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101.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face heat balance of the northern sea of Cheju Island for summer in 1993 and 1994 is analyzed using the observation data obtained by Marine Research Institute, Cheju National University. Each flux elements at the sea surface is derived from the marine meteorological reports with application of an aerodynamical bulk method for the turbulent heat fluxes, and empirical formulae for the long-wave radiation heat fluxes. The flux divergence of oceanic heat transport and the rate of heat storage in the ocean are estimated as residual. The features of the surface heat balance are mainly decided by the solar radiation flux and the latent heat flux for 1994. But the Bowen Ratios were large for 1993. This means that the sensible heat fluxes were nearly equal to the latent heat fluxes for 1993. In this period, mean flux divergence of oceanic heat transport is about 130 W/㎡.
        102.
        199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luble solids and total carbohydrates of Citrus miyakawa wase harvested middle of November 1993 Topyung-Dong, Seogwipo-si, and Cheju were 10.7 and 8.57%, and carbohydrate was consisted of about 1/2 sucrose, 1/4 glucose and 1/4 fructose,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1.04%, and citric acid was 74.27% of total organic acids. Fruit weight, peel thickness, soluble solids, pH, hardness and edible part ratio had a good correlation in linear function with increasing fruit size. Total carbohydrate,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of citrus jam made on optimum conditions were 65.33%, 27.98%, and 51.40mg/100g , respectively. Microbial growth on the products were not recognized at 3 for a month. Compared with other related citrus jellying products, the test sample was excellent in appear ance, taste and total preference degree on sensory evaluation.
        103.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undwater levels at 11 sites and the vertical variations of the water quality at 1 site were measur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of Cheju Island.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for the groundwater levels were as follows; In the eastern part, inculding Kimnyong, Jongdal and Sungsan, a sinusoid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s occured in response to oceanic tides. The tidal effect on the groundwater level was reduced depending upon the distance from seashore. But time lag showed that the trend is reversed. However, in the Samyang, Kosan and Shinhyo areas show that the groundwater level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precipitation. Especially, Shinhyo area which southern part in Cheju was affected the most and show upper parabasal groundwater level. In Susan-I which eastern part in Cheju, well revealed that water quality changed with the period of a tide. Salinity at the 11m, bellow the natural groundwater level, was approched to the brackish groundwater(1000ppm).
        104.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stribu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cross the Cheju Strait and the Korea Strait have been measured by using a thermometer installed on board No.1 Cheju, a ferry that operates regularly between Pusan and Seogwipo. The data from 14 October 1991 to 15 August 1992 were analyzed in this paper. A clear temperature front is formed at the adjacent sea of Geomundo, and its position is not fixed and moves north and south. The slow northward movement of the front can easily be traced, but the southward movement from March to October is obscure. The temperature contrast in the Cheju Strait and the Korea Strait is very weak in this period. Some periodical fluctuations with a period of several tens of days are observed in the region of the temperature front from November to February. This fluctuation seems to be caused by winter heat flux exchange and the strong southeastward wind force. The result shows that continous observa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across the Cheju Strait and the Korea Strait yields a goo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f Tsushima Warm Current and the fluctuations of South Korea Coastal Water.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shelf front in the Cheju Strait and the Korea Strait was analysed based on the detailed oceanographic data observed during the period of 1990-1992. The analysis shows that well-defined fronts were formed through yearly around the Chuja Island, particularly in summer. In nature, its structure and formation position can be changed easily from year to year and by season. But, in region of the Korea Strait this front is relatively weak.
        105.
        199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luble solids(Brix), acid content and edible part ratio of Citrus unshiu collected at sorting Places in south Cheju area wee more lowered, and peel thickness was more thickened with increasing fruit size. Compared to early variety of Citurs unshiu(C. unshiu Miyakawa Mar), peel thickness of medium variety of Citurs unshiu(C. unshiu Hayashi Mar) was more thickened, and edible part ratio was more lowered with increasing fruit size. Soluble solids of medium variety of Citurs unshiu were lowered, and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compared to early variety. Processing properties for pressing concentrated juice was good for early variety of Citurs unshiu, especially on fruit diameter of 50-65mm. Soluble solids, acid contents and juice ratio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eel thickness. The quality properties for fresh fruit with peel thickness had a good correlation on early variety of Citurs unshiu, and these data are supposed to be applied to the quality evaluation of Citurs unshiu produced in Cheju.
        106.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지방산조성개량 및 무독박 성분개량육종의 성과로 13년전부터 무에루진산 양질품종을 장여보급한 제주도산 유채가 에루진산 함량이 높아 식용유로의 이용이 어렵게 됨에 따라 '92년산 정부수매유채종자와 '93년산 유채의 포장등숙중 시료의 에루진산 함량을 분석, 그 원인을 추적확인함과 동시에 금후의 유채 연구방향을 재정립하고자 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제주도 '92년산 정부수매유채는 에루진산 평균 함량에서 전체평균 47.7% 함유되어 있어 유채 유의 국제품질규격의 에루진산 함량 3∼5% 보다 10배나 높으므로 식용유로는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2. 제주도 '93년산 유채의 농가포장 등숙중 시료를 채취, 분석한 결과 포장에 따라 에루진산이 최저 25%로부터 48.5%까지 평균 37% 함유하고 있어 제주도의 농가포장에서는 무에루진산 장여품종이 재배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 3. 제주도에는 중국산 유채와 캐나다산 제유용 유채종실원료가 도입되어 있는바 중국산은 46.6%의 고함유 에루진산 원료였고 캐나다산은 50%인 것과 4% 에루진산을 함유한 원료가 도입되어 있었음. 4. '92 정부수매유채가 '93 포장농가유채보다 에루진산 함량이 훨씬 높고 고함량 에루진산의 외국산유채 도입이 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값싼 외국산 고에루진산 도입유채가 농가수매유채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5. 제주도산 유채는 품질로나 경영적인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없고 무에루진산 성분개량 품종의 수용에 무관심하므로 현재의 제주도 대상 유채육종은 중단하고 남부지역의 구조개선 2모작답을 대상으로 한 대형기계화 유채재배 적응품종육성으로 방향을 전환함이 바람직하다.tters of western interests, but "health".gs. Notable economic benefit has been achieved.d. 평가를 하고자 하며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았다. 6. 강남콩 전체가루 (13%, db)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는 시료 모두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시료 A가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고 시료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sim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107.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내 중산간지대 농업개발 지원을 위해 필요한 기후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로부터 농업기후지수의 하나인 증발산위를 계산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섬의 동쪽과 서쪽 중산간지대 기후를 대표할 수 있는 두 지점에 무인관칙소를 설치하고 퍼스컴통신 기술을 이용해 일사, 기온, 지온, 습도, 풍향, 풍속 및 항수자료를 수집하였다. 1989년 6월 한달간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두 지점간 일기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Penman식에 의해 증발산위값을 추정하였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순폭사에너지와 남서기류에 의한 Fohn현상에 의해 섬의 동쪽 중산간지대가 서쪽에 비해 1-2도 가량 높은 기온을 유지하였다. 지온은 두 지점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최고 및 최저온도 출현시각은 기온에 비해 4시간 지연되었다. 바람은 서쪽에서 강했으며 주야간 해륙풍 순환 현상도 동쪽에 비해 뚜렷하였다. 계산된 증발산위값은 동쪽이 서쪽에 비해 6% 높았으며 해안지대 추정값에 비해 30% 가량 높았다.
        108.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 있어서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청초 및 종실 겸용재배에 알맞은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초이용기간 등을 밝히고자 쌀보리(새쌀보리)와 맥주보리(두산 22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쌀보리는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에 관계없이 청예후 100% 생존하였으나 조파한 두산 22호는 증파, 증비할수록 1~2월에 예취시 청예후 생존율이 떨어졌다. 2. 두 품종 모두 조파할수록,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청초수량이 많았다. 증파, 증비함에 따라 청초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건초의 조회분 및 조지방은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 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은 증비할수록 증가되었고 청예시기가 늦을수록 감소되었다. 가용생무질소물은 층예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증비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조파할수록 일찍 출수 및 성숙되었다. 청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새쌀보리에서느 적었으나 두산 22호에서는 매우 컸었고 조파할수록, 정예종기가 늦을수록 정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컸었다. 증비에 의해 두산 22호의 성숙기가 3~5일 지연되었다. 5. 새쌀보리에서 보다 두산 22호에서 청예에 의한 간장단축이 컸었고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간장이 작아졌다. 6. m2 당 수수 및 수당입수가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에 의하여 감소되지 않았지만 두산 22호에서는 청예종기가 늦어질 경우 감소되었다. 7.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종실수량이 감소되었으나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종기가 2월 27일이어도 6~11%의 감수에 그치었다. 두산 22호에서는 12월 28일 이후 예취에 의하여 종실수량이 6~66% 감소되었다. 청예후 종실수량은 파종량과 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8. 제주지방에서 쌀보리와 맥주보리를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파종하여 10월 하순부터 2월 중순(맥주보리 12월 하순)까지 방목에 이용하여도 적절히 관리할 경우 관행재배와 비슷한 종실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109.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관기상자료만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농업분야 국지기상정보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지형기후 관계식에 의거한 제주도 전역의 정밀기후 추정 및 표출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도전역을 250m 간격의 직교격자로 구획하고 교차점의 해발고도를 지형도상에서 판독하여 사방 1km 지역(단위격자)의 평균해발고도, 평균경사도, 그리고 평균 경사방향 등 지형내자를 계산, 정량화하였다. 18개의 기존 및 신설 기상관측소가 위치한 단위격자의 지형 인자값과 실제 관측된 일최저기온값을 중회귀분석하여 지형일기온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로부터 미관측 격자에 대하여 주정치를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겨울철 일최저기온에 대하여 3개의 전형적인 기압계 유형별로 최적 추정식을 만들어 해안지대에 위치한 제주 및 서귀포 관측자료와 기압계 유형판별만으로 도전역의 일최저온 분포 예측을 가능케 하였다.
        110.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북사면 해발 450m에 위치하여 있는 자연초지를 개벽한 후, ha당 Dactylis glomerata 17kg, Festuca arundinacea 7kg, Lolium multifolium 2kg, Trifolium repens 2kg의 목초를 1975년에 추파하여, 1976~1985년까지 가축방목에 이용되고 있는 인공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초지조성후 연도별 침입잡초의 분포는 1976~1977년 초지에 각각 37종, 1978년 39종, 1979년 76종, 1980년 106종, 1981년 130종, 1982년 134종, 1983년 140종, 1984년 142종, 1985년 초지에서는 151종이었으며, 그 중 1976년에 불량잡초 8종, 가량잡초 29종이었으나, 년수가 지남에 따라 매년 증가되어 1985년에는 불량잡초 49종, 가식잡초 102종 이었다. 2. 초지조성후 연도에 따르는 침입잡초의 생태형별분포는 1976연에 1년생 12종, 다년생 25종, 목본1종이었으나 연수가 지남에 따라 매년 증가되어 1985년도에는 1년생 56종, 다년생 95종, 목본잡초는 9종이었다. 3. 연수의 경과에 따르는 도입목초의 연평균초장은 1976~1978연까지는 38.05~47.30cm로 길어지고 있으나, 1979~1985년까지는 40.50~10.36cm로 짧아지고 있는 반면(y=0.501~chi 2 +1.609~chi +41.946), 침입잡초의 초장은 1976년에 27.03cm였던 것이 매년 길어져 1985년에는 42.84cm(y=-0.080~chi 2 +2.540~chi +27.570)이었다. 4. 인공초지조성 이후 연도별 목초의 밀도변화는 1976연에 76.40%였던 것이 1985연에는 0.49%로 매년 감소(y=1.024~chi 2 -20.343~chi +99.841)되고 있으나 침입잡초는 1976연에 23.60%였던 것이 1985연에는 99.51 %로 매년 증가(y=1.024~chi 2 +20343~chi +0.160)되었다. 5. 연수경과에 따르는 도입목초의 생초수량변화는1976 ~ 1978년까지는 증가(2,808~3,535kg)되었으나 1979~1985년 사이에는 감소(2,326~35kg)되고 있는 반면, 침입잡초의 수량의 1976년에 308kg이었던 것이 1985년에는 3,178kg으로 매년 증가되었다. 6. 초지조성후 목초의 피도변화는 1976~1985년까지는 감소(43.01~l.21%)된 만면, 침입잡초의 피도는 1976년에 22.09%였던 것이 1985년에는 98.78%로 매년 증가되었다. 7. 인공초지조성후 년차별 식생형 변화는 1976~1978년까지는 Dactylis glomerata / Trifolium repens 형이었으며, 1979년 Trifolium repens / Imperata cylindrica 형, 1980 ~ 1982년 Imperata cylindrica / Zoysia japonica형, 1983 년 Imperata cylindrica / Pteridium aquilinum 형, 1984 ~ 1985년에는 Imperata cylindrica / Miscanthus sinensis 형으로 변화되었다. 8. 초지조성후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전진적인 변이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침입식물은 Imperata cylindrica, Zoysia japonica, Pteridium aquilinum, Miscanthus sinensis Cirsium japonicum,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japonica Lespedeza cuneata, Spodiopogon cotulifer, Cymbopogon tortilis, Plantago asiatica, Rumex acetosella 등이며 Digitaria sanuinalis, Hydrocotyl japonica, Artemisia asiatica 등은 개량초기에는 생육이 비교적 우세한 편이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후퇴적인 천이경향을 나타내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