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2

        6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설계 및 시공되는 대부분의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 공동주택은 상부벽체-하부골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상하부 구조시스템의 결합을 위해 전이보를 이용한다. 상부의 하중을 하부의 기둥 부재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 이보가 큰 강성을 지녀야하고 이로 인해 부재의 춤이 커져 많은 물량의 투입되고 전반적인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둥을 벽체요소로 대체하고 일반적인 콘크리트 전이보에 비해 규모가 작은 경계보를 수평 구조요소로 활용한 새로운 경계보-벽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축하중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설계변수로 상하부벽체 길이비, 경계보 부재의 전단보강근 간격, 하부벽체로 연속되는 상부벽체 수직근의 꺾임 비율, 슬래브 길이를 설정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분석하였다.
        4,000원
        65.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flanged truss hybrid beam is a new composite beam made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U-flanged truss beam.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hear capacity of U-flanged truss hybrid beams with the newly developed end reinforcement details. For all specimens, the maximum shear strength was determined by shear failure of concrete in the loading point The detail reinforced with stirrups at the end zone can exhibit the greatest shear strength, but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end zone using vertical steel plates, which is a relatively easy method to manufactur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detail in terms of shear strength and ductility. Also, in the case of U-flanged truss hybrid beams reinforced with vertical steel plates at the end zone, the shear strength can be evaluated on the safety side by using the Korea Design Standard formula.
        4,000원
        6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stress and vertical deflectional displacement according to cross sectional shape changes of the beam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11,000mm long horizontal beam showed stres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ross-sectional variation, with stress differences of up to 200MPa and at least 149MPa. The deflection at the end of the beam also differed by up to 586 mm and at least 208mm. The weight change appli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eel horizontal beam was up to 235kgf, at least 144kgf, and showed the best stress and deflection characteristics in the cross sectional shape with a weight of 185kgf. This allowed us to improve structural safety through sectional shape optimization despite the weight increase.
        4,000원
        6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lanthanum zinc oxide (LZO) film with the ion-beam irradiation, uniform and homogeneous liquid crystal (LC) alignment was achieved. To fabricate the LZO thin film on glass substrate, solution process was conducted as a deposition method. Cross-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OM) and the crystal rotation method reveal the state of LC alignment on the ion-beam irradiated LZO film. Between orthogonally placed polarizers, POM image showed constant black color with regular transmittance. Furthermore, collected incidence angle versus transmittance curve from the crystal rotation method revealed that the LC molecules on the ion-beam irradiated LZO film were aligned homogeneousl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n-beam irradiation and the LC alignment. The ion-beam irradiation changed the LZO film surface to rougher than before by etching effect. Numerical roughness values from AFM analysis supported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XPS analysis showed the chemical composition change due to the ion-beam irradiation by investigation of O 1s, La 3d and Zn 2p spectra. The ion-beam irradiation induced the breakage of chemical bonds in the LZO film surface and this occurred surface chemical anisotropic characteristics for uniform LC alignment.
        4,000원
        6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paper, the measurement criteria was determined by assess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asurement of bending resonance frequency which is not specified in KS F 2437. METHODS : The durability evaluation analysis of concrete beam specimens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It is primarily aiming at improving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by providing measurement criteria for various measurement factors that can occur during the collection of resonance frequency data. An independent concrete durability test (KS F 2456) was executed with the proposed measurement protocol for evaluation. RESULTS : A measurement protocol was proposed to determine the transverse resonance frequency of concrete beam specimens.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asurement protocol may be used for the concrete durability test; where the resonance frequency could be stably collected.
        4,000원
        7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H-Beam 부재에 TRM(Total Reinforced Member)공법의 적용을 통한 부재의 구조성능개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RM공법은 가교의 성능개선을 위해 적용되는 여러 공법 중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통해서 H-Beam 부재의 구조성능을 개선하는 공법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TRM공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차적으로 수치 해석을 통해서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선행하중을 결정하고, 순수 H-Beam 부재와 L형 강재가 용접된 부재 그리고 TRM공법이 적용된 3가지의 부재에 대한 구조성능 변화를 해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석적인 결과의 검증 및 공법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순수 H-Beam 부재와 TRM공법이 적용된 2가지의 부재에 대한 3점 굽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TRM공법이 적용된 부재에서 순수 H-Beam 부재대비 하부 플랜지의 발생응력 및 최대처짐이 각각 20.60%, 16.87% 감소 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4,000원
        7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대상은 도로 폭이 좁은 시가지에서 굴착공사 시 적용되는 장지간 주형의 연결부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연결부에서 상부 플랜지의 단차와 피로균열 등의 문제로 연결부의 신뢰도가 저하된다. 연결부의 결함을 보완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개선형 연결부를 개발하였다. 유한요소 기반의 상용프로그램(ABAQUS)를 이용하여 개선형 연결부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먼저, 개선형 연결부에 적용되는 고장력 볼트 연결 및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수치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비교논문의 실험결과와 수치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형 연결부를 해석하는데 있어 수치해석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 안하는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개선형 연결부와 일반형 연결부가 적용된 장지간 주형을 해석하였다. 장지간 주형의 탄소성 거동과 연결부의 응력분포를 수치 해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개선형 연결부의 도입으로 25%의 압축응력이 감소되며 구조적 성능 개선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74.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P 시트(Sheet)를 활용한 보강 공법은 제작 과정에서의 간편함과 시공의 용이성으로 현장에서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연구자들은 FRP 시트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의 휨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는 주로 탄소 섬유와 유리 섬유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바잘트 섬유시트의 역학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바잘트 섬유시트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 으로 바잘트 섬유 시트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모멘트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강도설계법, ACI440.2R (2017) 그리고 Park et al. (2005)의 예측값을 검토한 결과, 강도설계법은 실험값과 예측값의 비가 0.88로 나타났으며, ACI440.2R (2017) 설계식은 0.92, Park et al. (2005)은 0.97로 나타나 기존의 해석 방법은 휨모멘트를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안식은 실험값과 예측값의 비가 1.00으로 나타나 휨모멘트를 안전측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5.
        202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wo full-scale gravity load-designed reinforced concrete corner beam-column joints were tested by being subjected to uniand bi-directional cyclic lateral loading. The test variable was loading type: uni- or bi-directional load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oading type on the cyclic behavior of joint specimens, damage progression, force-deformation relation, contribution of joint deformation to total drift, joint stress-strain response, and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were investigated. The test data suggest that bidirectional loading can amplify damage accumulation in the joint region.
        4,000원
        7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explore fracture mechanism characteristics of ultra-thin chopped carbon fiber tape-reinforced thermoplastics (UT-CTT) hat-shaped hollow beam under transverse static and impact loadings. Three distinct failure modes were observed in the impact bending tests, whereas only one similar progressive collapse mode was observed in the transverse bending tests. The numerical model was to incorporate some hypothetical inter-layers in UT-CTT and assign them with the failure model as cohesive zone model, which can perform non-linear characteristics with failure criterion for representing delamination failure. The dynamic material parameters for the impact model were theoretically predicted with consideration of strain-rate dependency. It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ing approach for interacting damage modes can serve as a benchmark for modeling damage coupling in composite material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