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韓國産) 길쭉먼지벌레족(族)을 대상으로 "NC"값을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성적(定性的) 형태형질(形態形質)을 근거(根據)로 표현론적(表現論的) 수리분류방식(數理分類方式)을 이용(利用)한 군분석(群分析)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 비록 일부 종(種)에서는 전통분류(傳統分類) 결과(結果)와 다소 일치(一致)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 경험적(經驗的) 분류(分類)와 유사(類似)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부분 종(種)들이 기대(期待)한 속(屬) 또는 아속(亞屬)내에 분포(分布)하였다.
한국산 Acantholyad속은 A.erythrocephala(Linnaeus), A. posticalis(Matsumura)및 A. parki sp. nov.등 3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분류상의 어려움이 많아 명명학적으로 혼동이 많았던 이들 종들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 또한 잣나무의 주요해충으로 알렸던 잣나무넓적잎벌은 현재까지 A. posticalis posticalis M.로 기록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Acantholyda nemoralis T.로 정리되어 있으나 일본 북해도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동종의 모식표본을 검경한 결과 분류학적으로 다른 별도종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주특이성과 생태적으로 차이점을 보여 신종인 A. parki sp. nov.으로 기재하였다.
한반도와 그 접경지역에 분포하는 Harpalina아족 30종에 대해 그들의 분포, 분류학적 소고, 그리고 모시표본에 대한 정보등을 정리하였다. 이들 재료들은 과거 러시아인 Schmidt 씨(1950년), Borchsenius씨(1950년)등에 의해 한반도 전역에서 채집, 러시아과학원 동물연구소(St. Petersburg)와 생물토양연구소(Vladivostocle)에 보관된 것들과 북한인 주동열씨에 의해 북한에서 채집된 표본들이었다. 그들 중 5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이었다.
Astipromma jezoense Uchida의 종내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상이한 서식지에서 채집되 7개 개체군을 대상으로 계량형능학적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형능학적분석은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의 결과 25개의 형질이 4개의 factor들로 집약되어 나타났다. 이중 특히 다리의 형질들이 암·수모두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의 결과를 보면, 암·수 모두 서식하는 지리구에 따라 뚜렷한 형태적 gap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해낸 판별형질로는 암컷에서는 가운데 홑눈의 최장폭을(MOD)과 복부제1마디의 길이(FTL)가 숫컷에서는 뺨의 길이(MSL)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황백매미충아속(Parapagaronia)의 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나타났다. 계량형태학적 수리분류의 일환으로서 4종을 대상으로 정량적 형태형질을 이용한 다변량분석을 시도한 결과, 각 종간 평균분리솔의 수컷에서는 87.5%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길쭉먼지벌레속을 정리하던중 Feroperis아속의 Pterostichus rasilis sp. nov.와 P. probus sp. nov. 등 3신종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보고한다. 따라서 한국산은 모두 4종이 된다. 그리고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및 분포기록 등을 작성하였다.
우리나라산 Phalonidia속은 총 15종으로 정리되며 이중 다음의 9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다. Phalonidia aliena Kuznetsov, 꼬마검정가는 잎말이나방, P. Lyidae Filipjev, 흰머리가는잎말이나방, P. scabra Razowski, 어깨무늬가는잎말이나방, P. alismana (Ragonot), 택사가는잎말이나방, P. luridana(Gregson). 연황색가는잎말이나방, P. permixtana ([Denis at Schiffermuller]), 송이풀가는잎말이나방, P. rabricana (Peyerimhoff), 뒷검은가는잎말이나방, P. stlvestns Kuznetsov, 은빛가는잎말이나방
환선충상과에 속하는 선충을 연구하던 중, 2신종을 발견하였다. Cnconemella hawangiensis는 C. paragoodeyi보다 훨씬 크고, 구침도 길고, 꼬리 주름 역시 다르다. Hemicycliophora parajugandis는 외부로 부풀어오른 구순부를 가지며 그것은 두부에 반원형으로 놓여 잇다. 그리고 두부측면은 안으로 밀렸다. 형태와 측정치는 H. juglandis나 H. koreana와 일치하였다. H. epichoroides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Trichodorus jeonjuensis n. sp는 T. cedarus. T. tricaulatus, T. californicus와 비슷하나 수컷에서는 3개의 복중앙 경공에 대하여 전방에 있고 교접자는 전체적으로 주름졌고, 첫째 보조돌기가 교접자 중앙부에 있으며 암컷의 질 모양이 신장형이다. T. tricaulatus는 우리날 미기록종으로 밝혀졌으며, T. cedarus와 Paratrichodorus porosus가 여러 곳에서 새로이 채집되어 기주식물 및 지역별 차이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