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6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nounced in 2001 that the overall amount of paddy land set aside for rice will be cut down by 12% by 2005, decreasing from 1.08 million to 953,000 hectares. When evaluating the value of paddy rice systems, the multi-function of paddy systems in the monsoon climate is vital importance. The main functions of paddy rice systems are to conserve biodiversity and maintain sustainability. Some crucial environmental benefits of the paddy rice systems include: flood prevention, recharge of water resources, water purification, soil erosion and landslide prevention, soil purification, landscape preservation and air purification. The paddy rice systems in Korea, which are more diverse than upland crop systems, are known to be composed of 14 orders, 36 families and 134 species. The sustain ability of paddy rice production systems can never be overestimated. Rice is part of the culture and even the heart of spiritual life in the area under the monsoon climate. Therefore paddy rice systems should be preserved with the highest priority being the enhancement of the systems' multi-function. As an outlook to future research, the need of joint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between economists and natural scientists at inland as well as international levels were emphasized in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of counter-measure logic through actual proofed analysis. paddy rice systems, the m
        62.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plan the effective irrigation project in unripened reclaimed paddy fields, the estimation of criteria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for the normal growth of crops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eaching requirements before cultivating crops, the consumptive use of water by the growth of crops, and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during the growth period in unripened reclaimed paddy fields.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n good permeable soils were estimated as 2,530mm for culvert treatment(S1CW3) and 3,080mm for non-culvert treatment(S1NW4), which were 1.8 times and 2.4 times as high as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n common rice fields, respectively. And, in case of poor permeable soils, 3,360mm for culvert treatment(S2CW4) and 3.580mm for non-culvert treatment(S2NW4) were estimated, which were 2.5 times and 2.8 times higher than the normal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respectively.
        63.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gh salt concentration of reclaimed tidelands in the beginning of reclamation interferes with the growth of most crops. Although the crops are cultivated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after desalinization to be arable, they we apt to be injured from salt by the resalinization through accumulated salts in the root zone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oder to make the reasonable irrigation plan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s well as leaching requirements have to be included i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The critical salinity for the normal growth of crops should be determined to estimate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nd the changes of salinity in soil and water should be analyzed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this study, the growth tests of crops were conducted by soil textures and water management methods in the experimental field with lysimeters, using the samples of good drainage soils and poor drainage soils. And the changes of salinity in soil and water during the growing period, were analyz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critical salinity and making the estimation criteria of the preventive water requirements of resalinization. A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zing the changes of salinity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the exchanging interval of water for the prevention of resalinization was estimated to be within two weeks in good drainage soils and a week in poor drainage soils. And the total exchanging requirements of water for the prevention of resalinization during the growing period was estimated to be over 280mm in good drainage soils and 540mm in poor drainage soils.
        64.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에서의 수문 특성을 현장 조사 및 측정하고,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논의 최대 잠재저류장의 확률적 특성을 분석하여, 선행강우조건에 따른 CN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CN은 AMC II의 경우 78이었으며, AMC-I, III의 경우에는 각각 63, 88이었다. 논의 강우-유출자료에 의한 CN은 년 홍수량 자료의 적용여부가 불확실하므로 이를 보완하고, 물고높이나 초기담수심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논의 물수지 모형을 구성하였다. 논의 유출량은 선
        65.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서남부평야지의 숙답과 간척답간 미질의 변이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 표준 재배법에 따라 재배한 동률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과 미질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간척지에서는 지역간 변이폭이 1~2cm였으나 숙답에서는 4~5cm로 컸으며, m2 당 수수는 숙답에 비하여 간척답에서 많았으나, m2 당 수수, 등숙비율 및 천입중은 간척답에 비하여숙답에서 많거나 높은 편이었다. 2. 쌀수량은 숙답평균(511kg/10a)에 비하여 간척답이 12%정도 감수경향이었고, 숙답에서는 대전(511kg/10a)이, 간척답에서는 영암(530kg/10a)이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3. 현미 완전입율은 숙답의 쌀이 놓았고 미숙입과 피해입은 간척지 쌀이 많아, 외관상 미질은 숙답의 쌀이 우수한 경향이었다. 4. 전분함량과 알칼리 붕괴도는 숙답미에 미하여 간척답미가 높았고, 단백질과 지방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간척미가 낮았다. 5. 간척답미가 숙답미에 비하여 Ca, Mg,Na 및 K등 무기성분 함량이 높았고 Mg/K 및 Na/K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6. 호화개시온도는 지역간 및 숙답과 간척답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정도는 대체로 간척답미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외관상 쌀품질은 숙답미에 비하여 간척답쌀이 떨어지는 편이었으나 식미는 약간 우수한 경향이었다.
        66.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답에서 모내기 전과 후에 발생되는 매자기의 효과약인 방제를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1. 모내기 경운 10∼15일전에 roudup 36EC의 2,000ppm 이상의 수준에서 기발생된 매자기를 완전히 고살시킬 수 있었다. 2..모내기 5일후의 destun 5G의 2∼3kg/10a처리는 매자기를 비롯하여 바다새 및 피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machete 6G의 4kg/10a의 처리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3. 모내기 25일후 bentaron 48% 액제의 2,000ppm 이상 처리는 매자기에 대하여서는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나 바다새 및 피에 대한 방제효과가 거의 없었다.
        67.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간 간척답에서 발생하는 매자기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매자기는 괴경중의 눈(아)으로 부터 발아된 후 주기부에서 3~4개의 지하경이 수평적으로 신장하여 새로운 분주를 형성하고 이 분주로부터 새로운 지하경을 형성하면서 증식한다. 2. 3cm 침수조건하의 지표하 5cm 이하에 매몰된 괴경의 발아는 되지 많았다. 3. 매자기의 발아생육은 5cm 침수구에서 가장 좋았던 반면에 7cm 및 10cm 침수구에서의 생육은 현저히 떨어졌고, 0cm구에서는 발아생육치 못하였다. 4. 염분농도가 0.1~0.5% 수준일 때 매자기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5. 매자기 생육의 최적 pH는 7부근이었다. 6. 매자기는 종자에 의해서도 발아생육 되며 NaOH와 HCI 및 자상처리로 종자의 발아율은 증가되었다. 7 매자기 경엽의 생장속도는 벼에 비하여 현저히 빠르며 이러한 경향은 일반숙답보다 간척답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8. 매자기 발생밀도의 증가에 거의 반비예적(r=-0.80**) 으로 벼의 수양은 감소되어 m2 당 매자기 3본구에서는 14.3%가, 200본구에시는 45.7%의 수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68.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서 . 남해안 간척지의 매자기 분포상황을 알기 위해서 전간척지 면적의 약 29%에 해당하는지역에 대해 설간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1. 매자기는 우리나라 중부의 경기도 강화군으로부터 남부인 전남의 양도, 고흥군에 이르기까지 전간척지에 분포되어 있다. 2. 전체 간척지의 평균 침입정도는 5 단계평가로 4.09에 이르고 있다. 3. 전체 조사지역중 73.04%가 평점 5및 4에 속하였다. 4. 전체 사사지역 어디에서나 매자기는 모내기 전과후 두차례에 걸쳐 발생하고 있었다.
        69.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문제 답 다년생 잡초인 너도방동산이, 가래, 올미, 올방개에 대하여 그 번식기관인 괴경 및 인경의 형태, 발아양상, 발생심도(담수 및 밭 상태), 번식과정, 형성량 등을 조사하였다. 1. 너도방동산이의 괴경은 근경에 의하여 수개씩 연결되어 있으며 괴경상에 횡경이 있고 이 횡경에 하나의 눈이 있다. 2~5개의 branch가 연결된 가래의 인경은 인편이 붙어있던 곳에 마디가 있고 이 마디에 하나씩의 눈이 있다. 올미 괴경에는 정아 외에 구부에 2개 내외의 측아가 있다. 올방개의 괴경에는 정단부에 4~6개의 눈이 모여 있고 이들은 포피에 쌓여있다. 2. 괴경 및 인경은 초단하였을 때 그 세편은 모두 발아 가능하며 완전한 형태일 때는 발아에 있어 정아우세성이 있다. 3. 휴면성은 올방개에서만 인정되었다. 4 너도방동산이는 밭상태에서는 지표하 10cm까지 발아생육이 가능하지만, 담수상태에서는 1cm구를 제외하고는 발아되지 않았다. 가래와 올미는 담수상태하에서 각각 지표하 30cm, 10cm까지 발아생육되나 밭상태에서는 발아되지 않으며, 올방개의 경우 담수, 밭상태 모두 지표하 30cm까지 발아생육되지한, 담수상태의 생육이 밭상태보다 양호하였다. 5. 번식과정은 네가지 초종 모두 공통적으로 발아한 후 3~5차까지 근경을 내어 신주를 형성하고 가을에 하방으로 신장한 근경의 선단이 비대하여져 괴경이나 인경을 형성한다. 6. 4월에 이식하여 타식물과의 경합이 없는 포장조건하에서 생육된 다년생잡초들의 수평분포범위는 너도방동산이 1.5m 1.3m, 가래 2.6m 2.2m, 올미 1.6m 1.9m, 올방개 2.3m 2.4m이었다. 7. 한개의 괴경 및 인경으로 부터 형성된 증가량은 너도방동산이 2,657개, 가래 2,495개, 올미 2,043개, 올방개 1,642개이였으며 네가지 초종 로두 일반적으로 괴경 및 인경의 형성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그 평균중량이 증가되였다.
        70.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년생 잡초의 지하번식기관의 토양중 분포조사와 추경심도 및 AVIROSAN에 의한 다년생 잡초 가래 방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얻어진 예비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너도방동산이와 올미의 괴경은 주로 0∼5cm의 깊이에 얕게 분포하여 있으나 가래의 인경과 올방개의 괴경은 각각 87%, 65%가 주로 10cm 이상의 깊이에 분포하였다. 2. 추경 20cm는 무경운, 무제초에 비하여 약 63%나 가래의 발생을 적게 하였다. 3. AVIROSAN 10a당 3kg 처리는 가래 방제에 특효하였으며 수량도 손제초 2회에 비하여 4% 증수되었다. 4. 보리짚 10a 당 250kg 처리도 가래의 발생억제는 물론 손제초 2회보다 1% 증수한 결과를 보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