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敎育에 漢字構造分析理論은 매우 重要한 要素이다. 許愼의 六書論은 최 초의 漢字構造理論으로, 文字學系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六書論은 小篆에 맞게 형성된 理論으로, 隸變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은 隸書나 楷書體와 簡化된 現代漢字 簡體字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나타 나고 있다. 그러므로 現代로 오면서 漢字를 分析하는 새로운 漢字構造分析理論으로 裘錫圭의 三書說과 蘇培成의 新六書, 王寧의 構形學理論 등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 北京師範大學 王寧敎授가 創案해낸 構形學理論은 한자의 部件分解를 基礎로 字形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部件은 특히 다른 漢字를 구성할 때 義符나 音符로 表意나 表音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部件의 음이나 뜻을 알면 그 部件으로 다른 漢字의 의미나 讀音을 유추 할 수 있으므로 漢字의 形音義를 學習하는데 도움이 된다. 2009년 中國 敎育部에서는 現代 常用漢字의 部件 및 部件名稱 規範을 制定 하였다. 이 部件表는 中國의 現代 常用漢字 3500字의 部件을 514개(441조)部件 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本稿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王寧의 構形學 理論을 利用하여 韓國의 常用漢字 1800字중 먼저 中學校 基礎敎育用 漢字 900字의 部件을 정리하였다. 構形學 理論에 의거하여 漢字部件을 整理한 結果, 아래와 같은 結果를 얻었다. 直接部件489개, 基礎部件335개 및 5개의 구형모델을 귀납 정리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후에도 고등학교용 상용한자도 분석하여, 韓國의 常用漢字 部件을 中國의 常用漢字 部件과 比較 分析할 것이다. 이는 韓國의 常用漢字 選定의 必要性과 選定基準 및 여러 가지 常用漢字 選定過程의 문제점을 살펴봄과 동시에 새로운 漢字敎育理論인 구형학 이론을 이용 하여 한자교육방면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2.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 말하는 “漢字 문자소(字位)”는 한어 단음절 형태소를 기록하는 한자 형태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고대한어의 단음절사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현대 중국어의 이음절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한자의 음과 의는 한자 문자소(字位)를 논의하지 않고는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한자 자위를 단 순한 한자 형태의 단위요소로 구성하여야 한다. “한자 문자소(字位)”의 개념은 많 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우선 “한자 문자소”는 문자소(grapheme)라는 일반적 인 개념으로 적용되어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자 문자소”는 추상적인 문자 학의 단위로서 한자가 중국어를 기록하는 쓰기 부토 체계의 본질적 속성을 지니 고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한자구형학의 각도에서 볼 때, “한자 문자소”와 “한자 문자소 형태 변화”와 “형태 단위”, “형태 단위의 변체(變體)”와 상호 호응 하면서 층차 관계를 조합을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한자 문자소”의 개념의 사용 으로 동일하지 않은 한자 문자소의 변체(變體)가 공시적인 상황 속에서 평등한 지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론상으로 지역과 언어 문자 정책의 벽을 허물어뜨리고 한자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8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本文中的“漢字字位”專指記錄漢語單音節語素的漢字形體單位。從古代漢語單音節詞佔優勢,到現代漢語語言單位的“雙元共治”,有必要將漢字的音、義從“漢字字位”的討論中剝離出去,使得漢字字位成為單純的漢字形體概念。“漢字字位”概念的提出具有優勢,首先“漢字字位”符合“字位”(grapheme)這一概念的通常理解。“漢字字位”作為抽象的文字學單位,體現了漢字作為記錄漢語書寫符號系統的本質屬性;其次從漢字構形學角度,“漢字字位”、“漢字字位變體”與“形位”、“形位變體”相呼應,構成組合層級關係;再次“漢字字位”概念的使用,使不同漢字字位變體在共時平面內擁有平等的地位,從理論上打破地域與語言文字政策的壁壘,有助於漢字優化的討論。 
        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veloping rice lines with various amylose contents is necessary to diverse usages of rice in terms of raw materials for processed food production, and thereby to promote rice consumption in Korea. A rice mutant line, ‘Namil(SA)-dull1’ was established through sodium azide mutagenesis on ‘Namil’, a non-glutinous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 Namil(SA)-dull1’ had dull endosperm characteristics and the evaluated amylose content was 12.2%. A total of 94 F2 progenies from a cross between ‘Namil(SA)-dull1’ and ‘Milyang23’, a non-glutinous Tongil-type rice cultivar, was used for genetic studies on the endosperm amylose content. Association analyses, between marker genotypes of 53 SSR anchor markers and evaluated amylose contents of each 94 F2:3 seeds, initially localized rice chromosome 6 as the harboring place for the modified allele(s) directing low amylose content of ‘Namil(SA)-dull1’. By increasing SSR marker density on the putative chromosomal region followed by association analyses, the target region was narrowed down 0.94 Mbp segment, expanding from 28.95 Mbp to 29.89 Mbp, on rice chromosome 6 pseudomolecule. Among the SSR loci, RM7555 explained 84.2% of total variation of amylose contents in the F2 population. Further physical mapping on the target region directing low amylose content of ‘Namil(SA)-dull1’ would increase the breeding efficiency in developing promising rice cultivars with various endosperm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