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6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의 확산을 모사하는 Lagrangian 기반의 HYSPLIT과 PUFF 모형을 이용하여 화산재의 확산 해석을 수행하였다. 미국의 스퍼와 리다우트 화산은 각각 1992년과 2009년에 폭발성 분화가 발생하여 화산재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이 때 발생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와 퇴적되는 화산재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고 통신 교란이 발생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켈루트 화산은 최근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1919년과 2014년의 대분화로 인해 인명피해가 속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 확산 모형을 이용하여 이와 같이 화산재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는 영향범위와 경로를 분석하였다. 수치 계산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중 수치 모형으로 예측된 화산재의 확산 범위와 실측치에 의한 확산 경로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화산재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평가한 결과 HYSPLIT과 PUFF 모형의 확산 분포는 70% 내외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6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 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 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 (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 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 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 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 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 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 10oC와 12o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 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oC로 유 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 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 적이다.
        4,000원
        6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분화용 아시아틱나리 일대 잡종 ‘Deep Red Liasong’의 효율적인 자구형성을 위하여 구의 부위와 인 편삽 조건을 조사하였다. 구의 부위에 따른 자구 발생률 은 중인편은 87.6%, 내인편은 83.0%로 외인편의 40.3% 보다 양호하였으나 자구형성 개수는 외인편이 많았다. 인 편의 식재 깊이에 따른 인편당 자구의 수는 2.6개에서 2.8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3cm 깊이에서 잎의 발생이 없 었다. 인편의 배양온도는 항온 23oC와 변온인 주간 23oC /야간 13oC에서 인편당 자구의 수가 2.4 ~ 2.6개로 다른 온도처리보다 많았고, 자구 및 뿌리의 생장도 양호하였 다. 관수 주기를 2일에서 6일까지 달리하였을 경우 인편 당 자구의 수가 2.6~2.8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8일은 2.2 개로 다소 낮았다. GA3, NAA 및 IBA를 50mg • L−1에서 200mg • L−1 처리 했을 때 농도가 높아질수록 자구의 형 성이 감소하였으나 뿌리의 개수와 길이는 증가하였다. 자 구의 식재 방향에 따른 인편당 자구의 수는 1.8개에서 2.0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을 위로(upper to back) 향하게 식재 했을 때 잎이 발생하지 않았다. 인편을 상하 1/2과 1/3로 절단하였을 때 인편의 기부에서는 자 구형성이 2.3 ~ 2.4개로 대조구의 2.5개와 같은 수준이었으 나 자구의 크기 및 생장은 대조구보다 작게 나타났다. 상 단에서는 전혀 자구가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인편을 좌 우 2등분과 3등분을 하였을 때 인편 내에서 자구의 수 는 차이가 없었으나, 3등분보다 2등분이 자구의 수 및 생 장이 양호하였다. 분화용 아시아틱나리의 효율적인 자구 생산을 위해서는 구근에서 중인편을 3cm의 깊이로 등을 위로 향하게 식재한 후 배양 온도는 항온 23oC나 주간 23oC/야간 13oC에서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
        4,000원
        6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 자연 상태에서 월동한다. 안동지역에서 이른 봄부터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 랩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성충 발생 시기를 주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연중 4 회의 성충 발생 피크를 보였다. 월동 집단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지 역 집단 간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내한성, 약제감수성 및 발육속도에서 뚜렷한 집단 특성을 나타냈다. 분자마커로 집단변이를 분석한 결과 월동세대의 높은 집단변이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 집단 사이의 생물적 특성 차이 를 나타냈고, 이들의 높은 유전적 분화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이들 집단 사이의 개체들의 이동에 따른 유전적 교환이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했다.
        4,000원
        6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abetes mellitus,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order, is divided into two types: type 1 and type 2. The essential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caused by immune-mediated destruction of β-cells, is transplantation of the pancreas; however, this treatment is limited by issues such as the lack of donors for islet transplantation and immune rejec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stem cell therapy has been used as a new tool.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BM-MSCs) could be transdifferentiated into pancreatic cells by the insertion of a key gene for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pancreas, the pancreatic and duodenal homeobox factor 1 (PDX1). To avoid immune rejection associated with xenotransplantation and to develop a new cell-based treatment, BM-MSCs from α-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GalT KO) pigs were used as the source of the cells. Transfection of the EGFP-hPDX1 gene into GalT KO pig-derived BM-MSCs was performed by electroporation. Cells were evaluated for hPDX1 expression by immunofluorescence and RT-PCR. Transdifferentiation into pancreatic cells was confirmed by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immunofluorescence, and endogenous pPDX1 gene expression. At 3∼4 weeks after transduction, cell morphology changed from spindle-like shape to round shape, similar to that observed in cuboidal epithelium expressing EGFP. Results of RT-PCR confirmed the expression of both exogenous hPDX1 and endogenous pPDX1. Therefore, GalT KO pig-derived BM-MSCs transdifferentiated into pancreatic cells by transfection of hPDX1. The present results are indicative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DX1-expressing GalT KO pig-derived BM-MSCs in β-cell replacement. This potential needs to be explored further by using in vivo studies to confirm these findings.
        4,000원
        6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 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 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 μ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 μ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 μ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μg/mL 농 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 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 μ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 μ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 μg/ 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 μg/mL에서 41%의 감소율 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 μ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 μg/mL에 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 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 μg/mL 농도에서 PPAR-γ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 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 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 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9.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esity, most often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BMI) of ≥30 kg/m2 caused by an imbalance between energyintake and expenditure. It is widely recognized as the largest and fastest growing public health problem in the developed anddeveloping world. Obesity results by an increase in adipose tissue mass, resulting from the multiplication of fat cells fol-lowed by adipogenesis and increased deposition of intracellular cytoplasmic triglycerid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anti-adipogenic properties of the extracts (KEs) obtained from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ermentedusing Kimchi refrigerato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The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in the differentiated adipocyteswere also measured. We observed that the KEs significantly lower the contents of cellular triglyceride and formation ofintracellular lipid drople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Es have anti-adipogenic effects and may contribute to food indus-tries in developing functional.
        4,000원
        7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대 곤충분류학은 분자생물학적 방법론의 발달과 함께 종(species)과 집단(population)의 경계 해석에 대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과거의 분류학자들은 대부분 형태, 생태, 지리 정보에 국한되어 종을 기재하고 분류하였는데, 조사지역과 표본수집의 한계 때문에 중복기재에 의한 동물이명 문제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류학적 오류를 바로 잡기위해 분류학에도 분자생물학적 연구방법이 활용되었고 수많은 분류학적 난제들이 해결되었다. 특히, DNA barcoding은 혁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2000년대 중반부터 대부분의 분류군에 폭넓게 사용되어 10여년이 지난 현재 분류학에서 상당히 보편화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곤충에서의 빠른 분화속도를 감당하기에 미토콘드리아 DNA의 일부분을 연구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였다. 또, 곤충은 아종, 품종, biotype 등의 구별이 어려워 종과 집단의 경계에서 이를 명확하게 해결해줄 만한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최근에 연구자들은 집단유전학을 활용하여 집단 또는 종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 활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는 그동안 연구결과 소개를 중심으로 분류학에서의 집단유전학 활용과 곤충 집단의 분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7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간의 저온처리 방법이 팔레놉시스의 화경 발생과 엽 의 세포질 내 칼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간 25oC의 항온저온 처리보다, 25 ~ 20oC 의 변온 처리가 화경 발생을 2주일 가량 단축시켰다. 그 원인은 주간의 평균 저온 때문이 아니라 변온처리 그 자 체의 효과 때문이었다. 저온 처리에 의한 엽의 세포질 내 Ca농도 증가 를 조사하기 위하여 PaCDPK1 유전자 발현 을 측정하였다. 화경 유도를 억제시키는 30oC 고온처리에 서의 PaCDPK1 유전자 발현은 25oC와 25 ~ 20oC 처리보 다 낮았다. 특히, PaCDPK1 유전자의 발현은 25 ~ 20oC 의 변온 저온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 보다 3배 이상 높 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화경 발생 소요일수가 변온 저온 처리에 의해서 단축될 수 있으며, 화경 발생 소요일수의 단축은 세포질 내 Ca 농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말 해주고 있다.
        4,000원
        7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나팔나리의 구근 크기, 저온처리 및 입실 시기 에 따른 개화 반응을 연구하였다. 국내 육성 분화용 나 팔나리 ‘White Eve’와 ‘White LoSong’의 구근을 대상으 로 구근의 크기가 18~20cm 일 때 화수가 3개 이상이며 초장은 30cm 정도 였으며, 개화소요일 수는 138일 내외 로 소요되었다. 한편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Charm’ 의 저온처리에 따른 개화용 구근의 휴면타파 시험 결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 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개화율이 100%였고, 정식 후 개 화소요일은 135일이었고, 개화수는 6개 이상으로 양호하 였으며, 초장도 30cm 이하로 상업적 분화용으로 적절하 였다. 분화용 나팔나리 ‘White Eve’를 대상으로 11월 15일, 12월 1일과 12월 15일의 정식시기에 따른 개화시 기는 야간 처리온도가 15oC일 경우 10oC보다 10 ~ 20일 정도 빨랐고, 정식시기가 늦을 수록 개화시기가 빨라서 15oC에 12월 15일 정식은 115일이 소요되어 4월 초에 개화되었다. 나팔나리 구근의 크기 18 ~ 20cm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우수한 분화 생산이 가능하다.
        4,000원
        7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ilium Asiatic Hybrids ‘Mount Dragon’, ‘Angelique’, ‘Fortune’, ‘Genovië’ 등 분화용 나리 4품종 을 공시 재료로 2013년 3월 3일부터 5월 2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식재시기를 5단계로 하여 재배 한 후 생육특성 을 조사하여 농가에서 분화용 나리의 출하 계획 및 화단 의 식재 계획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Mount Dragon’ 은 정식후 식재 시기에 따라 개화까지 59일 ~ 95일이 소 요 되어 조생종 이었으며 다른 실험 품종에 비하여 엽 수가 85개 ~ 101.6개로 많아 관상가치가 높았다. 또한 식 재 시기 간에 초장 및 개화 수 등의 차이는 많지 않았 으나 4월2일 식재시 엽수 및 개화수 가 많았으며 개화 소요일수가 짧고 개화기간이 13.6일로 가장 길어 상품 성이 좋았다. ‘Angelique’는 3월 ~ 5월 식재 시 초장은 30 ~ 40cm 였으며 특히 3월 18일에 식재 한 경우 개화 수가 6.7개로 4~5월 식재의 경우보다 많아 분화로서 품 질이 우수하였다. ‘Fortune’은 5월 2일 식재 시 개화 소 요일수가 83.5일로 가장 짧았으며 꽃의 크기는 식재시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개화수는 4월 2일에 식재 하였을 경우 5.4개로 가장 많았다. 3월 식재의 경우 개화기간은 6.5일로 길었으나 초장이 61.0cm 이상 이어서 분화로서 상품성이 양호하지 못했다. ‘Genovië’은 정식 후 개화 까지 식재 시기 별로 88 ~ 130일 만에 개화하여 본 실 험에 사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만생종 이었다. 특히 4월 17일 식재의 경우 개화수가 6.2개로 가장 많았고 꽃 의 크기는 15.8cm로 가장 컸으며 개화기간이 10.0일로 가장 길어 분화용으로 양호하였다.
        4,000원
        7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or progno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s partly due to the invasiveness and metastasis of the tumor. One of key elements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of oral SCCs with regard to the histologic invasiveness and differentiation in 5 normal oral mucosa and 36 oral SCCs. The histologic invasiveness of oral SCCs were classified into 4 grades. The differentiation of oral SCCs was divided into 3 grades. The StreptAvidin-Biotin immunohistochemical process, using TIMP-1 and TIMP-2 monoclonal antibodie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The expression of TIMP-1 was positive in 5 of 17 oral SCCs with weak invasiveness and was positive in 8 of 19 oral SCCs with strong invasiveness. The TIMP-1 expression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P>0.05). The expression of TIMP-2 was strongly positive in 5 out of 17 SCCs with weak invasiveness and was strongly positive in 15 of 19 SCCs with strong invasiveness. The TIMP-2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the stronger the expression, the stronger the invasiveness (P<0.05).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histologic differentiation. We concluded that with respect to the invasiveness, the TIMP-2 expression increases significantly in oral SCCs but the TIMP-1 expression does not; and that with respect to the histologic differentiation, their expressions do not increas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IMP-2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invasiveness of oral SCCs.
        4,000원
        7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 잡종 ‘Charm’의 자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의 크기, 식재 간격, 깊이 및 시기를 조사하였다. 자구의크기가 2cm에서 8cm를 식재한 후 수확한 구는 8cm에서구의 둘레가 16cm 이상이었고, 개화 구근(구 둘레 15cm이상)의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다. 구의 둘레가 6cm인 자구를 간격 7.5×7.5cm 이상으로 식재하였을 때, 구근의 둘레가 14.7~15.2cm이고, 무게는 28.2~30.8g이었으며, MFB(marketable flowering bulb) 비율은 48.0~49.8%로 유의 차이가 없었으나 구근의 생산 수량을 감안하면7.5×7.5cm가 가장 이상적이다. 소구의 식재 깊이는 맹아율과 분구율, 구의 둘레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깊이3~5cm의 식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한 소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소구는 맹아율 17.8%이었으나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재한 것은 90.5%이었다. 노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은 0%, 비닐 피복은 13.4%, 짚 피복은 29.6%로 나타났다. 소구의 크기가 4cm를 10월 10일, 10월 27일과11월 10일에 무가온 온실에 식재하였을 때 맹아율은 모두 90% 이상이었으나,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커서10월 10일 식재인 경우 구 둘레가 13cm가 되었다. 따라서분화용 나팔나리는 구 둘레가 8cm 정도인 자구를 10월 초에 간격 7.5×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에 굴취하면 충분히 구 비대가 되어 개화용 구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4,000원
        7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gmingong provides Labor Force in the Cities and Enterprises had been the Source of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s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China's Economic System was the need to change. The Chinese Government ha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New Power So Nongmingong was received the Attention. However Nongmingong do not hav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 Differentiation Hierarchy. First, the Differentiation Hierarchy of Nongmingong the biggest Factors that interfere is a Dualistic Hukou System. Dualistic Hukou system is limited Economic Resources of Nongmingong. Second, Nongmingong has almost no resources required for Differentiation Hierarchy. Nongmingong has almost no Organization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sources, Nongmingong are mostly Middle School and there is no Technical Qualifications. So Nongmingong are mainly engaged in Physical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resources, the Recent Increase in the Wages of Nongmingong, but it is not enough Differentiation Hierarchy. Third, due to Obstacles to Nongmingong in China's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is limited. In order to Consumption Extension of Nongmingong must be expanded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must be reformed Hukou System. For Industrial Upgrading must be expanded Technical Education and must bed foster Skilled Workers.
        5,000원
        7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산재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 침적량의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1년 1월26일 분화가 시작된 일본 기리시마 화산을 대상으로 WRF와 확산모형 FLEXPART를 이용한 수치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상 1 km 이하 대기경계층내의 화산재 확산 특성은 26일 방출된 입자의 경우 주풍을 따라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27일 방출된 화산재는 큐슈남부에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리시마 만까지 확산된다. 겨울철의 강한 시베리아 기단이 발달한 26일의 경우, 기리시마 화산 풍하측에 위치한 미야기 현 중앙 산악 후면의 좁은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침적이 이루어진다. 또한 분화 지역 주변의 국지적인 고기압의 발달은 화산재의 수평 확산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침적량의 분포는 정량적인 측면에서 실제 화산 분출에 따른 영향과 매우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제시한 수치모의실험은 화산재의 이동 및 침적량 예측 및 산정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4,300원
        8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coida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s medicinal materials due to it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effect. However, osteoblastic effect by fucoidan is unknown in alveolar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BM-MSC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fucoidan 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ABM-MSCs and explore its mechanism. Cell proliferation was analyzed by crystal violet stain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alcium accumulation assay and gene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We found that fucoidan induced cell proliferation of ABM-MSCs. Furthermore, fucoidan increased the ALP activity, calcium accumulation, and osteoblast specific genes such as Runx2, type I collagen alpha 1. Moreover, fucoidan induces the expression of asporin and bone morphogenic protein (BMP)-2 and asporin.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finding indicate that fucoidan induc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ABM-MSCs and partially enhanced the mRNA expression of BMP-2 and aspori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