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6

        121.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 크기가 약 16 및 5 nm인 두 다른 크기의 TiO2 나노입자들과 titanium tetraisopropoxide (TTIP) binder 와 ethanol 용매만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130 oC 저온 열처리로 ITO/PEN substrate 위에 메조다공성 TiO2 박막들을 형성하였다. 이들 TiO2/ITO/PEN 박막들을 활용한 유연 염료감응 태양전지들을 제작하여 광변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기가 다른 두 TiO2 나노입자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cell들의 경우에 크기가 16 nm 인 TiO2 나노입자 cell이 5 nm인 나노입자 cell에 비해 박막의 porosity가 훨씬 크고 같은 질량에서 표면적이 훨씬 넓어 광변환 효율이 훨씬 높으나 염료 흡착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광전류는 입자간의 연결성에 기인되며 큰 입 자에 작은 입자를 10% 정도 혼합한 경우에 표면적 증가와 함께 입자간의 연결성을 강화시켜 큰 입자 단독으로 제작 된 cell에 비해 광변환 효율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2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low temperature atmospheric plasma device with needle tip designed for easy approach to the oral cavity and root canal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Enterococcus faecalis and Candida albican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evaluated by measuring clear zone of agar plate smeared with each bacteria after plasma treatment. To quantify antibacterial effects, dilution plate method was used. In addi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as used for observation of changes in bacterial morphology. As treatment time of plasma increased, the clear zone was enlarged. The death rate was more than 99%. The SEM results showed that the globular shape of bacteria was dist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edle tip plasma could be an innovative device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treatment of apical infection and soft tissue diseases.
        4,000원
        1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산부산물의 추출물의 유효 성분 함유량을 최대화 하면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저온 열분해 탄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왕겨 및 은행잎을 재료로 Thermo Gravimetric Analyzer(TGA;열중량분석기) 추출 실험을 실시하여 열분해속도를 구명하였다. 두 시료는 가열속도 5∼ 50℃/min에서, 가열온도 40∼70℃에서 탈휘발이 시작되어 200∼300℃까지 탈휘발이 활발히 진행되면 서 열분해 속도가 가장 높으며 약 300℃에서 열분해속도가 급감하여 400℃이내에서 열분해가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속도가 높아질수록 열분해가 시작되는 온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최적 가 열속도는 30℃/min로 추정되며 이때 두 시료의 열분해속도는 9%/min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 산부산물의 열분해가 완료되는 온도는 가열속도에 관계없이 400℃ 이내로 추정된다.
        4,000원
        124.
        2015.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room- and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of hypoeutectoid steels with ferritepearlite structures. Six kinds of hypoeutectoid steel specimens were fabricated by varying the carbon content and austenitizing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structural factors such as pearlite volume fraction, interlamellar spacing, and cementite thickness on the impact toughness. The pearlite volume fraction us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 and austenitizing temperature, while the pearlite interlamellar spacing and cementite thickness mos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 and austenitizing temperature. The 30C steel with medium pearlite volume fraction and higher manganese content,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d a higher volume fraction of pearlite than did the 20C steel, showed a better low-temperature toughness due to its having the lowest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This is because various microstructur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pearlite volume fraction largely affect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of hypoeutectoid steels with ferrite-pearlite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the room- and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of hypoeutectoid steels with different ferrite-pearlite structures, therefore, more systematic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various microstructural factors on impact toughness, with a viewpoint of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4,000원
        125.
        2015.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nfluence of niobium(Nb) addition and austenitizing temperature on the hardenability of low-carbon boron steels. The steel specimens were austenitiz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cooled with different cooling rates using dilatometry; their microstructures and hardness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hardenability. The addition of Nb hardly affected the transformation start and finish temperatures at lower austenitizing temperatures, whereas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ransformation finish temperature at higher austenitizing temperatures.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non-equilibrium segregation mechanism of boron atoms. When the Nb-added boron steel specimens were austenitized at higher temperatures, it is possible that Nb and carbon atoms present in the austenite phase retarded the diffusion of carbon towards the austenite grain boundaries during cooling due to the formation of NbC precipitate and Nb-C clusters, thus preventing the precipitation of M23(C,B)6 along the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thereby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the boron steels. As a result, because it considerably decreases the transformation finish temperature and prohibits the nucleation of proeutectoid ferrite even at the slow cooling rate of 3 oC/s, irrespective of the austenitizing temperature, the addition of 0.05 wt.% Nb had nearly the same hardenability-enhancing effect as did the addition of 0.2 wt.% Mo.
        4,000원
        12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Co 및 Mo 촉매에 의한 반응시간과 농도변화에 따른 저온열분해 액화특성을 파악하고자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특정 온도(425, 450, 475℃)에서의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열분해 시간은 20~80분으로 설정하였고 생성물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증류성상 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450℃ 반응온도에서 촉매 사용에 따른 전환율은 모든 반응시간에 있어 Mo 촉매 > Co 촉매 > 무촉매 순이었다. Co 및 Mo 촉매 농도별 PP 전환율 및 열분해 생성물 수율은 Co:Mo=50:50 혼합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7.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rge amount of effluent water would be produced from low temperature coal catalytic gasification (LTCCG) developed by ENN Co, Ltd, which located at Langfang, Hebei Province. Many phenol homologous compounds and a large amount of other organic compounds were contained in this effluent water, but the overall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compounds was not very high (CODCr value was about several thousands mg/L). Too high cost would occur if treating it with a traditional liquid-liquid extraction process, and it was a waste of resources if the effluent water was directly purified with biochemical technology. In this paper, a decontaminating and recycling technique was developed for an effluent water, and a two-step technique includes flocculation-recycling and ion exchange adsorption-elution processes. By this two-step process, the CODCr value of the final outlet water was decreased to meet the related national standards, and at least 90% of the organics in the effluent water could be recovered.
        4,000원
        12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간의 저온처리 방법이 팔레놉시스의 화경 발생과 엽 의 세포질 내 칼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간 25oC의 항온저온 처리보다, 25 ~ 20oC 의 변온 처리가 화경 발생을 2주일 가량 단축시켰다. 그 원인은 주간의 평균 저온 때문이 아니라 변온처리 그 자 체의 효과 때문이었다. 저온 처리에 의한 엽의 세포질 내 Ca농도 증가 를 조사하기 위하여 PaCDPK1 유전자 발현 을 측정하였다. 화경 유도를 억제시키는 30oC 고온처리에 서의 PaCDPK1 유전자 발현은 25oC와 25 ~ 20oC 처리보 다 낮았다. 특히, PaCDPK1 유전자의 발현은 25 ~ 20oC 의 변온 저온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 보다 3배 이상 높 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화경 발생 소요일수가 변온 저온 처리에 의해서 단축될 수 있으며, 화경 발생 소요일수의 단축은 세포질 내 Ca 농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말 해주고 있다.
        4,000원
        12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나팔나리의 구근 크기, 저온처리 및 입실 시기 에 따른 개화 반응을 연구하였다. 국내 육성 분화용 나 팔나리 ‘White Eve’와 ‘White LoSong’의 구근을 대상으 로 구근의 크기가 18~20cm 일 때 화수가 3개 이상이며 초장은 30cm 정도 였으며, 개화소요일 수는 138일 내외 로 소요되었다. 한편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Charm’ 의 저온처리에 따른 개화용 구근의 휴면타파 시험 결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 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개화율이 100%였고, 정식 후 개 화소요일은 135일이었고, 개화수는 6개 이상으로 양호하 였으며, 초장도 30cm 이하로 상업적 분화용으로 적절하 였다. 분화용 나팔나리 ‘White Eve’를 대상으로 11월 15일, 12월 1일과 12월 15일의 정식시기에 따른 개화시 기는 야간 처리온도가 15oC일 경우 10oC보다 10 ~ 20일 정도 빨랐고, 정식시기가 늦을 수록 개화시기가 빨라서 15oC에 12월 15일 정식은 115일이 소요되어 4월 초에 개화되었다. 나팔나리 구근의 크기 18 ~ 20cm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우수한 분화 생산이 가능하다.
        4,000원
        130.
        2014.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rmoelectric power and dc conductivity of La2/3+xTiO3-δ (x = 0, 0.13) were investigated. The thermoelectric power was negative between 80K and 300K. The measured thermoelectric power of x = 0.13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d temperatures and was represented by S0+BT. The x = 0 sample exhibited insulating behavior, while the x = 0.13 sample showed metallic behavior. The electric resistivity of x = 0.13 had a linear temperature dependence at high temperatures and a T3/2 dependence below about 100K.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resistivity of x = 0 has a linear relation between lnρ/T and 1/T in the range of 200 to 300K, and the activation energy for small polaron hopping was 0.23 eV.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rmoelectric power and the resistivity of x = 0 suggests that the charge carriers responsible for conduction are strongly localized. This temperature dependence indicates that the charge carrier (x = 0) is an adiabatic small polar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spin (x = 0.13) and small polaron (x = 0) hopping of almost localized Ti 3d electrons.
        4,000원
        13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소금 함량을 낮추기 위해 유기산과 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하고 과일을 첨가하여 김치의 저염화와 동시에 미각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저염김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소금 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저염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염김치에 대한 이화학분석, 미생물학 분석,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저염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pH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소금 농도가 낮을수록 pH가 낮았고, 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염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작은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증감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당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강도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균 첨가 여부 및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소금 농도에서 저장온도에 따른 조직감 차이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염김치의 미생물 결과 총균수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농도와 균 첨가와 관계없이 총균이 증식함을 알 수 있었다. 저염김치의 관능평가 결과, 냄새, 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이형발효 종균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결과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균과 유기산을 첨가하여 소금 함량을 낮춘 저염김치를 개발하였고, 저장온도에 따라 발효하는 동안 이화학, 미생물 그리고 관능적인 변화를 통해 적숙기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한 일반인, 당뇨와 고혈압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식이요법에 도움이 될 것이다.
        4,200원
        132.
        201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Cu and B on effective grain size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of thermo-mechanically processed high-strength bainitic steel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pecimens was analyzed using optical,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ir effective grain size was also characterized by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To evaluate the strength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tensile and Charpy impact tests were carried out. The specimens were composed of various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s such as granular bainite (GB), degenerated upper bainite (DUB), lower bainite (LB), and lath marteniste (LM), dependent on the addition of Cu and B. The addition of Cu slightly increased the yield and tensile strength, but substantially deteriorated the low-temperature toughness because of the higher volume fraction of DUB with a large effective grain size. The specimen containing both Cu and B had the highest strength, but showed worse low-temperature toughness of higher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DBTT) and lower absorbed energy because it mostly consisted of LB and LM. In the B-added specimen,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best combination of high strength and good low-temperature toughness by decreasing the overall effective grain size via the appropriate formation of different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s containing GB, DUB, and LB/LM.
        4,000원
        13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2년 3월 저수온기 동해연안의 10개 정 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세포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총 개체수는 3.4 ×106~7.6×106 cells L-1, 탄소량은 0.08×108~6.3×108 pg L-1로 나타났다. 개체수를 기반으로 생물량을 보았을 때, 극미소플랑크톤의 비율이 미세∙미소 플랑크톤보다 높았다. 그러나 탄소량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량을 보았 을 때, 극미소플랑크톤은 세포 크기가 작아 기여도가 미 미하였고, Coscinodiscus속과 같이 크기가 큰 종들은 기 여도가 높았다. 이와 같이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정 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으로 여러 항목 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 톤의 군집 구조를 확인한 결과, 총 10개 정점 중에 8 정 점에서 극미소플랑크톤이 우점하였다. 또한 8개 정점에 서 미소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미세플랑크톤보다 높은 비 율을 나타냈다. 미세∙미소플랑크톤 중에서는 규조류의 비율이 95% 이상이었다. 극미소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살펴보면, 5가지의 형태학적 특성이 다른 군집이 확인되 었으며, 7개 정점에서 S type이 가장 우점한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극미소플랑크톤이 차지 하는 생태학적 기여도가 커 이들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그들의 분류학적 체계 구 축과 생리학적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변화하고 있는 동해연안에서 생물 군집 변화 현상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3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high conversion efficiency of NH3 and minimiz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using metal-supported catalyst with Ag : Cu ratio.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the prepared catalyst with Ag : Cu ratio ((10-x)Ag–xCu (0≤ x ≤6)),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was decrease with increasing metal content. A prepared catalysts showed Type Ⅱ adsorption isotherms regardless of the ratio Ag : Cu of metal content, and crystalline phase of Ag2O, CuO and CuAl2O was observed by XRD analysis. In the low temperature(150∼200 ℃), a conversion efficiency of AC_10 recorded the highest(98%), whereas AC_5 (Ag : Cu = 5 : 5) also showed good conversion efficiency(93.8%). However, in the high temperature range, the amounts of by-products(NO, NO2) formed with AC_5 was lower than that of AC_10.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C_5 is more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suitable.
        4,000원
        13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cyc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for cascade heat exchanger using alternative freon refrigerants is presented to offer the basic design data for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e system. This system consider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a high temperature cycle using Freon refrigerant R23, R508B and low temperature cycle using Freon refrigerants R22, R507A.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is system include subcooling and superheating degree, evaporating temperature, compressor efficiency, and so on.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OP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using R23/R507A is the highest results in this study. The COP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only in high temperature cycle is the highest value among three cycle, such as only low temperature cycle, only high temperature cycle and all the cycle
        4,000원
        136.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e MgH2 was milled under a hydrogen atmosphere (reactive mechanical grinding, RMG). The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the prepared samples were studi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423 K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ure Mg. The hydriding rate of the Mg was extremely low (0.0008 wt% H/min at n = 4), and the MgH2 after RMG had higher hydriding rates than that of Mg at 423 K under 12 bar H2. The initial hydriding rate of MgH2 after RMG at 423 K under 12 bar H2 was the highest (0.08 wt% H/min) at n = 2. At n = 2, the MgH2 after RMG absorbed 0.39 wt% H for 5 min, and 1.21 wt% H for 60 min at 423K under 12 bar H2. At 573 K under 12 bar H2, the MgH2 after RMG absorbed 4.86 wt% H for 5 min, and 5.52 wt% H for 60 min at n = 2. At 573 K and 423 K under 1.0 bar H2, the MgH2 after RMG and the Mg did not release hydrogen. The decrease in particle size and creation of defects by reactive mechanical grinding are believed to have led to the increase in the hydriding rate of the MgH2 after RMG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423 K.
        4,000원
        137.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lution-based Sb-doped SnO2 (AT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using a low-temperature process werefabricated by an electrospray technique followed by spin coating. We demonstrated their structural, chemical, morphological,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field-emission scanning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py, Hall effect measurement system, and UV-Vis spectrophotometry. In order toinvestigate optimum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at low-temperature annealing, we systemically coated two layer, four layer,and six layers of ATO sol-solution using spin-coating on the electrosprayed ATO thin films. The resistivity and opticaltransmittance of the ATO thin films decreased as the thickness of ATO sol-layer increased. Then, the ATO thin films with twosol-layers exhibited superb figure of merit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a low temperatureprocess (300oC) can be explained by the effect of enhanced carrier concentration due to the improved densification of the ATOthin films causing the optimum sol-layer coating. Therefore, the solution-based ATO thin films prepared at 300oC exhibitedthe superb electrical (~7.25×10−3Ω·cm) and optical transmittance (~83.1%) performances.
        4,000원
        13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과 산화안정성은 주로 녹는점이 높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함량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는 동물성 유지인 우지 유래 바이오디젤에 요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을 저감시켜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 개선과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이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에 혼합함으로써 식물성 바이오디젤(유채유, 폐식용유, 대두유 및 동백유)의 저온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포화도 저감을 통해 저온필터막힘점을 최대 –15℃까지 낮추었고, 포화도가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과 혼합함으로서 식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필터막힘점을 -10 ~ -18℃까지 낮출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식물성 유지 유래 바이오디젤의 저온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국내 겨울철 환경조건에서 연료유로 적용 가능성을 증대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3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UVc 처리, 열수처리와 고 CO2 처리가 저온저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온장해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소량으로 다른 작물과 혼합 선적할 때 유지되는 5oC 이하의 저장 유통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처리 후 20일간 저온저장 후 상온에 5일간 저장하였다. 생체중은 MAP 조건이었던 고 CO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상온 저장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에틸렌은 주기적으로 3% 내외의 수치를 보였다. 고 CO2 처리구는 저장 종료일인 25일에는 약 33%의 고 CO2 농도를 나타냈다. 저장 최 종일에 측정한 경도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저온 장해 현상이 완화되었던 열수처리에서 높았다. 저온장해 정도의 지표가 되는 전해질 용출량은 저온장해 발생온도 인 4oC에서는 고 CO2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열수 처리와 UV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비저온장해 대조 구(7o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저장최종일에 측정한 호흡률에서는 열수처리가 가장 낮아 저온장해가 완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온장해 완화 효과를 보인 열수처리와 UVc 처리는 소량으로 다른 작물과 혼합 선적할 때 유지되는 5oC 이하의 저장 유통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4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발육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결정하고, 이 상태의 생리적 특성을 서로 다른 기능군(대사, 신경, 면역 및 스트레스)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알부터 번데기까지 파밤나방의 발육영점온도는 5.5~11.6℃로 다양하였다. 유충은 알과 번데기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발육이 가능하였다. 5령충의 경우 생리적 발육영점온도가 추정치(10.3℃)와 다르게 이보다 높은 15℃에서 관찰되었다. 정량적 RT-PCR로 분석된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유충 영기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기능군의 대부분 유전자의 발현량이증가하였고, 또한 5령 시기에서도 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비록 동일한 갓 탈피한 5령이라 하더라도 이전에 노출된 외부 온도에 따라 발현량이 상이하였다. 5령충의 생리적 발육영점온도인 15℃에서 대부분의 유전자 발현량은 저하되었다. 그러나 높은 온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발육영점온도에서 파밤나방의 발육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전체적으로 수준은 낮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