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6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년부터 1993년까지 해충 피해가 나타난 66개 인삼 포장에서 해충의 종류와 피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곤충유로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큰다식풍뎅이, 애우단풍뎅이, 방아벌레, 땅강아지, 왕귀뚜라미, 조명나방, 숫검정밤나방, 도둑나방, 벼잎물가파리, 미동정 줄기굴파리류, 가루깍지벌레, 달팽이류도 들민달팽이와 명주달팽이 그리고 쥐류 및 꿩이 인삼을 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땅강아지, 들민달팽이, 명주달팽이의 발생빈도가 높은 편이었다. 인산의 지하부(뿌리) 피해는 경사지의 2년근 포장에서 춘기 (5~6월)과 추기(9~10월)에 나타나고 지상부(잎과 줄기) 피해는 평지의 3년근 이상의 부초 포장에서 춘기에 주로 나타났다. 3개 포장이 심한 지하부 피해로 인해 폐장되었다.
        4,000원
        62.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operative Korea-Japan investigation for the demersal fisheries resources of the East China Sea carried out by using the training ship Oshoro Maru belong to Hok-kaido University, Japan, during 1-8 November, 1991. The research vessel sampled 15 stations with demersal trawls on the East China Sea, and 1,364 nautical miles of track line were surveyed hydroacoustically. The hydroacoustic observations were taken with a scientific echo sounder operating at two frequencies of 25 kHz and 100 kHz, and a microcomputer-based echo integrator.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demersal trawling, and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were measured with a CTD system. The target strength of fish school was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scattering strength and catches caught by demersal trawling.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backscattering strength for 15 layers occupied by demersal trawls at 25 kHz ranged from -70.4 dB to -59.1 dB. Then the catch per one hour ranged from 8.2 to 587.5 kg/hour. 2. The mean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entire layer between transducer and seabed in the survey area of the East China Sea at 25 kHz and 100 kHz were -68.0 dB and -73.1 dB, respectively. 3. The mean fish-school target strength per one kilogram at 25 kHz and 100 kHz were -28.3 dB/kg, and -30.4 dB/kg, respectively.
        4,000원
        6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레저 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고로 척수손상장애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척수손상장애인의 인구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복지 측면에서의 수요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외출 및 외래진료에 어려움이 있는 척수손상환자들은 방문의료서비스의 이용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건복지부에서는 서비스 양적 확충을 위해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다각화 및 질적 향상 측면에서 체계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단편적인 만족도 및 욕구조사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CT 방문의료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4D프로세스 중 Define 단계로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비스 제공자 4명, 서비스 수요자 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구체적인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인터뷰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척수손상장애와 ICT 방문의료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국내, 국외에서 진행된 ICT 방문의료서비스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ICT 방문의료서비스 관련 이해관계자를 파악하였고 서비스 현황,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ICT 방문의료서비스 관계자 4명과 척수손상장애인 14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6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6가지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진료와 원격진료 병행으로 인한 업무의 부담이다. 둘째, 간접적 원격 진료에 대한 신뢰성이 낮았다. 셋째, 서비스 내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없었다.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없어 주요 정보 공유에 문제가 있었다. 넷째, 생체정보 측정 장비와 ICT 의료시스템과의 데이터 호환성에 문제가 있었다. 기기와 시스템 간 호환이 되지 않아 비효율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다섯째, 다수 환자에 대한 예방, 의료기록, 일정관리 등을 위한 ICT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여섯째, 다양한 특성의 척수손상장애인을 고려한 서비스 세분화이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6가지 시사점은 ICT 방문의료서비스디자인의 개선방향 설정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의료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개선방향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64.
        2018.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are becoming more pervasive than ever, many studies have evaluated the systems from the user perspective. Some of them have used surveys to measure consumers’ cognitive responses to the target technology. However, this method may cause problems if the survey participants do not have a useful frame of reference for evaluating an unfamiliar system. To examine this issue,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personal product knowledge on the predictability of a behavioral model, such a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series of measurement invariance tests as well as multi-group comparison tests were conducted for rigorous examination of the data.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nce of attitude that is explained by the two believe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was relatively small when the survey respondents had lower amount of product knowledge. Moreover, the group had weake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y, hinder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spondents should have a certain amount of knowledge of the target system in order to form accurate beliefs and behavioral deci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on sampling strategies for researchers with new technology.
        65.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women's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social factors related to such changes. The study reviews the field of women's political leadership, specifically the politic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world, and the impact of variables such as the changes in attitude on such particip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mprises 99 countries that are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and have participated in the third and fifth waves of the World Values S urveys. The sample consists of 31 such countries selected for sampling. Results ‒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to examine the hypotheses regression and the LISREL model a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namely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of wome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changing rate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s also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ese coefficients indicates that the results, with a 95% confidence level, can be extended to all member states.
        6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지역의 점토광상은 그 구성광물이 단사정계형 엽납석(pyrophyllite), 1T형 고령석(kaolinite)을 주로 하고 부구성 광물로서 견운모, 석영 및 장석류를 포함한다. 이들 점토광상은 유사한 시기에 유사한 성분을 가진 화산암류로부터 생성되었으며, 각 광상은 광물학적으로 엽납석과 고령석 중의 하나를 우세하게 포함하는 경향이다. 고령토 광상은 주로 다이아스포나 강옥을 포함하지 않지만, 광체 상부에 명반석을 흔히 포함한다. 반면에 강옥이나 다이아스포는 납석 광상에서 흔히 수반된다. 점토광체 상부의 규화응회암류와 응회암류 등 지질시대가 젊어짐에 따라 엽납석 및 고령석의 양은 감소하는 경향이며, 마침내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반면에 견운모, 석영 및 사장석류는 미약한 상부층에서 흔히 나타난다. 대부분의 점토광체는 상단부에 저색 응회암층이 오고, 그 상부로는 규화대층, 응회암층, 그리고 최상부에 각력 응회암층이 온다. 화학성분 분석에 의하면, Al2O3는 중-저급의 점토광체뿐 아니라 응회암류에서도 다소 높게 나타내며, 그 이유는 응회암류의 주요 구성광물인 사장석 때문이다. 광체와 모암에서 Na2O와 CaO는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내나, K2O는 광체에서 좀더 낮게 나타난다. 점토의 작열 감량은 명반석이나 다이아스포를 포함하는 부분에서는 특히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이들이 포함하는 Al2O3 및 SO4 성분에 의한다. 희토류함량분석에 의하면, 경희토류가 중희토류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향이며, 다소 미약하지만 부의 유러피움(Eu)이상대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점토광체는 주로 유백-담회색의 미립이며 층리가 양호하여 야외에서 구분이 어렵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괴상광체 등이 나타나는 곳에서의 효과적인 탐사를 위해서는 광체 상부 지층 중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지층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남지역에서 광체를 배태하는 층의 상단부에 연속성이 양호한 저색점토/응회암과 함께 그 상부로 층리와 연장성이 지극히 좋은 규화대가 확인되며, 광물조성 상으로도 광체 및 인근 지층과의 구분이 확실하므로 효과적인 점토광체 탐사를 위한 건층(key bed나 mark horizon)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6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지역에서 산출되는 납석은 좁은 의미의 납석(pyrophyllite)뿐 아니라, 고령토, 백운모, 석영 등을 포함하는 저급으로서 상업적으로 도석으로 분류되는 비금속광석류까지 포함한다. 납석광체와 주변 암층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통하여 비슷한 시기에 분출된 유사한 화산변질물도 지질조건에 따라 납석이 생성되거나, 혹은 고령토로도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납석광상에서는 또 다른 부성분 광물로 다이어스포에 비해 강옥이 흔히 산출되며, 다이어스포는 고령토를 소량으로 포함하는 납석광상에서 좀더 흔하여 강옥으로 가는 중간산물로 추정된다. 납석광상과 달리, 고령토광상에서는 강옥과 다이어스포가 확인되지 않으나, 고령토광체의 상단부에서는 심화점토화작용에 의한 명반석(alunite)의 산출이 흔한 편이다. 연구 지역에서 최하부에 위치한 광체를 포함하는 응회암층은 최상단부에 저색 응회암을 협재하며, 상부로 가면서 규화대층, 담백색 미세 응회암층 및 암설 응회암층 등이 확인되며, 이들 각 암층의 광물조성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즉, 지질시대가 젊어짐에 따라 납석/고령토함량이 감소하거나 거의 확인되지 않기도 하며, 백운모는 다소 증가하고, 사장석류와 석영은 상대적으로 양은 풍부하나 원래 암석에 포함된 것들이다. 전남지역의 납석/고령토광체는 대체적으로 층리가 뚜렷하여 연장 확인에 어려움이 없기도 하지만, 괴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의 효과적 탐사를 위해서는 암상과 연장성이 확실히 구분되는 지층(건충; key bed)의 선정이 필요하다. 납석/고령토광체의 상부에 오는 규화대층과 저색 응회암층은 야외조사에서 건층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이 확실하다.
        6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ad construction near the existing lighter's wharf has completed but the lighter's wharf has been still unavailable and neglected. Therefore, the site needs the urgent measures to clean up and properly take advantage of the lighter's wharf.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regional amenities and revitalize the coastal environment by creating an environment-friendly waterfront park utilizing features of the existing lighter's wharf as part of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develop an waterfront park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the land and improving the cleanliness and safety of the coastal scenic beauty, leading to various meaningful opinions on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potential park site, the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park,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park and the timing of park development. If an waterfront park is created through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t can share a sustainable utility value of the coastal area. Therefore, this will result in boosting the connection with redevelopment plan for the North Port, along with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s' life, strengthening Busan's status as a maritime tourism city.
        69.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in the peninsula located in Ongjeong-Li Seomyeon in Youngweol-gun. Since this is a limestone area, boxtrees, Abelia mosanensis T. H. Chung ex Nakai, and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were abundant, as these are type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limestone areas. Pinus densiflora S. et Z. was the most dominant woody plant, but vegetational changes, such as the dominance of 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mongolica Fischer, were observed in spots. In particular, the growth of nursery pla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as not observed, and young trees like Quercus mongolica Fischer grow as low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u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is predicted. Outside the investigation area, as herbaceous plants, various vegetations were observed, including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Thalictrum coreanum H. Lev., Mukdenia rossii(Oliv.) Koidz., Platanthera freynii Kraenzl.,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Patrinia rupestris(Pall.) Juss.,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Vicia venosa(Willd.) Maxim.,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Disporum smilacinum A. Gray, Artemisia stolonifera(Maxim.) Kom. for. Stolonifera, Smilax nipponica Miq.,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Regel) H. Hara, Isodon inflexus(Thunb.) Kudo,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Miq.) Ohwi, Dioscorea quinqueloba Thunb., Syneilesis palmata(Thunb.) Maxim.,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Galium kinuta Nakai & Hara,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Lilium amabile Palib., Siberian iris, Dictamnus dasycarpus Turcz., Atractylodes ovata(Thunb.) DC., and Lysimachia clethroides Dub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