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

        8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ner gate (The last gate inside a temple, facing the main hall) is not a well-known part in the temple construction of Joseon. This study is focused on seeking truth about the inner gate arrangement of the existing temples as well as proving that it has chang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gate-pavilion arrangement. The inner gate is related to the Cheondo ritual which is letting the dead people's spirits go to heaven, mainly performed in Buddhism, an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inner gate has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importance of gate-pavilions has been emphasiz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ritual. The inner gate was a common construction before the 18th Century but since that time, it has gradually disappeared and finally it faced the main hall as the gate-pavilion and made the 4 halls-centered arrangement with the temple dormitories on both sides.
        4,800원
        8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훼장식에서 대나무의 다양한 활용을 위 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월간잡지 플레르(Fleur)와 국제꽃장식대회의 대나무 작품 108개를 토대로 조사하 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에 따른 사용빈도와 작업형태, 조형형태, 그리고 작품 안에서 대나무의 배열 기법을 분석하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는 줄기가 전체 작품에 서 90%를 차지하였다. 줄기가 사용된 97작품 중에서 국제 꽃 장식 대회는 매년 4월에 열리는 특성으로 대 회에 나온 20작품을 제외한 월간 잡지 ‘플레르(Fleur)’ 의 77작품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월별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수는 새해의 시작인 1~2월과 한여름인 7~8월 이 가장 많았다. 줄기를 사용한 97작품에서 줄기가 사 용된 형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가공하지 않고 자연그 대로 사용한 작품이 63%로 나타났다. 작품 속에서 대 나무의 배열 기법은 수직 병렬형이 48%로 가장 많았 다. 기타는 수직, 수평, 사선에 포함되지 않는 원형의 작품들을 분류한 것이다.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작업유 형은 테이블장식을 포함한 50% 이상이 공간장식의 형 태를 나타내었다. 대나무가 소재로 쓰인 작품의 조형 형태는 장식적 형태가 64%, 그래픽적 형태가 30%, 선형적 형태가 4%로 나타났다.
        4,000원
        8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변장비 1:5인 플레이트거더 단면에 대하여 주거더의 위치 및 개수를 달리한 총 7종류의 단면을 대상으로 풍동실험을 통하여 비틀림 응답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서 2-거더 단면의 경우 진폭이 큰 2회의 와류진동이 발생하는 등 동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으나, 하부 거더의 개수를 1개 또는 2개를 추가한 경우, 플러터 한계풍속이 증가되었고 와류진동의 최대진폭이 감소하고 발생영역이 축소되는 등 거더의 추가가 내풍안정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브래킷부를 두는 경우, 와류진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브래킷 길이가 증가할수록 (-)영각에서의 발산진동에 대한 한계풍속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8.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a space for man in upper classes house that is one of appeared characteristics as Korea, China and Japan imported Confucianism become common cultural base in these countries. Because a space for man in these countries has the same nature represented as a typical space in a upper classes house, and this space is differentiated by regional features, a way of thinking, a way of life and social structure as well,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one another. Import of Confucianism influenced formation of a upper classes house and the spaces of the house are divided by generation, sexuality and classes. A space for man become a center of the house as well as a space for reception in accordance with patriarchism because this space stands for hierarchy of the house. A space for man of each country, Korea, China and Japan, has differences; that is, Chinese Jeongbang is used as a space for family as well as for guests; Korean Sarangchae is for only men and used as a reception space; Japanese Zasiki is used just for reception. Thes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re caused by owner's class, a civil officer or a military officer, and this class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on for guest. Even though the these countries take the space for man for meeting, Chinese is for family, Korean is for ancestors and Japanese is for guests.
        4,300원
        93.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disposition distance of city park for the plan of suitable arrangement of city park based on the date examining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density as the case of districts, it appeared highly in city center area which Seo-Gu district and Nam-Gu district besides Jung-Gu district. However, it apperared in a low Buk-Gu district, Dong-Gu district and Salseong-Gun. 2)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density as the case of regions, it appeared very highly Joukjun-Dong of Dalseo-Gu district(), Naedang-Dong of Seo-Gu district(). However it appeared in a low Yeuga-Maen() and Gachang-Maen() of Dalseong-Gun. The regions where the population density is high have very low green space and live a lot of low income layer. 3) The result of analysis of disposition distance, in the case of children park, it appeared an intensive distribution in Dongcheon-Dong and Guam-Dong of Buk-Gu district, Whanggm-Dong and Dusan-Dong of Suseong-Gu district, Sangin-Dong and Yeongsan-Dong and Walsung-Dong of Dalseo-Gu district. however, it appeared in a low in Jung-Gu district. The case of urban park of the neighboring area, it appeared the most in Dalseo-Gu district except 2 parks in Jung-Gu district, the case of urban park of the walking area, it appeared in equality in city. 4) In conclusion, the area hav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lots of low income layer, is in out of disposition distance should be considered in first for city park plan.
        4,000원
        9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온풍식 난방시스템 연통에 장착할 수 있는 폐열 회수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각 상이하게 설계된 3개의 열교환 장치에 대해 열회수 성능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A형 열회수시스템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과 현재의 농용 전력요금 하에서 대체로 1년을 전후하여 투자에 대한 보상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B형 및 C형 열회수시스템의 경우, 열 회수용 공기 흐름방향이 180˚굴절로 저항이 크게 발생되어 송풍팬의 전압 증가에 따른 유속 증가가 미미하며 동일한 열 교환면적에서는 송풍팬의 공기저항 증대로 열 회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되지는 못했지만, 직선형보다 B형의 경우 약 5%. C형의 경우 약 13%정도 높은 열 회수효율을 보였다. 송풍팬의 용량은 A형에 사용된 용량인 25m3/min전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송풍팬 용량 하에서 열회수성능은 헤어핀형이 직선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헤어핀형은 물론 직선형에서도 열교환 파이프의 배치밀도, 파이프 길이 및 두께 등의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일축인장하중을 받고 있는 8-매 주자직 복합재료의 적층 위상변화가 등가물성치 및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등가물성치 및 응력은 임의의 배열을 갖는 적층 구조물에 대한 단위구조 해석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마크로요소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 섬유다발 미세구조의 변화는 응력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다발 및 수지에서의 응력은 섬유다발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를 보였고, 수지영역에서의 최대응력은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였다.
        4,500원
        97.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후 임도사업(林道事業)과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 계획(計劃)에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코자 현재 개설(開設)되어 있는 임도(林道)를 중심으로 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에 대한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로 하는 최적임도배치(最適林道配置) 및 집재기능(集材機能)을 고려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을 평가(評價)하였다. 1. 적정(適定) 임도밀도(林道密度) 및 임도연장거리(林道延長距離)를 계산(計算)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각(各) 조사지(調査地)의 유성별(流城別) 기설(旣設) 임도밀도(林道密度)가 이론적으로 계산(計算)한 임도밀도(林道密度)보다 작았으며 앞으로 좀더 많은 임도개설(林道開設)이 필요하였다. 2.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로선배치법(林道路線配置法)에 의해 계산(計算)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과 기설(旣設)의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각(各) 조사지(調査地)에서 기설(旣設)의 임도망(林道網)은 공도적(公道的) 기능(機能)을 높이기 위한 임도망(林道網)으로서 우회률(迂回率)이 큰 임도로선망(林道路線網)인 반면,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은 공도적(公道的) 기능(機能)이 고려(考慮)되면서 임업적(林業的) 기능(機能)이 고려된 집재기능(集材機能)이 높은 수기형상(樹技形狀)의 임도망(林道網)으로 배치(配置)되어 계획구역(計劃區域)에 골고루 배치(配置)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설(旣設)의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이 다소 집재기능적(集材機能的)인 면(面)과 임업적(林業的) 기능(機能)이 결여(缺如)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이라고 하겠으며 앞으로 좀더 투자효과(投資效果)와 집재기능(集材機能)을 고려(考慮)한 임도배치망계획(林道配置網計劃) 필요(必要)하겠다. 3. 각(各) 조사지(調査地)에 대한 평균(平均)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와 평균(平均)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이 기설(旣設) 임도망(林道網)과 계산(計算)에 의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에 대한 수평거리(水平距離)와 사거리별(斜距離別) 평균(平均)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와 평균(平均)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집재수평거리(最大集材水平距離)를 동일하게 적용(適用)했을 경우, 기설(旣設) 임도망(林道網)과 계산결과(計算結果) 임도망(林道網)의 평균(平均)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와 평균(平均)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설(旣設) 임도망(林道網)을 기준으로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를 동일하게 적용(遭用)했을 경우도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를 수평거리(水平距離)와 사거리(斜距離)로 구별했을 때에 평균(平均)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와 평균(平均)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도배치(林道配置)를 가능하면 산능선(山陵線)이나 산복(山腹)을 중심으로 배치(配置)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설(旣設)의 임도(林道)와 계산(計算)하여 배치(配置)한 임도(林道)의 집재거리별(集材距離別) 평균(平均)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 집재면적률(集材面積率)의 수평거리(水平距離)와 사거리(斜距離)의 총 평균값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볼 때, 기설(旣設)의 임도(林道)보다는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이 임업적(林業的) 기능(機能)과 집재기능적(集材機能的)인 면(面)에서 더욱 효과적(效果的)이고 최대집재거리(最大集材距離)를 수평거리(水平距離)보다 사거리(斜距離)로 계산(計算)했을 경우가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이 작으므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을 가능하면 산복(山腹)과 산능선(山陵線)을 중심으로 배치(配置)하는 것이 집재기능(集材機能)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임도로선배치계획시(林道路線配置計劃時)에 가능하면 집재기능(集材機能)을 고려(考慮)하여 집재가능면적(集材可能面積)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을 구축(構築)할 필요가 있겠다. 4. 현재(現在) 개설(開設)되어 있는 임도로선(林道路線)이 산능선부(山稜線部), 산복부(山腹部), 계곡부중(溪谷部中) 어느 구역을 중심으로 개설(開設)되어 있는지를 평가(評價)하기 위해 임도로선(林道路線)의 위치(位置)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기설(旣設)의 임도로선(林道路線)이 대부분 산복부(山腹部)와 계곡부(溪谷部) 중심으로 배치(配置)되어 있었으며, 기설(旣設)의 임도망(林道網)이 집재기능(集材機能)이 다소 결여된 임도배치망(林道配置網)이므로 향후 좀더 집재작업(集材作業)시스템을 고려(考慮)한 임도로선배치(林道路線配置)가 요망(要望)된다.
        4,000원
        98.
        200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rrange Korean ancient calendar with Solar calendar during Choseon Dynasty(A.D. 1392-1910). In this period, we have one representable history books and several books, and most of information for date are found from them, ChoseonWangjosillok(조선왕조실록) and Jeungbomunheonbigo(증보문헌비고), etc. In those books many astronomical data and calendar information data are contained, so we can make chronological tables. Most of the data are arranged based on those several books, and for doubtable data are identified from eclipse, historical events and lunar phase calculations etc. We find that arranged chronological tables during Choseon Dynasty are similar to that of China and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Japan. In addition we summarize all misrecorded date data in ChoseonWangjosillok
        4,000원
        9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rranged ancient Korean calendar during Koryo dynasty (A.D. 918-1392) according to Julian calendar. We used two representative history books, Koryo-sa (高麗史) and Koryo-sa Jeolyo (高麗史節要), which contain thea stronomical and the historical records chronologically. We found all 19,727 ganji dates(日辰) and 102 misrecoreded ganji dates in two books. Most of the data are arranged based on those two books, and doubtful data are identified using the eclipse, historical events and lunar phase calculations etc. Although Korea, China, and Japan were using basically the same calendar since ancient times, their calendars show some significant disagreement. We found that arranged chronological tables during Koryo dynasty were, in some cases,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4,000원
        100.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BE법으로 580˚C에서 성장한 GaAs0.5Sb0.5/(001)GaAs 에피층의 원자 배열을 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2(111) 형의 장범위 규칙상이 GaAs0.5Sb0.5/(001)GaAs 에피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규칙상의 원자 배열은 As의 농도가 높은 111As 면과 Sb의 농도가 높은 l1lSb 면이 V족 소격자에 교대로 나열된 구조이며, 주기는 111 면간 거리의 2배이다. 이 구조는 R3m 의 공간군에 속하며, 단위포는 능면체정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