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2

        14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기관인 요양원과 주간보호센터의 조직유효성과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노인복지기관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사회복지 정책과 조직유효성에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유효성, 시설장의 리더십유형 및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시설장의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이 이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9,600원
        144.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bile channels have dramatically revolutionized how brands connect with consumers. Indeed, smartphones, tablets or any portable device present marketers the possibility to contact consumers at any time and any place. Notwithstanding the opportunities deriving from being constantly in touch with consumers, two major challenges are anyway represented by the need of avoiding consumers’ annoyance with too much information and by the one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messages. Hence, how to catch recipients’ attention is fundamental to develop effective mobil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is perspective, gamification could be a competitive hedge in current digital environments. Namely, gamification has been identified as the use of attractive and addictive characteristics of games in different context such as advertising messages. As of today, extant literature on the topic most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different motivations to use gamified mobile channels (i.e. hedonic, utilitarian motivations) as well as the factors amplifying the effects of gamification on the persuasiveness of marketing messages (i.e. the design of the gamified mobile advertising). Accordingly, we argue that gamification could help to catch consumers’ attention and influence their engagement with the message and purchase intention. Previous studies, indeed, have not analyzed the factors -such as engagement- poten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intention to use mobile channel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Next, whether gamified advertising could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as yet to be assessed. Moving from such two gap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gamification in advertising research. In detail, this research develops and tests a model where consumers’ perceived gamification (measured thanks to the GAMEX scale) as well as consumers’ engage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motivations to use a mobile channel,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Consumers’ expertise in mobile technologies is consider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ith a sample of 590 Italian millennials, the most technology savvy consumers cohort (thus, the one mostly using mobile channels), has been us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Results of the analysis allowed to proposed several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theory and practice.
        145.
        202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교사와 영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영아의 건전한 성장발달과 보육의 질을 향상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독립변수는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 종속변수는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은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은 직무 만족을 통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100원
        15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목적은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작자의 의도는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 발 전과 함께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가치 있는 건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강서성의 문화산업계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로 창업자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주로 사용된 요소는 성취경향, 혁신경향, 진취경향, 모험적경향이다. 자기 효능감 의 구성 요소는 자기 효능감, 자아조절 효능, 임무 난이도 구별 능력 과 사회적 효능감이다. 분석방법은 주파수분석, 서술성 통계 분석, 신뢰성분석, 관련성분석과 다원성 귀납분석이다. 모든 통계 분석은 현저성수준 p<0.05에서 검증하고 SPS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 이 자기효능감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산업 창업자의 능력이 창업의지에도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산업 창업 자의 능력은 창업의지에도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의 기초 하에, 작자는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계와 정부에 건의를 다음 과 같이 제출한다. 첫째, 문화산업계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모든 창업자들은 훈련을 통하여 자신의 특성을 개선해야 한 다. 자신감, 자아조절효능, 임무 난이도 분별능력과 사회자기효능감으 로 구성된 창업자의 능력 제고교육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 련의 조치를 통하여 문화산업 창업자의 교육을 증가시켜 5가지 특성 의 경향을 높이여 자신의 창업의지를 높인다. 셋째, 각종 교육훈련과 문화산업정책을 통해 문화산업 창업자의 늘력을 제고시켜 높은 창업 의지의 유지를 보장한다.
        8,700원
        15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선에 당직사관으로 승선하기 위한 해기사는 승선 전 해기사로서 갖추어야 할 적절한 자격요건을 국제규정에 맞게 충족시켜야 한다. 해사영어 활용 능력은 이와 관련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해기 교육 과정에 입교한 학생들은 교내 수업을 통해 선박과 관련된 영 문 서류, 검사 문서 그리고 사고 보고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해사영어활용능력을 습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일반 영어뿐만이 아닌 실무에서 사용되는 해사분야 전문 용어 및 특수 문장까지 학습하게 된다. 하지만 선박 및 해운산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해사영어를 포함한 해기 지식이 전달되고 또 평가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해당 연구는 항시 접속 가능한 해사영어 학습 및 시험 플랫폼의 활용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측정하고 이를 통한 교육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승선실습 과정에 참여한 실습항해사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한 집단은 해사영어 학습 및 평가 플랫폼을 활용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해사영어 학습 및 평가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았다. 6주의 실험을 통한 최종 시험 결과 두 집단 간 해사영어 시험성적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해사영어 학습 및 평가 플랫폼의 활용이 해사영어 시험 점수에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개인 학습시간을 조사하여 그 교 육 효과를 정량화하였으며 나아가 추후 연구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는 해사 교육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활 용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 활용 효능을 조사하였으며 향후 해사영어 교육 외에 그 범위를 넓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 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및 본조사를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본 조사는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전문성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개발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한다.
        5,200원
        153.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하고, 노인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 감을 증진 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방안 마련에 있으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한 노후를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고령사회를 접어든 우리나라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고령사회정책의 제도적 근거를 만들고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과감한 재정적 투자와 함께 예비노인의 여가준비에 대한 정책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예비 노인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진행 할 수 있는 서비스지원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6,900원
        15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xamine the effect of smart problem-based learning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to meta-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76 students who took basic nursing practice, which is a major subject, from August 29 to December 13, 2018.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meta-cognition in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used a scale consisting of self-regulat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confidence. The measurement of practical satisfaction is a 5-point Likert scale that employs a questionnaire. Flipped learning uploaded a 10-minute lecture video, and the subjects learned through PC or smartphone. PBL teaching was developed in two modules: gavage and indwelling urinary tract. Results: Resul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meta-cognition after education than before education (t=3.21, p=.043).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t=-2.19, p=.032). Conclusion: The smart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nursing majors. Nursing students with high meta-cognition will be able to perform well in their learning outcomes; therefore, this positive performance experience will enhance self-efficacy.
        4,200원
        155.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을 포함하는 정보활용 환경요인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유능감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의표집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2개교 학생 719명 이다.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Win(ver. 20.0)과 AMOS 20.0을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 α), 상관관계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는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활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유능감에는 교우관계, 인터넷 활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활용, 자기효능감, 사회적유능감 간에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 환경, 자기 효능감, 사회적유능감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의 잠재적 일에 대한 개인들의 동기 수준은 진로와 관련된 개인들의 능력에 대한 믿음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5,100원
        15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high-risk maternity on evaluating problem-solving process,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est test design with 81 junior nursing students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4 to December 11, 2019, after students completed their simulation practice class. Students completed a survey on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las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t=-7.06, p<.001), self-leadership (t=-3.08, p=.00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2.12, p=.037), and self-efficacy (t=-6.01, p<.00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high-risk maternit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process and self-leadership (r=.52,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39, p<.001), and self-efficacy (r=.53, p<.001).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by providing a simulation-based education environment similar to a hospital since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lone is not sufficient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fficiently performing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high-risk maternity.
        4,500원
        15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사의 학습지도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동기가 향상되거나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코칭리더십이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과 AMOS 22.0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학생들의 학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교사의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 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은 코칭리더십과 학업동기에 완전 또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코칭리더십이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동기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158.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policy experiment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focusing on the political efficacy of local governments: When attempting innovative policy experiments, the cost of failure is small while the ripple effect is large.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cost-efficient innov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of local government’s welfare politics (i.e. policy experiments of local governments →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welfare → local social innovation → enhancing citizens’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analys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welfare politics of Local Autonomous Ent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South Korea’s community welfare. This is because it is politics that can change a series of systems and culture that surround us.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 review on the basics needed to politically understand South Korea’s community welfare. Second, an exploration on how the local government’s ‘innovative policy experiments’ are developing community welfare. Third, an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politics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and some suggestions for vitalizing the welfare politics of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