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ly, there have been certain “unsolved cases” objectively, and the transmission of imperial power in the early Song Dynasty is one of them. The succession of Emperor Taizong of Song has been accompanied by numerous speculations and mysteries since ancient times, among which “the sound of an axe and the shadow of a candle”, “The Golden Cabinet Alliance”, and “the mystery of the birth mother of Tingmei” have always been research hotspots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On this series of issues, scholars have undergone continuous textual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truth of these “unsolved cases” over several generations, gradually forming several major academic viewpoints, such as the independent transmission theory and the three-transmission theory of “the alliance in the golden coffer”. This has gradually restored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 in the early Song Dynasty and promoted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political culture in the early Song Dynasty.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the heir in the early Song Dynasty, which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Five Dynasties, new insights have been gained into the changes in the inheritance system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a theory comprehensively elaborating on the inheritance system has been constructe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summarizes the objective patterns of change that existed during the Tang, Five Dynasties, and early Song dynasties, interprets the complex political “unsolved cases” and political culture in the early Song Dynasty, and forms a re-examina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imperial power transfer in the early Song Dynasty.
본 연구의 목적은 통변(通變) 개념을 중심으로 전각 인론(印論)인 입고출신 론(入古出新論)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통변은 주역에서 시작된 개념으 로 전통의 계승과 변화를 설명하는 중국의 전통적 세계관이자 예술적 사유이 다. 주역 「계사전」의 통변은 전각 창작이 전각의 보편성인 고(古)를 배워 새 로운 것을 만들고 다시 고의로 돌아감을, 문심조룡의 통변은 예술가가 반드 시 거쳐야 하는 독창성과 개성 추구를 말한다. 그러나 「계사전」과 「문심조룡」 의 통변 모두 전통과 혁신의 조화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통-변- 불역의 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변 사유는 전각가들의 입고출신의 창작 태도 속에서 실천적으로 구현되었다. 전각의 입고출신론은 단순히 복고 혹은 세련된 개성의 표출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었다. 짧게는 300여 년, 길게는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 체득한 통과 변의 긴장 속에서 고의(古意)를 귀결 점으로 삼는 예술적 순환 구조였다. 전각 창작자는 불가역적 준거를 계승하 고, 그 안에서 험절의 변화를 시도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다시 고의의 경지로 회귀함으로써 전각이 추구한 형식과 정신을 동시에 성취하게 된다. 이러한 구 조는 오창석이 말했던 손과정의 평정-험절-평정 구조, 주역 「계사전」의 통 변 사유와도 맥락을 같이하며, 그 결과 입고출신이 통변의 구조적 실천이었음 을 말해준다.
21세기에 태어난 최초의 세대인 알파세대(Generation Alpha)는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스마트 기기, 소셜 미디어, 인공지능(AI) 등의 신기술 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본 연구는 알파세대의 특성과 이들이 처한 기술적 환경을 분석하고,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한다. 알파세대는 출생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인공지능 스피커 등과 함께 성장했으며,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 습득과 소통을 자연스럽게 익힌다. 이들은 글로벌 감각이 뛰어나며, 빠른 정보 소비와 시각적·경험적 학습을 선호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기술 의존도가 높은 만큼 정보 과부하, 짧아진 집중력, 영적 관심 저하, 디지털 우상화 등의 위험에도 직면해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복음 전도 방식만으로는 알파세 대의 신앙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전도 전략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알파세대가 복음을 직관적으로 경험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복음 전도 모델을 제시하며, 한국 교회의 미래 선교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