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

        14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C1R의 길항제 역할을 하는 펩타이드와 tyrosinase를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천연유래 물질을 유도체화하여 신규 미백소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기작에 의한 미백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cAMP 신호전달 과정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총 24종의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cAMP assay의 결과를 통해 11종의 유도체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유도체에 대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여 본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RW를 서열에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가 특별히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MP assay는 MC1R의 antagonist라는 특정 타겟 물질을 디자인한 소재의 스크리닝 방법에는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저해 시험과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4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peptide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dyslipidem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blood glucose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of dyslipidem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serum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yslipidemic model.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metabolism in sera of dyslipidemic rats.
        14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trogen related receptor β(Esrrb)는 오르판 수용체 중 하나로 전분화능 관련유전자인 Oct4와 Nanog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줄기세포의 미분화를 유지시키고, 지속적인 자기 복제를 가능케 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Feng 등 (2009)은 체세포에 Oct4, Sox2와 함께 Esrrb 유전자를 함께 도입하면, 유전자가 변형된 체세포가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한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리프로그래밍(reprograming)되어 진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ESRRB 단백질을 양수유래줄기세포 내로 직접도입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전분화능 관련유전자의 기능 조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클로닝 된 인간 short-form ESRRB를 세포투과 펩타이드(cell-penetrating peptide, CPP)의 일종인 R7(아르기닌 7개)에 접합(Fusion)하였고, 합성단백질 (R7-ESRRB-His6)의 형태로 배양중인 인간 양수 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내로 도입하였다. R7-ESRRB-His6 단백질은 5시간 내에 세포막을 통과하였고, 24시간 내에 핵 내로 이동하였다. 또한 핵 내로 이동한 ESRRB 단백질은 OCT4와 NANOG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전분화능 관련유전자인 SOX2의 발현도 함께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세포투과 펩타이드와 유전자의 접합을 통해 생산된 R7-ESRRB-His6 합성단백질이 양수유래줄기세포내로 원활하게 도입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유전자의 변형 없이 전분화능 관련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146.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지혈증 흰쥐에 있어서,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 제조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 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G군을 비롯한 고지혈증 유발군(CW군), 고지혈증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CCP군)을 5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
        147.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yloid peptide()은 지방산화 및 free radical의 생산에 의해 신경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거나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계 질환은 뇌에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들의 축적에 의해서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분 활성도 0.813인 분말 녹차를 저장기간별로 저장한 후 에서 5분간 추출한 분말 녹차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에 의해 유도된
        149.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unasin is small subunit peptide of coded from Gm2S-1 gene in soybean. It has been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lunasin is a novel and promising cancer preventive peptide. Lunasin peptide is found only in the seed and not other tissues. And lunasin peptide starts to appear at 5 weeks after flowering and remains in the mature seed. We report here firstly lunasin peptide identified from soybean callus induced by the tissue culture and demonstrate its anticancer properties. The lunasin was identified and purified from soybean callus aged for 6 months. The callus lunasin(1μm) inhibited the acetylation of histone H3 and H4 by 58.8% and 56.5%, respectively. And it fully inhibited foci formation compared to the values of the positive control(no lunasin) and negative control(no MCA). Purified lunasin was able to internalize into the cell and localized in the nucleus.
        150.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와 실크 펩타이드 병용처리가 세균의 방사선 감수성 및 햄버거 패티의 저장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멸균된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4종의 세균에 대한 감마선 값은 E. coli 0.25 kGy, L. ivanovii 0.50 kGy, S. typhimurium 0.55 kGy, C. sporogenes 1.35 kGy 이였다. 실크 펩타이드 5% 첨가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S. typhimurium의
        154.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are mitogenic peptide hormones that regulate embryonic development, postnatal growth and cellular differentiation in vertebrates IGFs are initially translated as pre-pro-peptides and then proteolytically processed to yield the mature IGFs and E-peptides. Like the C-peptide of pro-insulin, the E-peptides of pro-IGFs are generally believed to possess little or no biological activity other than their potential roles in the biosynthesis of the mature IGFs. Like human IGF-1, previous studies in our laboratory showed that the recombinant trout Ea4-peptide of pro-IGF-1 exhibited a dose-dependent mitegenic activity in cultured BALB/3T3 fibroblasts and other non-oncogenic transformed cells (Tian et al., 1999) We have also shown by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hat Ea4-peptide possessed novel anti-tumor activities (Chen et al., 2002, Kuo and Chen, 2002; Kuo and Chen 2003). Recent results of studies conducted in chorionicallantoic membrane of developing chicken embryos revealed that Ea4-peptide of trout pro-IGF-1 also possesses a dose-dependent antiangiogenic activity. Together these results raised the question whether Ea4-peptide of trout pro-IGF-1 may affect heart and blood vessel development and hematopoiesis in fish embryos. (중략)
        155.
        200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action of mastoparan B, a cationic tetradecapeptide amide isolated from the hornet Vespa basalis, with phospholipid bilayers was studied with synthetic mastoparan B and its analogue with Ala instead of hydrophobic 12th amino acid residue in mastoparan B. MP-B and its derivative, [12-Ala]MP-B were synthesized by the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method. MP-B and its analogue, [12-Ala]MP-B adopted an unordered structure in buff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neutral and acidic liposomes, the peptides took an α-helical structure. The two peptides interacted with neutral and acidic lipid bilay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phobic face in the amphipathic α-helix of MP-B critically affected the biological activity and helical content.
        15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nRH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능을 조절, 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hCG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사람의 두 번째 GnRH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그 10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닭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GnRH (chicken GnRH-II)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사람에서의 두 번째 GnRH (GnRH-II)의 발현은 중뇌와 신장에서 보고
        159.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xic peptides from hornet venom, mastoparan and mastoparan-B were synthesized using the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method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of them with phospholipid bilayer, antibacterial activity, and hemolytic activity. Both toxic peptides could induce dye release at a low concentration in neutral liposome. The binding affinity of mastoparan-B for neutral liposome was smaller than that for acidic one. Mastoparan and mastoparan-B ha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for gram-positive bacteria, but weak or potent activity for gram-negative ones, respectively. Mastoparan and mastoparan-B lysed erythrocyte very little up to 5 μM.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