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FRP hardened by carbon fiber and resin has the property of high strength and low weight. Specifically, the strong feature against the external vibration environment is shown as CFRP is designed with the structure of multi-axes. So, CFRP in place of metal has been used at the various fields. CFRP specimens for mode Ⅱ are applied with the repetitive fatigue load in this study. These specimens have the fiber layer angles of 30°, 45° and 60°. The material properties of specimens are investigated with the result of fatigue fracture due to this load. As the study result, the smallest and largest reaction forces of 500 N and 540 N are shown at the layer angle of 30° and 60° respectively among these specimens. The separation of adhesive interface at 4000 fatigue cycles is happened earliest in case of the layer angle of 60°. But the separation of adhesive interface at 11000 fatigue cycles is happened latest in case of the layer angle of 45°. Through the result of fatigue property, it is thought that the basis data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safety at CFRP structure applied with fatigue.
        4,000원
        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에 설치되는 안전관련 전기기기들의 합리적인 내진검증을 위해서는 사전에 정확한 동특성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원전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캐비닛 구조를 대상으로 입력 진동의 수준에 따른 모드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전기기기 캐비닛을 시편으로 선정하고 가진 시험기를 이용하여 입력진동에너지의 크기를 변화시켜 가면서 진동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캐비닛의 문짝을 부착한 경우와 탈거한 경우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진동시험을 통하여 계측된 시편의 가속도응답신호와 입력운동신호로부터 진동의 크기에 따라 진동수응답함수를 작성하였다. 다항식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한 모드분석기법으로 시편의 진동수응답함수를 분석하여 모드특성을 추출하고, 진동수준에 따른 시편의 동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기기는 입력진동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모드진동수와 모드감쇠비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짝이 부착된 경우에는 문짝이 탈거된 경우에 비하여 캐비닛의 모드감쇠가 증가한다.
        4,000원
        3.
        200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rimary members of cable-stayed bridge, stay cable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entire structure. Wind-induced or Rain-Wind vibration is a cause of the safety in the bridge, the deep anxiety for the observing public. One of effective ways to solve this problem is to install the damper. To design the damper, it is necess따y to estimate the cable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for the cable dynamic characteristics we deγeloped the cable exciting mechanical system(exciter).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able exciter, we derived the solution of frequency equation from the differential equation of the mathematical model, 뻐d performed the solution of frequency equation, the eigenvalue analysis by FEM model, the resonance dwelling test and swept sine test
        4,000원
        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Lyapunov 함수의 목표 변화율을 이용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슬라이딩 모드 제어는 구조물이 안정적인 거동을 하는 슬라이딩 표면을 정의하고 정의된 슬라이딩 표면에서 구조물이 거동하도록 만드는 제어기법으로 선형제어와 뱅뱅제어 등의 다망한 제어기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선 형제어의 경우 Lyapunov 함수의 변화율이 음수라는 조건만 만족하도록 제어기 설계를 수행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또한 제어기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뱅뱅제어의 경우, 불필요하게 큰 제어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제어기법은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Lyapunov 함수의 목표 변화율을 달성함으로써 제어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치해석결과, 제안된 제어기법은 기존의 선형제어보다 큰 최대응답감소의 효과를 가지며, 기존의 뱅뱅제어보다 적은 제어력을 가지고도 동등한 제어효과를 보인다.
        4,000원
        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물의 진동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점탄성감쇠를 설치하게 되면 이른바 비비례 감쇠시스템이 되어 구조물은 복소수형태의 고유모드와 고유치를 가진다. 복소모드중첩법은 이러한 복소모드를 이용하여 중첩함으로써 비비례 감쇠시스템 구조물의 정확한 동적 거동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건물이 고층화되면 많은 자유도로 인하여 고유치해석 및 모드중첩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구조물의 모형화를 위하여 강막가정과 행렬응축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몇 개의 주요 모드만을 선택하여 중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구조물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모드의 선택을 위한 복소모드 응답참여계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방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예제 구조물을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응답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해석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4,000원
        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시 고유진동수의 추출은 반드시 필요하다. 교량의 고유진동수 추출을 위해서 일반 진단 실무에서는 동재하실험을 실시된다. 그러나 교량의 가진신호 계측이 어려워, 응답만으로 고유진동수를 추출하여야 한다. 차량의 중량이 교량의 중량 대비 매우 작은 경우에 문제가 없으나, 차량의 중량이 무시 못할 정도로 큰 경우에는 차량 주행에 따른 가진 주파수가 응답스펙트럼에 나타나고, 진단 실무자는 종종 가진 모드를 교량의 1차 모드로 오인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 구는 교량의 고유진동수와 차량의 가진모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실무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 more precise frequency of hollow core slabs by comparing the observed values from the actual free vibration tests and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analysis model. The actual free vibration tests were carried out in the construction field using Ω shaped hollow core slabs. Modal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section properties due to void parts of slab.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modal analysis with analysis model and the measured data from the actual tests range from 2~7%.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nalysis model that incorporates void parts of slab could be used in evaluating serviceability of hollow core slabs with reasonable accura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