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6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류에서 발생하는 깍지벌레의 종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에 개나리 등 15종류의 화훼류에서 채집한 표본과 농업과학기술원에 소장하고 있는 화훼류에서 채집된 표본을 대상으로 동정한 결과, 5과 29속 45종의 깍지벌레가 확인되었다. 작물별로 조사된 깍지벌레는 개나리에서 3종, 국화에서 4종, 동백나무에서 15종, 목련에서 7종, 무궁화에서 3종, 배롱나무에서 1종, 장미에서 6종, 철쭉나무류에서 7종, 관음죽에서 2종, 벤자민고무나무에서 3종, 사철나무에서 12종, 주목에서 5종, 행운목에서 2종, 난류에서 6종 그리고 선인장류에서는 2종이 동정되었다. 한국 미기록 종으로는 동백나무에서 동백솜깍지벌레(신칭, Pulvinaria floccifera (Westwood))와 검은조개깍지벌레(신칭, Pseudaonidia paeoniae (Cockerell)), 무궁화에서 무궁화솜깍지벌레(신칭, Pulvinaria citricolar Kuwana)가 확인되었다.
        4,000원
        64.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6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7.
        199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의 화훼산업에 있어 생산물의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은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생산자적 측면에서는 화색, 화형, 일률적인 초장 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최근 화훼산업이 단일종으로 대형화, 전문화되어 감에 따라 하우스 내에서 생장을 조절하여 상품을 획일화 균일화시키고, 출하날짜 등을 맞추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술들이 필요해지고 있다.(중략)
        4,200원
        69.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0.
        199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1.
        199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2.
        199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3.
        199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4.
        199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5.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환경조형물이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수 있으나,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함으로써 어디를 가든 획일적 풍 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 공미술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이 패러다임 체인저(paradigm changer)가 될 수 있 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및 역할을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갖는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 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공성 등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 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지금까지의 공공미술은 주로 벽화나 환경조형물을 공 공장소에 설치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해왔고, 최근에는 도시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를 시 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조경이나 원예, 스트리트퍼니처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화훼디자인 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이 공공미술의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접 근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을 통해 여섯 가지 효용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체인 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7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하여 SNS 사용 인구가 증가하며 SNS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SNS 마케팅 활용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플라워샵의 SNS 마케팅 특성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 특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화훼디자인 상품의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SNS 특성을 사용자의 관점으로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SNS 특성이 화훼디 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정한 9개의 가설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SNS의 이용실태에서는 SNS 의 사용여부를 묻는 질문에 91.2%의 응답자가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42.3%의 응답자가 1시간 미만의 SNS 사용시간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으로는 정보지식 습득 및 공유(36.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범주(정보제공성, 상호 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모두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 중 정보신뢰성과 접근편의성에 의하여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 되었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훼장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워샵의 SNS에 서 게시하는 게시물의 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원하는 이미지와 정보를 보기 좋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들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신뢰 성(β=.354)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접근편의성(β=.319) 또한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에도 신뢰성이(β=.456)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이 화훼 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접근편의성 요인을 강화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7.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table floral decorat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satisfaction level and reuse intention which both result from one’s cognitive reactions and emotional effects from encountering table floral decorations in party cater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from respondents about their cognitive reactions, emotional effects, satisfaction level, and reuse intention on table floral decorations being used as a part of party catering.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cognitive factor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mood’ (β=0.404, p<0.001) and ‘artistry’ (β=0.288, p<0.001), among cognitive sub-factors of ‘artistry’, ‘mood’, and ‘harmony’, had large portions of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while harmony (p=0.494)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Examining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 factor, ‘dignified’ (β=0.420, p<0.001) was shown to have a larger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than ‘unique’ (β=0.263, p<0.001). From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0.827), high satisfaction level had a causal link to high reuse intention. Party catering will inevitably grow with the growth of Korea’s national income and as the leisure industry further develop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provides various approaches to conducting segmented research on table floral decorations in party catering.
        78.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ign New Certification of Floral Arrangement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o Using Competency Map. Currently the industrial base certification systems, not academic base, are emphasized. Because the industrial base certification system were derived by job analysis of industrial sites. The data were gathered by direct survey on industrial fields and internet homepages of HRD Korea and Q-net etc. and verified by brainstorming on the expert FGI and interview on the flower design industries. Certification events were 2 items such as ‘Unit Floral Arrangement L2’ and ‘Unit Floral Arrangement L4’, and critical duties and optional duties, and levels and required study time were derived. And Competency Map and lifecycle certification development paths were conducted, and the objectives and subjects, required tim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xpert and qualification of technical certification. In this study result, the certifications upto level 5 were suggested, if social and legal system would be served the certification level 8 or below could be developed and suggested. Finally news jobs, such as spatial floral arrangement and eco-friendly floral arrangement, are needed to be suggested and competency maps inked into unit flower design and certification events were develop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