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opose dead pixel detection and compensation method using nonlinear estimator for infrared camera. Infrared camera has dead pixel that is abnormal output values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manufacturing process, electronic parts and so on. Dead pixels are able to affect detecting a small target. So, It needs dete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However, after Compensation, some dead pixels are remained and detected by the human. They are soft dead pixel. The key idea of this proposed method, detecting soft dead pixels, is that design a nonlinear estimator using image data characteristics. This propose is able to not only detect soft dead pixels but also pixel Compensation that reflects infrared camera output characteristics well.
        3,0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설화에 내포된 금기 화소의 의미를 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는 연구다. 연구자는 설화의 금기 화소에 대하여, 인간은 신에게 어떤 존재인가. 신은 인간에게 어떤 존재이며, 신은 왜 인간에게 하필 금기를 부여하는가. 또 그렇게 부여된 금기의 의미나 목적을 인간은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여야하는가 등의 의문을 갖게 되었다. 금기 화소의 의미에 관하여는 지금까지 적잖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인간은 결코 신이 될 수 없는 존재”이며, 금기는 그런 인간이 침범해서는 안 될 신적 영역의 “경계선”이나 “고갯마루”로 규정하고, 이를 경계로 신과 인간을 대치시키는 부정적 견해로만 규정하였다. 연구자는 설화가 원시종교와 함께 발화된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연구에 신학적 시각의 접근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금기는 인간이 그것을 깨뜨림으로써 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방법적 메시지’라는 융의 주장을 수용하고, 금기의 파기로 원형성을 상실한 인간이 금기에 투사하여 통과 의례를 치름으로써, 신적 지위를 회복할 수 있는 근본적 행위 문제로써, 이는 인간의 구원을 위한 신의 계획된 목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6,300원
        3.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인접 4화소의 형태에 기반한 고속 방향성 영상보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기 본 개념은 비간축 이산 웨이브릿 변환에 기초하지만, 실제로 변환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경계방향 검출을 위해 인접 4화소의 값만 비교된다. 2×2 화소의 형태는 8개의 종류로 분류되고 각 형태에 따라 방향성 보간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제안한 알고리즘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1차 선형보간과 비슷한 수행시간을 나타내지만 성능은 기존의 영상보간 기 법들 보다 우수한 결과 품질을 보여준다.
        4,000원
        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에 다양한 장비로 수행되어 오던 작 업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글자를 읽는 과제를 수행하는 비중 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 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4,300원
        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isson model and Gamma-Poisson model are popularly used to analyze statistical behavior from defective data. The methods are based on binary criteria, that is, good or failure. However, manufacturing industries prefer polytomous criteria for classifying
        4,000원
        6.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ed to review the historical changing procedure of zai on a same format and different utilities, All those different usages are coded as zai₁ zai₂, zai₃, zai₄. zai₁ is part of predicate as existent verb; zai₂ is typical " unaction verb; zai₃ used as a proposition accompany with place, time and condition. zai₄ roles s as an adverb in front of the verb-function. his paper studied how these various functions of zai occurred by what types of grammaticalization and reanalysis. That is, the grammaticalization of zai₂ from zai₃ reveals from unaction verb to preposition: Reanalysis of zai₃ to zai₄. By searching whether the remained meaning of zai still exsit during the procedure, concluded that not only the meaning but also the composition of VP also affects to the change of grammatic structure.
        5,200원
        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e detection results of ground penetration radar (GPR) by using pixel difference. Experimental tank was made for this purpose. Concrete hume pipe and PE pipe were buried in the tank. The pavement finish of the surface was classified 4th cases. In the case of non-reinforcement concrete pavement, the buried pipe detection was easy than other pavement cases. And it was easy to detect the buried pipe by the difference of the color pixels rather than the black and white pix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