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사에서 약 400여년에 걸친 魏晋南北朝시대는 오랜 전란, 이민족의 침입, 잦은 왕조 교체 등으로 인해 역사상 유례가 없는 대혼란의 시기였다. 언어상으로는 대규모의 인구 이동 등으로 인해 북방어와 남방어가 융합되는 국면이 형성되었고, 또한 불교의 성행, 운문(韻文)의 발달, 문학비평의 번영 등으로 인해 언어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기초가 마련된 시기이기도 하다. 한어사에서 이 시기는 上古音시대부터 中古音시대에 이르기까지 언어체계의 변천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漢語音韻史에서 魏晋南北朝시대는 上古와 中古의 과도시기라 할 수 있다. 특히 魏晋시대는 兩漢시기와 南北朝시기의 교량 역할을 하는 과도기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양성운(陽聲韻)은 몇 개의 운부로 나누어지고, 또 각 운부 속에 어떠한 운류(韻類)의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周祖謨가 분류한 魏·晉의 운부 및 劉宋시기의 운부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각 운의 독용과 통압 상황으로 分部한 결과 이 시기의 陽聲韻은 魏代에 11운부(東部, 鍾部, 眞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登部, 侵部, 談部), 晋代에 12운부(東部, 鍾部, 眞部, 文部, 魂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侵部, 談部)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다.
        5,100원
        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형화된 틀을 벗어난 고체시는 자연 그 압운형식 또한 매우 자유로운 양상을 띠고 있다. 즉 단지 운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실제 발음과 유사하게 압운을 취할 수 있고, 실제 고체시의 압운현상에는 이러한 현상을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한 언어는 단순히 하나의 음계로만 구성되어진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음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게 보아서 이는 표준어의 성분과, 독서음의 성분 그리고 방음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당대 어음의 구조를 살펴보면 당시의 어음은 雅言, 通語, 方音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雅言은 독서음체계의 반절 음을 가리키는 것이라 할 수 있고, 通語는 실제 통용되는 공통어체계인 詩韻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밖에 보편적인 어음현상을 벗어난 현상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이 중에 方音의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당오대시기의 하남출신 시인들의 고체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총체적 분석 작업을 통하여 당시 시인들의 고체시 압운현상 중 특징을 찾아내어 이를 분석하도록 하였고, 분석과정 중 나타나는 일부 특수운자를 찾아내어 이 현상을 열거 및 분석하고자 시도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당시 洛陽과 關中지역을 거점으로 쓰여진 音義 反切음계를 비교 분석하여 당시 通語와 雅言과의 차이를 밝혀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당시의 通語와 雅言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량의 자료를 분석하여 통계를 근거로 한 것임으로 당오대시기의 어음연구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5,500원
        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시간 해수유동 정보를 중심으로 신조선 선박의 실선시운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는 실선시운전 지원 정보로서 특정시간 해수유동의 공간분포를 예측하여 제공하며, 특정지점 해수유동의 시계열 변동을 예측하여 제공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실선시운전에 있어 시험선박 운항경로에서의 해수유동 정보 및 선속 손실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GPS와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실선시운전시 자동으로 운항경로상의 해수유동 실시간 정보 및 해수유동에 의한 선속손실을 계산하여 제공한다. 실선시운전 중의 정보 제공 이외에, 본 시스템에서는 특정한 시험시간과 시험경로에 대해 선속손실을 예측하여 제공함으 로써 최적의 시험시간 및 시험경로를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선시운전을 위한 실시간 해수유 동 예측시스템은 효율적인 시험계획과 정확한 해역특성 파악을 지원할 뿐 아니라, 실선에 탑재되어 시험 중에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 한다.
        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南冥과 退溪 先生의 用韻 系統을 歸納했는데, 이 系統으로 平水韻 과 比較하고, 中國의 詩人인 蘇軾과 高啟의 用韻 系統을 比較하여 退溪와 南冥 의 用韻 系統의 특징을 지적해내고, 朝鮮 16세기 文學語音에 대한 초보적인 탐 구를 했다. 南冥이 入聲 韻尾를 쓰는데 혼란한 것이 대략 100분의 8을 점하고, 退溪는 入 聲 韻尾를 쓰는데 혼란한 것이 대략 100분의 13을 점한다. 응당 入聲 韻尾인- p・-l・-k가 셋으로 나누어진 상황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고, 실제 用韻 에 통용한 상황이 있는데, 南冥은 用韻의 혼란이 많지 않은데, 退溪는 用韻의 혼란이 비교적 많다. 平水韻은 13세기에 출현한 뒤로 줄곧 清나라에 이르기까지 影響이 매우 컸 다. 中國의 지식인이 格律詩를 쓰면서, 韻字를 고르고 平仄을 배치할 때 모두 平水韻의 규정을 준수했다. 우리들은 응당 南冥・退溪의 押韻 체계가 平水韻과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보아야 한다. 쉽게 말을 하기 위해서 또한 󰡔廣韻󰡕 의 韻目으로 기초를 삼는다. 눈에 뜨이게 하기 위해서 또한 표를 열거하는 방법을 쓰는데, 첫 번째 줄은 󰡔廣韻󰡕 208韻 韻目이고, 두 번째 줄은 平水韻 106韻의 韻目이고, 세 번째 줄은 退溪先生이 用 韻한 韻部이고, 네 번째 줄은 南冥先生이 用韻한 韻部이다. 韻目은 平聲이 上聲 과 去聲을 포괄한다. 󰡔廣韻󰡕으로부터 平水韻에 이르고, 다시 朝鮮詩人의 用韻 에 이르러 韻部는 간단해지고 통합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부호로 표기한다.
        7.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 this paper, the traditional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ship's maneuverabilities during the sea-trial of newly built ship are summarized and new methods for the same measurement using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and GPS are introduced. After various sea-trials of training ship "HANNARA" which are equipped with modern INS and GPS system,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more accurate methods of measurement of ship's maneuverabilities during sea-trial using INS and GPS which are gradually becoming the basic navigational equipments on many newly constructed vessels.d vess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