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y people are the ethnic minorities with the largest population in Viet Nam,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Uplands and Midlands, mostly concentrated in the provinces of Cao Bang, Lang Son, Tuyen Quang and Ha Giang. Over the long history of develop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ir language, the Tay people have gradually created a type of writing system using the graphic, phonetic, and meaning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with indigenous phonetic and linguistic elements, to create the system that is called the Nom-Tay scripts or the Nom script of the Tay ethnic group. Traditional Tay literature is mainly recorded in this Nom - Tay script. The article reliesupon the texts that belong to the genre of narrative poetry (in this genre, a story is written as a long poem) written in Nom - Tay-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written classical folk literature of the Tay ethnic group. Materials from the texts, currently stored at the Institute of Sino - Nom Studies (Vietnam Academy of Social Sciences), will be used to conduct an analysis of the usage and the method of writ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se texts. Thereby, the article strives to confirm the important role and the ample appearance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VietnameseNom- Tay texts.
        7,7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說文解字』 ‘足’部에는 85개의 한자와 4개의 重文이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足’部 한자 중 重文을 제외한 85자를 살펴보고자 하며, 문자학적 관점과 의미학적 관점, 그리고 현재까지 상용되는 ‘足부 한자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자학적 접근에서는 造字 방법에 따라 관련 한자를 육서의 개념으로 분류해보고, 한자 訓釋에서의 특징, 字義 해 석과정에서의 특징으로 나누어보며, 의미학적 접근에서는 ‘足’부 한자를 크게 명사와 동사로 쓰이는 경우로 나누어 분류해 본다. 현대한자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는 현대한자에서의 통용 여부, 이체자로 분류된 자형과 간체자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 및 의미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足’부 한자들의 자형과 의미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5,400원
        3.
        201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의 標準字體는 전통을 존중하면서 字源 및 한자의 체계성을 두루 고려하여 제정된 것으로 우리 의 표준자형 선정 작업에 있어서 倣效할 만한 바가 적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73년 이후 대만 에서 진행된 한자자형 정리 및 標準字體 제정 과정 중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대만의 標準字體가 어떠한 원칙에 근거하여 제정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대만 標準字體 중 에서 국내 출판물에 쓰이는 한자자형과 다른 字例를 획순에 따라 열거하고, 그 중에서 우리가 참고로 삼을 만한 字例를 셋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字源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衆· 聚·毁·覇·絶·秘·者 7개 글자의 자형 문제를 다루었고, 두 번째 ‘體系性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隣·氷·延·肝(肉旁)·恒·聖( 旁)·舌( 旁)·勇·添·風·窓·豊·汚 13개 글자의 자형 문제를 다루었다. 세 번 째 ‘書寫體와의 一致性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氵·冫·辶·食·豕·爪·匸旁 및 北·幸·比·牙·曷·卬·免· 龜字의 활자체 문제를 다루었다.
        7,800원
        4.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characters may be taught both as components of the mother tongue as well as elements of certain foreign languages. This paper centres on understanding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writing of Han characters as an aspec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mastery of Han characters may be considered a key objective in mother-tongue as well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China, Taiwan, Hong Kong and Japan, but is only considered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he written forms taught in schools in the five above-mentioned locations differ markedly from one another. Japan has strict stipulations about written forms of Japanese; the governments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adhere to prescribed benchmarks on the written form of Han characters; while Korea only sets requirements on fonts. Although Hong Kong supposedly has a recommended benchmark, differences in written forms can be foun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This leads to problems in teaching and assessment since few teachers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 in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found in Hong Kong and elsewhere in South-East Asia. This paper looks at differences in the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in the five regions mentioned above, and at some of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se differences.
        5,100원
        5.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序論 因尚未對韓國語言文字中仍然占據重要地位的漢字進行正式的規範化,從而導致漢字使用、漢字教育及漢字相關政策等存在諸多問題。因此筆者認為韓國切實有必要實施漢字規範化,同時特別強調需要對韓國漢字的形、音、義、量、序進行規範,本論中將主要論述關於韓國漢字字形規範化的相關問題。 對於韓國漢字字形存在的問題,在張豪晟, 金彥鍾, 許喆, 楊沅錫等的研究中均有所提及。但大都是提出漢字字形存在的問題,而沒有對這些問題提出相應的解決方案。另外在吸收中國漢字規範化研究成果時,沒有能夠針對韓國的實際情況進行進一步的適用性研究。 考慮到以上幾點問題,本論將在分析大陸和臺灣的漢字字形規範化現狀的同時,以韓國教育部制定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以下簡稱‘教育用漢字’)為對象提出字形規範化方案。 Ⅱ. 教育用漢字字形表記原則及字形規範化的必要性 韓國的教育用漢字初次制定於1972年,於2000年時,經過韓國漢文教育學會的研究,對44個字進行調整之後,從2001年起一直使用到現在。這些教育用漢字是根據什麼原則進行表記?在教育部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調整白皮書》(2000)中提出的字形表記原則是“漢字字形原則上以本體字進行表記。但同時考慮那些以《康熙字典》的字形為根本且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裏提出“本體字表記的原則”的同時留下了“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的附則。因此提出了若俗字或異體字等也是廣泛通用的話,也將予以考慮這一點。根據這些規則,對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進行正確的定義相當困難。另外本體字的概念也是不明確的,在對於正字和本字的概念進行研究後,以此為基礎再次對在白皮書中本體字的概念進行相關的整理。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
        3,000원
        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한자의 해서체는 오랜 기간 동안의 규범화과정 을 거쳐 정리된 것이기는 하나, 그 학습과 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별 자소의 변이형태가 워낙 많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한자는 隸變 이후 자형 자체의 象意性은 어쩔 수없이 훼손 되어 개별 자소들이 符號化되긴 하였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義符 혹은 音符로 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사용위치 혹은 결합대상이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자의 학습 및 운용과정에서 봉착하게 되는 난제들 가운데 해결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본고는 필자가 그간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진행해 온 일련의 자소 관련 작업 중의 하나로, 고문자 계통에서의 특정한 자소의 자형이 예서를 거쳐 해서체 자형으로 정착하는 과정 에서 두 개 이상의 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생략된 경우의 자소들을 대상 으로 하여, 그 변이형태를 분석·정리하여 그 규율을 모색하는데 일차적인 목적 이 있다. 본고에서는 필획화 과정에서의 자소 변이형태를 그 유형별로 정리하여 크게 省略·異化·同化 등의 세 가지로 귀납시켰으며, 생략과 이화는 대개 개별자소 자 체의 결구간화·混淆로 인한 訛變 또는 자소끼리의 粘合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이었고, 동화는 생략과 이화의 결과로서 발생한 것이었다. 또한 이들 유형을 세 분하여, ‘생략’은 ‘개별자소의 생략 또는 개별자소의 일부분 생략’과 ‘중첩자소 의 생략’ 두 부분으로 나누고, ‘이화’는 ‘개별자소의 단순변이’·‘자소끼리의 점합 으로 인한 변이’·‘자소의 결합위치에 따른 변이’ 등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例字 들을 제시하였으며, ‘동화’는 다시 ‘기존의 특정자형으로 類化’되는 경우와 ‘예 변 이후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자형으로 나타나는 동형화’ 등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