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14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50.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the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response and water status of Glycine soja was observed in 2 months-old seedlings. The seedlings were treated with acid rain(pH 3.5), three times per week. Glycine soja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otal length, total weight, dry weight, water contents and top/root ratio after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pH 3.5) for 56 days. The growth of shoot was more susceptible to acid rain than that of roots. On the contray, Number of lateral roots, water saturation deficit and epidermis transpi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pH 5.6) after 56 days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151.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hanced UV-B on growth and differential responses among cultivars in soybean. The soybean cultivars subjected to enhanced UV-B irradiation at daily dose of 11.32 kJ m^-2(UV-B_BE) revealed that the growth was significantly depressed. Plant height, leaf number, leaf area and dry weight were inhibited by UV-B irradiation showing differential responses among cultivars used. Danyeubkong seems to be less sensitive to the enhanced UV-B irradiation, while Keunolkong more sensitive. Reduction of chlorophyll content was also found significantly greater to Keunolkong. Specific leaf weight, an index of leaf thickness, and flavonoid content known as UV-absorbing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anyeubkong by UV-B, but those in the other cultivar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cultivar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enhanced UV-B irradiation and specific leaf weight and UV-absorbing compounds in the leaves were highly related to the sensitivity of soybean by UV-B irradiation.
        152.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how soybean seed protein concentration is influenced by climatic factors. Twelve lines selected for seed protein concentration were studied in 13 environments of North Carolina. Sensitivity of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to climatic variables was investigated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Best response models were determined using two stepwise selection methods, Maximum R-square and Stepwise Selection. There were wide climatic effects in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protein and seed yield. The high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most high temperature days(HTD) and the smallest variance of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 (VADTRg), while the low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distinguished by the fewest HTD and the largest VADTRg. For protein concentration, all lines responded positively to average maximum daily temperature(MxDT), HTD, and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ADTRg) and negatively to ADRa, while they responded positively or negatively to average daily temperature(ADT), variance of average minimum daily temperature (VMnDT), and VADTRg, indicating that genotypes may greatly differ in degrees of sensitivity to each climatic variable. Eleven lines seemed to have best response models with 2 or 3 variables. Exceptionally, NC106 did not show a significant sensitivity to any climatic variable and thus did not have a best response model. This indicates that it may be considered phenotypically more stable. For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all the lines responded negatively to both ADTRg and VADRa, suggesting that synthesis of seed components may increase with less daily temperature range and less variation in daily rainfall.
        157.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콩계통들의 지방함량이 서로 다른 가상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 지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지방의 5개 지역에서 3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각 계통의 지방함량 및 지방수량들이 기상요인에 대한 Linear response가 조사되었고, 또한 최저기상 반응모델을 결정하기 위해 Stepwise Selection Program이 사용되었다. 콩지방함량, 지방수량은 기상 요인인 온도와 강우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성숙시기에 온도가 가장 높고, 최고최저 온도범위가 가장 작은 환경에서 지방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최저온도 변이가 가장 작고 강우량변이가 가장 큰 환경에서 지방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통들의 대부준으 지방함량이 MxDT, HTD, ADT, ADTRg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성숙시기에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방함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NC107은 MxDT, ADT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계통들이 VMnDT, VADTRg, ADRa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는 최저온도와 최고최저 온도범위의 변이가 클수록, 평균강우량이 많을수록 지방함량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1계통이 1개 내지 3개의 기상변수를 가지는 최적기상모델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NC109와 NC105는 모든 기상변수에 유의한 Linear 반응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전자는 2개의 기상변수를 가지는 최적기상모델을 형성하였고 후자는 가지지 않았다. 이는 NC109는 지방 함량이 아마도 기상변수 하나에 의한 영향보다도 2개 변수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추측 할 수 있고, NC105는 지방함량이 기상환경에 상대적으로 더 안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위와 같은 사실은 콩지방함량의 기상반응에 대한 품종적 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수량은 ADTRg와 VADRa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최고최저 온도차이와 평균강수량 변이가 클수록 지방수량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58.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ycine속의 야생 다년생종인 G. tomentella가 가지고 있는 내병성, 고단백 및 다년생 유전자등 유용형질들을 재배콩(G. max)에 도입하기 위한 종간교잡시 염색체수가 다른 4개의 G. tomentella (2n=38, 40, 78, 80) 계통들과 재배콩과의 교잡친화성 검정, 정역간 교잡효과, 교잡엽의 발육비교, 종간 교배적기 등에 대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 tomentella의 염색체수가 2n=38, 40, 78, 80인 4개 계통과 재배콩인 울산콩, 뱀콩, 단엽콩과의 종간 교잡에서 G. tomentella의 염색체수가 2n=38인 계통과 교배된 것이 교배율 및 교배후 경과일수에 따른 협생존률이 가장 양호하여 2n=38계통이 재배콩과의 교잡친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G. max(cv. Baemkong)와 G. tomentella(2n=38)와 종간교잡에서 정역교잡 효과는 G. max를 모본으로 했을 때가 G. tomentella를모본으로 했을 때보다 교배율이 더 높았고, 엽생존기간도 더 길어 정역교잡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3. G. max(cv. Baemkong)와 G. tomentella(2n=38)와의 종간교잡에서 교잡협의 발육상태를 자가수정된 모본의 협과 비교했을 때 G. max를 모본으로 한 것이 G. tomentella를 모본으로 한 것보다 협당 배주수의 감소율이 적었으나, 교배후 경과일수에 따른 협의 장, 폭 및 무게는 G. max를 모본으로 한 경우가 생육이 저조하였다. 4. 자연조건에서 G. max와 G. tomentella(2n=38)와의 종간 교잡을 할 경우 6월 이나 7월에 하는 것보다 대체로 온도와 습도가 높고 단일조건인 8월 중하구에 하는 것이 교배율이 높았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