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1.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ural policies in Korea have been changed into amenity-oriented ones rece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villigian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amenity-oriented maintenance system for rural space or environment too. Although so many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had been carried out, few ones which classified them principally by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had been tried. From the viewpoint mentioned abov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rces focussed on their locational characteristics. By the literature review, its draft was prepared, and after 2-round expert checks, the final table determined, which composed of 3-subsystems; green, prod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works in two case villages, its practical applicability was ascertained, from which two regarding points were found; public usability of terms and seasonality of amenity resources, especially green ones.
        6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 이후 인구가 도시로 집중하면서 대도시가 발달하고,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교외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자동차교통에 대한 의존도가 심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각종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특히 대설에 의한 각종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등, 이에 대한 대응 및 대책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대설시 제설과 관련된 제설방재자원의 중요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분류기준 및 체계가 명확하지 않아 사용기관 등에 따라 비효율적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제설방재자원의 현황조사와 함께 제설방재자원의 분류기준 및 분류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설작업에 사용되는 차량이나 도구들을 제설방재자원이라는 틀 안에서 구분 및 분류하였으며, 제설차량·제설장비·제설자재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제설차량은 차량의 성능 및 기능, 사용목적에 따라 전용제설차량·전문제설차량·제설가능차량·기타 제설가능장비로 구분하였다. 제설장비는 제설기, 제설지원장비, 제설도구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제설기는 제설방식에 따라 밀어내기·녹이기·불어내기·쓸어내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각각의 장비를 구분·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설자재는 제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소모성 재료들로서, 제설제와 기타 지원자재로 구분·분류하였다.
        64.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을 탐색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참여자 21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귀납적 내용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은 19개로 끈기, 낙관성, 활력, 유머감각, 신중성 등의 순으로 추출되었다. 특히 용기, 초월, 절제 덕목과 관련한 성격 강점이 규칙적 운동참여자의 성격 특성으로 부각되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낙관성, 끈기, 활력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신중성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참여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운동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8.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하천 정비 기법에 응용될 수 있는 기존의 외국 하천 분류 체계를 소개, 검토하고 하천의 형태를 표현하는 지형 인자를 이용하여 하천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분류 체계는 지류의 유입이 없는 하도 구간을 분류 단위로 하였으며 1) 하도의 제약도를 반영하는 곡저폭지수, 2) 평면형을 반영하는 사행도와 3) 하상 재료를 기본적인 지형 인자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류 체계는 전체 24개 유형으로 구성되며,
        72.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s medicinal resouces of middle ar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 1993 to November 30. 1994.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middle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Medical wiId plants of middle southern area consisted of 100 familis, 380 specis in all. The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ae, Liliaceae, Polygonaceae,Ranunculaceae, Brassicaceae, Rosaceae, Fabaceae, Apiaceae, Labiatae, Solanaceae, Scrophulariaceae,Campanulaceae, Compositae. The herb dru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 mountains in ourcountry.
        74.
        199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southern area(Soraksan, Bughansan, Odesan, Gwanagsan, Sollaegsan, Gyeryongsan, Sogrisan, Deogyusan, Chinsan, Jogyesan, Mudeungsan, Hallasan) of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1992 to November 30,1992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southem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bution.Medical wild plants of southern area consisted of 94 familis,284 speci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Brassicaceae, Rosaceae, Favaceae, Apiaceae, Ldbiatae, Solanaceae, Companulaceae, Compositae.The herb dry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in other mounteins in our country.
        75.
        199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Mt. Wol-chul were investigated 8 times from July, 1988 to July 1990. In orth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Wol-chulmountain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Medical wildplants of Wol-chul mourltain consisted of 11'0 familis, 338 species in all. The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 Brassicaceae, Rosaceae, Apiaceae, Labiatae, Com-positae .
        76.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 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월산에 분포되어 있는 약용자원 식물은 113 과, 304 속, 428 종이었다. 2. 분포수종중 초본류는 73 과, 223 속, 317 종, 목본류는 49 과, 85 속, 111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로 전초 또는 근을, 목본류는 수피, 과실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이었다.
        77.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지역의 명산중의 하나인 백운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백운산에 분포되어 잇는 약용자원은 60과 250종으로 분류되었다. 2. 분포수종중 과본류는 161 종 목본류 89종이 분포되어 있었다. 3.과본류는 사삼, 도라지, 쑥, 엉겅퀴,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둥글레, 참마, 칡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목본류로는 굴피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후피향나무, 모란, 이팝나무, 쥐똥나무, 누리장나무, 고로쇠나무, 비자나무, 삼나모, 때죽나무, 모과나무 등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78.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지역에서 3대 명산중의 하나인 모후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모후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58과 230종으로 분류되었다. ⦁ 분류수종중 초본류는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우엉, 사삼,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산삼, 도라지, 둥글레, 참마, 칡, 대계등 17종과 대본류는 인동초, 참으아리, 방기, 목퉁, 엄나무, 구기자, 산수유, 밤나무, 매화, 인진호, 희첨, 지유, 초오등 13종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