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2

        104.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 중 어선사고가 약 7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해양사고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단순히 사고 발생률에 대한 분석과 사고 발생 빈도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사고 저감 대책의 수립과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사고 위험도 예측 및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심판원의 최근 5년간의 어선사고 통계에 근거하여 9가지 사고유형에 대한 위험도를 연도별로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객관적인 위험도 평가기준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고 유형별 사고 빈도와 사고 피해의 조합을 4사분면 상에 표시하는 2차원 사고 빈도-피해 매트릭스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고 빈도와 사고 피해의 영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위험도 평가 결과는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안전대책을 마련하는 정책 제안자로 하여금 보다 다양하고 현실적인 사고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위험도 평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각 사고유형에 대한 인적오류를 포함한 사고 원인의 상대적인 빈도 및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사고 유형별로 원인에 따른 차별화된 위험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4,300원
        105.
        201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iodontal disease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Accumulating evidences have indicated that Porphyromonas gingivalis , a major periodontopathic pathoge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that P.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LPS) increases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n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We showed that the MMP-9 expression induced by P. gingivalis LPS i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Furthermore, the inhibition of STAT3 activity reduced P. gingivalis LPS-induce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Overall, our findings indicate that P. gingivalis LPS stimulates the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ia STAT3-mediated MMP-9 expression.
        4,000원
        10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민 삶의 질적 추구와 여가생활 증진에 이바지하는 미술관의 역할은 수동적인 예술작품 보존의 공간에서 방문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전환됐다. 현대인에게 부족한 자연과 예술에 대한 향유와 보다 나은 휴식의 공간이 되기 위해선, 미술관의 역할을 내부공간에 국한시키지 않고 옥외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옥외 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추구한다. 연구 대상지로는 수도권을 대표하는 국공립 미술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과 소마미술관을 선정했으며 설문조사 및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해 후행 연구에 활용 가능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25개의 항목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 항목에 따라 현상 유지,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현시점에서는 고려가 불필요한 사항, 추후 시설 도입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보행공간에 대한 안전성과 연계상태 그리고 이동의 용이성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조성 과정에서 고려 또는 개선되어야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미술관의 옥외공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구비와 함께 쾌적한 휴식의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함을 명시한다.
        4,200원
        10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리막 소재의 투과도와 선택도 사이의 trade-off 관계로 인해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고분자 분리막에 무기물 나노입자가 들어가 있을 때, 기체투과 거동의 학문적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PDMS에 2~5 nm의 기공을 가지고 있으며 직경이 약 5 nm 크기의 aluminosilicate hollow nanoparticles 인 allophane을 이용하여 복합매질 분리막을 제조하여 기체투과특성을 연구하였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인 PDMS에 친수성 allophane, 그리고 나노입자에 undecylenic acid로 표면을 개질한 allophane을 막 내부에 고르게 분산시켜 함량 별로 복합매질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나노입자가 분산된 혼합매질 분리막 내에서 기체의 투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기체투과 거동과 나노입자가 가지고 있는 기공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표면개질된 allophane을 첨가함에 따라 기체 투과도와 산소/질소 그리고 이산화탄소/메탄의 선택도가 동시에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108.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SBS-g-POEM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온성 액체(EMIMTFSI) 및 ZIF-8 나노 입자를 사용하여 CO2/N2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혼합 매질 분리막(MMMs)을 개발하였다. SBS-g-POEM은 낮은 비용이 드는 자유 라디칼 중합 법을 통해 합성된 유연한 블록-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EMIMTFSI는 SBS-g-POEM 매트릭스에 용해시켰으며, 합성된 ZIF-8 나노 입자들 역시 공중합체의 매트릭스에 분산시켰다. 제조된 시료들의 특성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 시차 주사 열량계(DSC), 주사 전자 현미경(SEM), X선 회절 분석(XRD)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각 성분들은 서로 간의 좋은 혼화성을 나타내었다. 기체 분리 성능은 time-lag measurements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537.0 barrer의 CO2 투과도와 15.2의 CO2/N2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첨가된 EMIMTFSI와 ZIF-8 나노 입자는 CO2/N2 선택도를 크게 희생시키지 않고 기체 투과 도를 두 배 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9.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cycling of aluminum-based metal matrix composites(AMCs) embedded with SiC particulates. The microstructure of the AMCs i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the composite scrap is attempted from the melted alloy and SiC particulates by re-melting, holding and solidification in crucibles. The recovery percentage of the matrix alloy is calculated after a number of holding times, 0, 5, 10, 15, 20, 25 and 30 minutes and for different particulate sizes and weight fractions in the Al matrix.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overy percentage of the matrix alloy, as well as the time required for maximum recovery of the matrix, is dependent on the size and weight fraction of SiC particulates. In addition, the percentage recovery increases with particulate size but drops with the particulate fraction in the matrix. The time to reach maximum recovery falls rapidly with an increase in particulate size and fraction.
        4,000원
        110.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친화성이 좋은 에틸렌글리콜 사슬이 도입된 폴리설폰 기반의 고분자와 아민이 기능화된 ZIF8 무기입자 (ZIF8-A) 를 복합화한 유무기 복합 기체분리막 (MM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XRD, TGA, FT-IR, SEM 및 NMR 분석을 통해 분리막의 구조와 물성특성을 확인하였다. CO2/N2, CO2/CH4에 대한 가스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ZIF8-A 구조 내 아민 함량 증가에 따라 이산화탄소에 대한 투과도 및 선택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ZIF8-A 구조 아민기능기와 에칠렌글라이콜 사슬과의 입자와의 계면저항성이 낮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11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lasticization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n gas separation polymeric membranes. Mixed matrix membrane (MMM) comprising inorganic nanofiller is the most promising solution for anti-plasticization, however, it requires large amount of nanofillers to achieve desired performance. We adopted 2-D nanocomposite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ZIF) attached on graphene oxide to effectively prevent plasticization of polyimide membrane under mixed gas condition. ZIF nanofillers, known as suitable additiv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membranes, were grown on graphene oxide 2-D nanotemplates to maximize encounter frequency between gas permeant and nanofillers even in lower concentrations. The prepared MMMs successfully showed an improved mixed gas selectivity compapred to pristine membrane, indicating better anti-plasticization effect.
        11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veloped a facile methodology for fabricating a free-standing mixed-matrix membrane (MMM) containing covalently incorporated vinyl-functionalized UiO-66-CH=CH2 particles up to 60 wt% by utilizing thiol-ene photopolymerization. FTIR, TGA, SEM, EDX, and XRD strongly supported the fact that the desired MMM containing well-dispersed UiO-66-CH=CH2 particles was successfully produced by C–S bond formation. The MMM was highly flexible and showe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pristine polymeric membrane, indicating that the covalently immobilized UiO-66-CH=CH2 particles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polymer matrix. Gas permeability across the MMM was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with the pristine polymeric membrane as diffusion of the gas molecules was facilitated in the porous space of the MOF.
        11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ur study has analyzed whether inappropriate gonadotropin secretion affects the morphological changes due to the activation of intrauterine MMP. Methods A total of each 6 mice were injected with PMSG, Progesterone, and Androgen in 5 IU of intraperitoneal injection every 2 days after estrus synchronization, and morphological and MMPs expression patterns were compared after inducing hormone secretion. Also, cell survival and death related ge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endometrium was highly developed in the PMSG, and the androgen was not developed at all. In particular, the diameter of the uterus of the Androgen group was also very narrow. MMPs activity assay in the case of PMSG was confirmed that showed low activity, whereas, progesterone and androgen In showed high activity and, in particular, very high activity of MMPs in the case of androgen in glandular cell. The expression of VEGF in the tissues of each group was different from that of MMPs. In the PMSG group, the activity of VEGF was increased in both the Myo-metrium and the endo-metrium, whereas the progesterone group showed low overall expression in the endo-metriu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endo-metrial cell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ndometrial cell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bnormal secretory hormone. In particular, the secretion of androgen increased the activity of MMPs throughout the uterus, The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are affected by the progesterone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appropriate gonadotropin secretion increases the functional changes of the uterus and this reconstruction may be caused by increased activity of MMPs
        114.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nerally, in vivo, primary oocytes are grown and matured into secondary oocytes in the ovarian follicles. Quality of the oocytes matured in vivo is higher than that of oocytes matured in vitro,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materializing the microenvironment of ovarian follicles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oocyte. Therefore, we tried to mimic the stiffness of ovarian follicles using an agarose as a biocompatible natural polymer. Unfortunately, to date, there are no many reports on whether the quality of porcine oocytes can be increased effectively under the soft matrix. Accordingl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VM using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of agarose substrate on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orcine oocytes. Agarose substrate was constructed and cumulus-oocyte-complexes (COCs) retrieved from porcine medium antral follicles were matured on non-coated (control) culture dish or dishes coated with 1% and 2% (w/v) agarose substrate. Then, cumulus expansion,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and gene expression level were analyzed and compared. As the results, significant increase in blastocyst formation and cumulus expansion were detected in COCs matured on 1% (w/v) agarose substrate compared with control. Moreover, oocytes of COCs matured on 1% (w/v) agarose substrat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MP15 expression level compared with control. Pro-apoptotic gene BAX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oocytes of COCs matured on 2% (w/v) agarose substrate compared with control. In the glycolytic enzyme phosphofructokinase (PFKP) gene expression, cumulus cells of COCs matured on agarose substrat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FKP expression than control while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BAX expression than control.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quality of porcine oocytes could be increased efficiently by the IVM of immature oocytes on the soft culture matrix using agarose.
        11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향노루(Musk deer)는 우제목 사향노루과에 속하는 야생동물로서 현재 우리나라 강원도 비무장지대 인근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이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멸종위기종 사향노루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출현여부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존 가치가 높은 동물이며, 밀렵과 급격한 서식지 변화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사향노루를 대상으로 식생특성과 출현현황을 파악 하여 사향노루 서식지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사향노루 서식지 조사방법으로는 배설물과 흔적조사를 기준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지를 40 × 40(m) 격자 그리드를 형성하여 Site A(1~10), Site B(1~10)로 구분하여, 교목, 아교목, 관목의 수종과 수고, 흉고직경, 울폐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먹이자원으로 추정되는 이끼, 커버자원으로는 바위분포를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8년 2월부터 2018년 9월로 시간대는 10시부터 16시까지 진행하였다. 사향노루의 출현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흔적, 분장이 발견된 지점인 Site A1, Site A2, Site A3, Site B1, Site B2, Site B3, Site B4지점을 대상으로 디지털 방식의 적외선 무인센서카메라(Proof Cam03-ZEN2, USA)를 대상지 능선부를 따라 도보로 이동하면서 야생동물의 길목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위치한 나무의 지상에서 30~70cm 높이에 설치하여 24시간 동안 야생동물 출현 시에 자동으로 촬영 되도록 하였다. 사향노루의 배설물과 흔적조사 결과 해발고의 경우 600m에서 950m까지 흔적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주요 서식지로 판단되는 800m 이상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지형은 Site A와 Site B 모두 능선부로 분석되었으며, 향의 경우 남, 남동, 남서로 주로 남향을 이루었다. 대상지의 현존식생유형 구분은 Site A의 경우 혼효림, 소나무림, 참나무림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신갈 나무가 조사되었으며, 수고 6~30m, 흉고직경 10~53cm, 울폐도 60~80%로 조사되었다. 아교목층의 경우 졸참나무, 소나 무, 당단풍, 개옻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수고 2~15m, 흉고 직경 3~25cm, 울폐도 5~75%로 조사되었다. 관목은 쪽동백나무, 산앵도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등이 조사되었으며, 수고 0.5~3.0m, 울폐도 5~80%로 조사되었다. 먹이자원인 이끼의 경우 대상지 대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사향노루 배설물이 발견된 지역에서는 이끼와 바위가 없었다. Site B의 경우 교목층에서 물푸레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가 조사되었으며, 수고 6~30m, 흉고직경 9~60cm, 울폐도 60~80%로 조사되었다. 아교목층의 경우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개옻나무, 박달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수고 2~12m, 흉고직경 3~20cm, 울폐도 30~80%로 조사되었다. 관목층에서는 생강나무, 싸리, 철쭉, 진달래, 산앵도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수고 0.5~2.0m, 울폐도 5~70%로 조사되었다. 이끼의 경우 대상지 중 바위가 드러나는 지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근처 사향노루의 배설물은 없었다. 무인센서카메라 촬영결과 Site A1의 경우 산양, 노루, 다 람쥐, 오소리, 삵, 멧돼지가 확인되었다. Site A2에서는 산양, 노루, 다람쥐, 오소리, 삵, 멧돼지가 확인되었다. Site A3에서는 산양, 다람쥐, 오소리, 삵, 멧돼지가 확인되었다. Site B1의 경우 산양, 다람쥐, 오소리, 족제비가 확인되었다. Site B2에서는 사향노루, 산양, 다람쥐, 오소리, 멧돼지, 족제비, 청설모가 확인되었다. Site B3의 경우 사향노루, 산양, 노루, 오소리, 삵, 멧돼지, 담비가 확인되었다. Site B4에서는 사향노루, 산양, 다람쥐, 멧돼지가 확인되었다.
        11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cuticle or exoskeleton is an extracellular matrix consisting of three major morphologically distinct layers, the water-proofing envelope, the protein-rich epicuticle and the chitin/protein-rich procuticle. To accommodate growth, insects must periodically replace their cuticles in a process called “molting or ecdysis”. During each molt cycle a new cuticle is deposited simultaneously with degradation of the inner part of the chitinous procuticle of the old one by molting fluid enzymes including epidermal chitinases. In this study, we show a novel role for an epidermal endochitinase containing two catalytic domains, TcCHT7, from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belonging to a subfamily (group III) of insect chitinases in organizing chitin in the newly forming cuticle rather than in degrading chitin present in the prior one. RNAi of TcCHT7 reveals that this enzyme is nonessential for any type of molt or degradation of the chitinous matrix in the old cuticle. In contrast, TcCHT7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properly oriented long chitin fibers inside pore canals that are vertically oriented columnar structures, which contribute to maintain the integrity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light-weight, yet rigid, adult cuticle. Because group III chitinases are highly conserved among insect and other arthropod species, these enzymes have a critical role in the higher ordered organization of chitin fibers for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integrity of many invertebrate cuticular extracellular matrices. This work was supported by NRFs (NRF-2015R1A2A2A01006614 and NRF-2018R1A2B6005106)
        118.
        201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rmetallic compound matrix composites have been expected to be established as high temperature structural components. Ni3Al is a representative intermetallic alloy, which has excellent ductility even at room temperature by adding certain alloying elements. Ni3Al matrix composites with aluminum oxide particles, which are formed by the in-situ reaction between the alloy and aluminum borate whiskers, are fabricated by a powder metallurgical method. The addition of aluminum borate whiskers disperses the synthetic aluminum oxide particles during sintering and dramatically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The uniform dispersion of reaction synthesized aluminum oxide particles and the uniform solution of boron in the matrix seem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in strength.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strength with the addition of the whisker, and the maximum value is obtained at a 10 vol% addition of whisker. The Ni3Al composite with 10 vol% aluminum oxide particles 0.3 μm in size and with 0.1 wt% boron powder fabricated by the conventional powder metallurgical process does not have such high strength because of inhomogeneous distribution of aluminum oxide particles and of boro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i3Al with a 10 vol% aluminum borate whisker reaches more than twice the value, 930 MPa, of the parent alloy. No third phase is observed between the aluminum oxide and the matrix.
        3,000원
        11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mpared the expression of MMPs in these oocytes and cumulus cell throughout oocytes maturated.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MP activation and inhibitors in total protein of cumulus cell and, oocytes during oocytes maturation, we examined and monitored the localization and expression of MMPs (MMP-2 and MMP-9), TIMPs (TIMP-2 and TIMP-3), as well as their expression profiles (Real-time PCR, Gelatin Zymography and ELISA). Our results that the bovine oocytes MMP-2 and MMP-9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maturity of oocytes (P<0.05). In cumulus cell, MMP-2 was highly expressed in all stages of the oocyte’s maturation. The final oocytes maturation exhibited strong gelatinas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umulus cell MMP-9 and the maturation rate of oocytes. However, for the oocyte cytoplasm MMP-9 expression was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maturation oocyt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umulonimbus cells MMP-9 and oocyte maturation rates; however, for oocyte cytoplasm, MMP-9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ure oocyte. However, the TIMP-1 and TIMP-2 protein expression patterns are not correlated with the maturation rate of the oocyte. Our results suggest that MMP different expression pattern may regulate the morphological remodeling of oocyte's in the cumulus cell. Further, the MMP-2 expression has a strong relation with a higher maturation rate of the oocyte.
        4,000원
        12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bovine MMPs and to monitor their activity during the estrus cycle and pregnancy. During pregnancy, MMP-2 expression was detectable around 30 days but became insignificant by 60 days, then started to increase again around 90 days and reached the maximum at 250 days. The activity of MMP-2 protein changed in accordance with its expression level. As expected, the level of TIMP-2 exhibited a reverse pattern. About MMP-9, high level expression was observed as early as 30 days and gradually increase until 90 days. Then started to decrease after 250 days. Again, the sites of MMP-9 expression were similar to those of MMP-2. On the other hand, expression of TIMP-3 remained low until 90 days but showed a small and temporal increase around 250 days. In summary, expression of different MMPs were differentially regulated during estrus cycle and pregnancy. While the expression of MMP-2 was high in estrus cycle, MMP-9 slowly takes over with the progression of pregnanc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uteal tissue perform distinct functions during pregnancy and estrus. Perhaps the activity of MMP-2 is required for the structural remodeling of luteum, resulting the suppression of P4 inflow from blood. On the other hand, steady maintenance of MMP-9 throughout luteal development is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cell proliferation, maturation and angiogenesi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