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많은 질문이 생기는 시대이다. 이러한 때에 루터의 직업윤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루터의 직업 윤리는 종교개혁의 위대한 결실이다. 그의 직업윤리는 중세의 이원론적 직업윤리를 배경으로 할 때에 잘 파악된다. 그는 구원, 목회직, 가족관계, 직업, 교회의 직분, 특별한 사명, 일상과 관련하여 7가지 의미의 “소명” 개념을 사용하였다. 1520년의 작품들에서 루터 의 직업소명론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디모데전서 3:13에 대한 주석(1527/28)을 보면, 영적 소명 과 외적 소명이 같은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후자가 전자보다 상위 자리를 차지해서가 아니라 두 소명 모두 그리스도를 기쁘게 섬기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1530년대 창세기 주석에서 루터는 신자들이 감사하 면서 자신의 직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한다. 여기서 루터의 의도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의 자세를 제시 하려는 것이지, 직업을 바꿔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루터는 교육을 하나님께의 봉사를 위한 도 구로 보았다. 그는 신 앞에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루터의 이러한 사상들이 오늘날 교사들에게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그 사명감을 고취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 중인 몽골 대학원생들의 적응 과정을 질적으로 살펴보며, 이들의 동기, 경험, 그리고 기존 연구와 관련된 어려움에 초점 을 맞추어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질적 데이터는 이들이 주로 한국 문화와 언어에 대한 관심과 높은 수준 의 교육을 추구하는 동기로 학업에 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차별을 거의 경험하지 않았고 한국인들에게 환영받고 있다고 느끼는 한편,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확대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국제 학생과 현지 학생 간의 교류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고,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언하 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확장하기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Two spider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Pholcus muju sp. nov. and Pholcus yeongheung sp. nov. in the family Pholcidae C. L. Koch, 1850 are newly described from Korea. These two new species belonging to phungiformes-group in the genu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ir congeners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genital organs of both males and females. They are found on rock walls in mountainous mixed forests. This work provides diagnoses, detailed descriptions, and taxonomic photographs for these new species.
This study describes two new species, Desmoscolex (Desmoscolex) delticeps sp. nov. and Desmoscolex (Desmoscolex) obtusiseta sp. nov. Belonging to the subgenus Desmoscolex, they were discovered in subtidal habitats along the coast of Korea. Detailed morphological analyses of the two new species were conducted using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DIC)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D. (D.) delticeps sp. nov. was collected from subtidal zones near Ulleungdo Island. It is characterized by a broadly triangular head with robust cephalic setae and centrally positioned oval amphidial fovea. Its somatic setae are arranged in 17 main rings. Its conical terminal ring ends in a long, uncovered spinneret. D. (D.) obtusiseta sp. nov. was collected from distant subtidal zones along the western coast. It is characterized by short, blunt cephalic setae situated on peduncles, a flattened anterior head, and an oval amphidial fovea with a central pore. Its somatic setae are arranged in 17 main rings. Its terminal ring tapers ventrally, ending in a short spinneret. This study highlights distinctive cephalic setae morphologies of these species, provid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nematode diversity in Korean subtidal zones and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marine nematode taxonomy.
본 논문은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New Realism)을 통해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B. Yeats)의 시를 재조명하며, 그의 상징들이 지닌 자율성과 내재적
의미를 탐구한다. 가브리엘의 ‘의미의 장(fields of sense)’ 개념은 예이츠의 상징을 개
인적 혹은 문화적 맥락의 반영으로 제한하는 인간 중심적 해석을 넘어, 상징이 인간
인식과 무관하게 독립적 의미를 지닌 존재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은 예이츠의 상
징적 세계를 다차원적 실재로 위치시키며, 그의 역사적 현실과 신화적 상상력의 교차
를 조명할 수 있게 해준다. 가브리엘의 철학은 예이츠의 시에서 자율적 실재를 발견하
며, 시적 의미를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와의 만남으로 재정의한다.
2024년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다인종·다문화 국가로서 사실 상 ‘이행기 문화’의 시기이자 ‘다문화 국가로의 체제전환’ 과정에 진입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변화, 요구를 반영한 국내외적 배경에 따라 이 민정책을 추진하는 주체 즉, ‘정책결정자(policy maker)’이자, ‘정책명령자 (policy commander)’이면서, ‘정책조정자(policy broker)’인 행정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현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이민정책’ 가운데 ‘출입국‧이민관리청 신설 방안’을 정책 사례로 선택하고, 선행 연구된 논문들과 관련 문헌, 연구보고서, 주무 부처의 국회 제출자료 등을 근거로 내용 을 비교 및 검토한다. 그 결과, 먼저, 국익 중심의 선별적 수용과 강력한 동화 주의를 지향하는 정책 기조에 대해 국익 개념이 갖는 모호성의 문제를 지적하 고 헌법적 가치와의 양립 필요성 등 인식론 차원의 재논의를 주장한다. 또한,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미흡한 사전 조사, 정책 추진 근거 의 불균형에 따른 보완이 요구되며, 이에 한국인의 ‘신안보’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포괄적 안보의 관점에서 인간안보 및 사회‧경제적 위협요인을 최소화하 고 기존 제도의 붕괴에 따른 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강 조한다. 특히, 이때 정부에 강력하게 요구되는 것으로서, 선거에 따른 정부 권 력의 이동과 관계없이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확보해야 만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순환 구조의 리더십’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정부는 첫째, 이민정책 내용의 전문성을 높이고 정책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정책 리더십(policy leadership)’을, 둘째, 정부조직법 등 관련 법령의 통 과와 예산 확보 논의를 가능케 하는, 정책의 입법 성공을 위한 ‘입법 리더십 (legislative leadership)’을, 셋째, 이민정책을 단계별 진행순서(sequencing)에 따라 적절히 관리하고 책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이민정책실명제를 시행하 는 등 ‘행정 리더십(administrative leadership)’을 갖추어야 한다.
Airpower plays a key role in neutralizing military threats and securing victory in wars. This study analyzes newly introduced fighter forces by considering factors like performance, power index, operational environment, airbase capacity, survivability, and sustainment capability to devise an optimal deployment strategy that enhances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Using optimization methods like mixed integer programming (MIP), the study incorporates constraints such as survivability and mission criticality. The focus is on major Air Force operations, including air interdiction, defensive counter-air, close air support, and maritime opera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current deployment plans in both wartime and peacetime in terms of operations and sustainment.
위법행위를 저지른 발달장애인(이하 ‘범법 발달장애인’)은 형사사법 절차에 진입하 더라도 해당 범죄의 근본적 원인인 정신・행동 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높은 재범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상황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형 사사법 절차의 과정 중에 범법 발달장애인을 지역사회의 적절한 의료・복지자원으로 연결하여 치료 및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적 연계전환(diversion) 모형을 제안 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범법 발달장애인의 재범 방지를 위한 적절한 치료 연계의 필요성 을 개괄하였다. Ⅱ장에서는 대표적인 ‘사회 내 처우’인 치료명령과 수강명령, 보호관찰 을 중심으로, 범법 발달장애인에 대한 치료 서비스 및 연계전환의 현황과 그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범죄 가・피해 발달장애인의 재범 방지를 위한 개별맞춤형 지원사업(PSRP)」의 수평적 연계전환 모형과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로의 수직적 전달체계 모형을 연계전환 체계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 성을 탐색하였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시설 내 처우’ 중 치료감호시설을 중심으로, 범법 발달장애인에게 제공되고 있는 치료 서비스 및 연계전환의 현황과 그 한계를 검 토하였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범법 발달장애인에 대한 형사사법 절차와 의료・복지자원 간의 연계전환 체계 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1) 검찰청과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장 애인복지관을 수평적으로 연결하는 PSRP 모형 및 (2)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 증진센터로 이어지는 수직적 전달체계 모형을 통합하고, (3) 교정시설의 가용한 연계 전환 제도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발달장애인 지원센터와 보호관찰소가 중심이 되는 범법 발달장애인에 대한 연계전환 모형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대나무 숲에서 당해년도 발생한 신죽의 양과 재적생장에 관계하는 환경인자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지는 120개소였으며,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환경인자로는 기존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 등 이었다. 그리고 반응변수는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을 두고, 설명변수는 이들에 영향하는 환경인자를 두어서, 반응변수와 설명변수 간 관계를 수량화 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신죽의 발생량에 관여하는 인자는 기존 입목죽 밀도, H/D형상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다중회귀식 형태의 모델로 도출되었다. 이 추정모델의 설명력은 50.4%였으며, 모델의 통계적 유의성은 5% 유의수준에서 인정이 되었다. 그리고 5개 설명변수 중 내부상관을 배제한 편상관계수를 도출한 결과, 계수는 국소지형, 입목죽의 입목밀도, H/D형상비 순으로 나타났다. 수량화분석 에 의한 신죽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로 나타났다. 4개 변수를 이용한 신죽 재적 추정모델은 64.3%을 설명력을 가지며, 통계적 유의수준 5%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편상관계수는 H/D형상비, 해발고, 입목죽의 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Donacia속에는 2아속에 속하는 6종이 있다(An, 2019). 이 중 Chujo (1941)는 북한 함경북도 웅기에서 채집한 표본을 D. aquatica (Linnaeus, 1758)로 보고하였고, Kimoto and Kawase (1966)는 D. japana로 표기하여 보고하였다. 그리고 Hayashi (2020)는 한국에 기록된 D. japana가 D. aquatica로 오인되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포천과 울산)에서 채집한 표본과 D. japana에 대한 기재문, 수컷생식기와 같은 형태적인 부분(Hayashi, 2020), COI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한반도에 기록된 D. japana은 D. aquatica로 대체되고, D. japana는 일본 고유종이라고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in the collection of Chinese fashion designer Ziggy Chen, analyze the inner meaning, and suggest a new direction in Chinese fashion design. As a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New-Chinese style occurrence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fashion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were summarized as cultural tradition, historical ethnicity, and pluralistic convergence. Based on these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Ziggy Chen’s men’s fashion design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ion range was selected as the range of 20 seasons collected from 2012 S/S to 2022 A/W, which was collected on fashion sites and the brand’s official Insta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cultural resistance is a retro and ragged decadence formed by combining punk elements and industrial styles based on the clothing styles of lower-class Chinese people in the 17th and 90s. Second, cultural traditionality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by mainland Chinese designers, who expressed the conservative presence of tradition and the Chinese style by looking at it from an oriental perspective. Third, historical ethnicity forms a Chinese fashion culture in which the national spirit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exist, while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social values develop in harmony. Fourth, traditional fashion develops by combining a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and lifestyle with pluralistic convergence.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궁창에 있지만, 니심 이지키엘처럼 그들 중 일부는 별을 바라본다. 그가 태어난 날부터 죽을 때까지, 그는 평범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특별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태어나지 않은 노래의 샘을 “휘젓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심장에 불이 붙은 바람을 느꼈다. 시인과 평범한 사람의 차이는 단어 사용에 숨겨져 있다. 이지키엘은 재치 있는 조각가와 같았다. 그는 자신의 시의 특정 줄에 적합한 단어와 구절을 선택하는 데 익숙했다. 만약 그가 원래 초안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그는 최종 작품이 오늘날에도 그 안에서 볼 수 있는 위엄으로 빛날 때까지 계속해서 썼다. 그는 모호함에 대해 반란의 깃발을 올렸다. 그는 표현이 명확하고 단순한 어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외에도 이지키엘에게 시는 단순한 시집이 아니라 그보다 더 위대한 것이다. 이 뛰어난 시인의 시적 신조가 발전하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그것은 물결처럼 출렁였다.
We report a new route of akaganéite (β-FeOOH) formation and maghemite (γ-Fe2O3) formation. Akaganéite can be produced by stirring Fe2+ at room temperature for a day under mild conditions. We used FeCl2 ·4H2O as the precursor and mixed it with the Na-rich particle from the oxidation debris solution. The role of the concentration ratio between graphene oxide (GO) and NaOH was addressed to generate oxidation debris (OD) on the surface. In particular, the characterization of O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imaging provides clear evidence for the crystal formation of Na-rich particle under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the base treatment proces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 NaOH in Na-rich solution contributed primarily to the formation of γ-Fe2O3. The characteriz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EM showed that the morphology was changed from needle-like to small-oval form. In addition, β-FeOOH can be effectively produced directly using GO combined with FeCl2 ·4H2O at room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role of parent material (Hummer's GO and Brodie's GO) was discussed, and the crystal transformation was identified. Our results concluded that β-FeOOH can be formed in basic and acidic conditions.
Thyrderus Sharp, 1885 속은 전 세계적으로 9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구북구 지역에는 단일 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전에 일본과 대만에서 보고됐던 Thyroderus porcatus Sharp, 1885를 한국에 처음 기록한다. 삽화, 진단형질, 분포 정보가 제공된다.
As part of the KOPIA Paraguay Center rice pilot villages project, conducted from July 1, 2021, to the end of June 2024, this study examined the average yield and value of paddy rice harvested between January and April 2023 in five local rice pilot villages in Paraguay: Santa Rosa, Eusebio Ayala, Coronel Bogado, Santa Maria, and Yaguaron. The CEA-5K-PUNTA variety was planted in late August 2022 and subsequently harvested from January to April 2023. The farmers in the pilot villages received information on common pests, diseases, and weeds, including instructions on timing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s required for their control. They also received technical guidance on water management and weeding methods.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yield per hectare in the pilot villages for the CEA-5K PUNTA variety in the 2022/2023 growing season was 794.50 kg/10a, compared to 477.17 kg/10a for the conventional variety IRGA 424 in the 2019/2020 season, which preceded the project. This indicates a 66.5% increase in yield per hectare for the pilot village farmers compared to the pre-project period (2020/2021). The analysis of paddy rice production value in the pilot villages, us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method, revealed a 65.1% increase. Moreover, a financi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ddition of agricultural inputs to the paddy fields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August 2022 to January-April 2023.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cost was US$597.25 per hectare, while the gross income was US$1,685.3 per hectare. As a result, the net profit per hectare amounted to US$1,08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