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161.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ophosphorus pesticides (OPPs) contents in the sewage sludge derived from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characterize contemporary organic contamination levels as a part of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sewage sludge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OPPs were extracted from freeze-dried sludges in a ultrasonic extractor. The extracts were cleaned-up by florisil column and subsequently fed into gas chromatograph/nitrogen phosphorus detector (GC/NPD) for determining OPP contents. Diazinon, dimethoate, disulfoton, EPN, malathion, methyl parathion, parathion, phorate and sulfotep were present in the appreciable amount in the domestic sewage sludges. The sum of the 9 OPPs in the sewage sludge varied from 534.8 to 15552.1 ㎍/kg, dry wt..
        163.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bamate 농약에 대한 cholinesterase(ChE)활성저해 관계를 규명 하고자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ChE의 최적 pH는 8.0이었다. 병아리 혈장의 ChE 활성은 기질로 acetylcholin를 사용할 경우 24.6 μmol/min/g protein이었다. in vivo에서 BPMC을 0.32 mg/kg 경구 투여한 15분 후에 ChE 활성이 60% 까지 저해되었으며 그후 12시간 후에 97% 까지 회복이 일어났다. in vitro에서 효소 활성이 50%로 저해되는데 필요한 농도인 I50이 Phenyl N-methylcarbamate계에 XMC는 329 μg/ℓ였고, metolcarb은 214 μg/ℓ였다. BPMC는 111 μg/ℓ, propoxur는 107 μg/ℓ, isoprocarb는 104 μg/ℓ 이었다. Aromatic N-methylcarbamate계에 속하는 carbaryl의 I50은 280 μg/ℓ이었고, carbofuran 114 μg/ℓ이었다.
        16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ecticides on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pest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insecticides were teflubenzuron Wp, 5%, tebufenozide Wp, 8%, iufenuron Ec, 5%, and tebufenozide Wp, 5%. Dry root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tebufenozide Wp, 5%(20 g/20 l), insecticide than the other insecticides and no control. All insect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insect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16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재배포장에 정착하는 매개 진딧물 발생소장과 효율적인 살충제 선발을 통해 콩모자이크병 피해 경감 방법을 모색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8월 중순 2회였으나, 조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으로 적기파종에 비해 진딧물 발생최성기가 약 10일정도 빨랐다. 2. 공시약제인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벤즈유제, 아시트수화제 등은 모두 95% 이상의 진딧물 방제가를 보여 약효가 우수하였고 약해도 없어 효과적인 진딧물 방제 약제로 선발되었다. 3. 이미다클로프리드입제를 토양 혼입처리한 시험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후 52일까지 진딧물 발생이 억제되었다. 4. 아시트 50% 수화제를 콩 생육단계 V4, V6, V4/V6에 1회 또는 2회 처리하였을 때,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SMV 발병률이 낮아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V4/V6 시기 2회 처리구에서 SMV 발병률이 낮았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