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61.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on cell proliferation and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cyclin D1 protein level in human cancer cells. The branch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VOB) showed higher inhibitor effect against the cell growth than leave extracts (VOL) and fruit extracts (VOF) in human colorectal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non-small lung cancer, pancreatic cancer and liver cancer cells. In addition, VOB decreased cyclin D1 level at both protein and mRNA level. MG132 treatment attenuated VO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cyclin D1 degradation by VOB.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nuclear export by leptomycin B (LMB) attenuated cyclin D1 degradation by VOB. But, the treatment of PD98059 (ERK1/2 inhibitor), SB203580 (p38 inhibitor), SP600125 (JNK inhibitor), LiCl (GSK3β inhibitor), LY294002 (PI3K inhibitor) or BAY 11-7082 (IκK inhibitor) did not affect VOB-induced cyclin D1 degradation. In conclusion, VOB induced cyclin D1 degradation through redistribution of cyclin D1 from the nucleus to cytoplasm via T286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which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6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has been reported to exert the inhibitory effect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dose reductase. Recently, our group found that branch extracts of A. distichum (EAFAD-B) induce apoptosis through ATF3 activat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s. However, anti-cancer reagents exert their activ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various molecular targets. Therefore, the elucidation of potential mechanisms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may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we evaluated the regulation of cyclin D1 in human colon cancer cells. EAFAD-B decreased cellular accumulation of cyclin D1 protein. However, cyclin D1 mRNA was not changed by EAFAD-B. Inhibition of proteasomal degradation by MG132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nd the half-life of cyclin D1 was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EAFAD-B. In addition, EAFAD-B induced cyclin D1 phosphorylation at threonine-286 and the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Inhibitions of both ERK1/2 by PD98059 and NF-κB by a selective inhibitor, BAY 11-7082 suppressed cyclin D1 downregulation by EAFAD-B.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may result from proteasomal degradation through its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via ERK1/2-dependent NF-κB activa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new mechanistic link between EAFAD-B and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colon cancer cells.
        6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50%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branch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59.98% and 55.17% of relative activity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ascorbicacid), but the 50% ethanol extract showed relatively low activity. In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the ethyl acetateand butanol fractions showed 141.80% and 131.55% relative activity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s used for posi-tive control. On the other h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showed about twicehigher activity than positive control (arbutin). It means that the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from the extract of R.schlippenbachii branch has ability for used as effective radical scavenger and tyrosinase inhibitor.
        64.
        201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nary companions are often invoked to explain the axial and point symmetry seen in the majority of planetary nebulae and proto-planetary nebulae (PPNs). To explore this hypothesis, we have undertaken a long-term (20 year) study of light and velocity variations in PPNs. From the photometric study of 24 PPNs, we find that all vary in brightness, and from a subset of 12 carbon-rich PPNs of F-G spectral type we find periods of 35-155 days, with the cooler having the longer pe\-riods. The variations are seen to be due to pulsation; no photometric evidence for binarity is seen. A radial velocity study of a sub-sample of seven of the brightest of these shows that they all vary with the pulsation periods. Only one shows evidence of a longer-term variation that we tentatively identify as being due to a binary companion. We conclude that the present evidence for the binary nature of these PPNs is meager and that any undetected companions of these PPNs must be of low mass (< 0.25 M ) or long period (> 30 years).
        6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º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7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1.0kg이 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포에 비해 색차(δ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7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 포에 비해 색차(δE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 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