제시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