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계를 이용하여 무한대 거리 주시 상태와 특정 거리 주시 상태에서의 측정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31명(22.66±1.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 (WAM-5500)를 사용하여‘무한대 거리, 6 m, 3 m’ 거리에서 시표를 주시 후 동적 조절 반응량을 3회 측정하여 평 균값을 기록하였다. 무한대 거리 주시는 건물 밖의 하늘을 주시할 수 있는 공간에서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공간에 서 6 m와 3 m 주시 상태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 무한대 거리의 평균은 –1.71±2.11 D로 나타났고, 6 m에서 -1.67±2.01 D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m에서는 –1.58±1.99 D로 측정되었고, 무한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거리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6 m 거리 평 균 차이는 +0.24 D, 3 m에서는 +0.41 D이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0.050). 또한 정시의 동적 조절 반응량 은 ‘무한대, 6 m, 3 m’ 순서대로, 0.07±0.05 D, –0.02±0.35 D, –0.04±0.18 D로 나타났다(p=0.260). 원시는 0.67±0.09 D, 0.36±0.3 D, 0.33±0.3 D로 측정되었으며,(p=0.860) 마지막으로 근시의 무한대 거리 동적 조절 반응량으로는 –2.86±1.77 D이며 6 m에서는 –2.65±1.84 D, 3 m에서는 –2.53±1.88 D이었다(p=0.980). 결론 : 본 연구는 ‘무한대, 6 m, 3 m’ 거리로 동적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였다. 무한대 주시시 근거리 보다 더 큰 (-) 굴절력이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결과에서는 임상적으로 고려할 만한 차이 가 관찰되었기에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중등도 근시의 초기성인에서 자각적 굴검검사와 개방형, 내부형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자동굴절력계의 성능과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만 18세 이상 ~ 20세 이하(평균 18.94±0.54세)로 중등도 근시(–3.00D≤ S.E.<-7.00D) 이상의 초기성인 36안(남자 12명, 여자 6명)을 검사하였다. 자각식 굴절검사는 수동포롭터 BR-7(Shin-nippon)으로 측정하였고, 자동굴절검사는 개방형 자동굴절력계 Nvision K-5001(Shin-nippon)과 내부형 자동굴절력계 KR-800(Topcon)으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구면굴절력과 실린더굴절력, 축으로 표기하고 다시 Power vector 성분으로 SE(=Shp+Cyl/2), J0(=-Cyl/2․cos(2․Ax)), J45(=-Cyl/2․sin(2․Ax))로 나타내어 Paired T-tset와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3.0을 사용하였고, p<0.05인 경 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내부형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SE는 –4.37±1.04D, -4.50±1.28D, -4.67±1.40D이고 J0는 –0.32±0.51D, 0.01±0.52D, -0.02±0.62D 그리고 J45 는 0.11±0.37D, 0.24±0.62D, 0.09±0.54D로 나타났다.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상관관계는 SE 성분에서 관계식(상관계수) y=-1.01x+0.75(r=0.92, p=0.00), J0 성분은 y=-0.32x+0.13(r=0.14, p=0.43), J45 성분은 y=0.09x+0.07(r=0.12, p=0.47)이고 내부형 자동굴절력계는 SE 성분이 y=-0.95x+0.73(r=0.98, p=0.00), J0 성분은 y=-0.32x+0.17(r=0.21, p=0.22) 그리고 J45 성분은 y=0.10x+0.05(r=0.08, p=0.65)였다. 연속 변수 비교는 자각적 굴절검사값을 기준으로 개방형 자동굴절력계와 차이값에서 SE, J0, J45 성분이 각각 0.13±0.53(p=0.17), -0.33±0.68(p=0.01), -0.13±0.68(p=0.26)로 J0 성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SE, J45 성분은 차이가 없었다. 내부형 자동굴절력계는 SE, J0, J45 성분이 각각 0.30±0.42(p=0.00), -0.30±0.71(p=0.02), 0.02±0.63(p=0.88)로 J45 성분은 차이가 없지만 SE, J0, 성분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결론: 제시된 분석자료는 임상에서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안경사에게 기기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녹내장 환자용 “삶의 질 평가 (Glaucoma Quality of Life-15, GQL-15) 설문지의 녹내 장 선별검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전문의에게 원발개방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력검사, 안 압검사, 굴절이상도, 시야검사 및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을 시행하고, GQL-15 설문검사를 하였다. 정상군은 안질환이 없으며 안압이 21mmHg 이하이고, 녹내장성 시신경 병증이 없고 녹내장군과 연령 차이가 없는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검사는 녹내장 환자와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상관관계는 SPSS(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고 선 별분석은 의학 통계프로그램인 Medcalc Ver. 15.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설문검사 값은 각 항목의 총점, 중심시, 주변시, 명순응과 암순응, 실외활동으로 분류하 여 비교하였고, GQL-15 설문지 항목의 총점, 주변시, 명순응과 암순응, 실외활동 저하는 시야 감도(Mean Deviation), 남은시야기능(Visual Field Index), 망막신경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두께와 상관성이 있었고(p<0.05), 중심시와 근용시 저하는 남은시야기능과 상관성이 있 었다(p<0.05).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ROC 곡선 분석에서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은 시기능 만족도의 모든 활동에 판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선별 기준 값(cut-off point)은 특이도를 95%로 제한하고 민감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정하였을 때, GQL-15 각 항목의 총점은 AUC가 0.838, 민감도 60.47%, 특이도 96.15%로 나타났고, 검사 항목 중에서는 명순응과 암순응의 AUC는 0.842, 민감도는 53.49%, 특이도는 9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GQL-15 점수의 총점과 명순응∙암순응의 점수는 초기녹내장 예측에 유용하여 녹내장 선 별검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입체시 검사값이 녹내장안과 정상안을 구분하는 선별검사로 유용한지 확인하고자 하였 다. 방 법: 안과전문의에게 원발개방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43명과 안압이 21mmHg 이하이고 녹 내장성 시신경병증 및 안질환이 없으며 녹내장군과 연령 차이가 없는 26명을 대상으로 시야검 사, 안압검사, 시야검사 및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을 시행하고, Titmus 입체시(Stereo, Stereo OPI, U.S) 검사를 시행하였다. 녹내장군은 시야감도(Mean Deviation)에 따라 녹내장 초기군(group 1, -6dB 이상)과 녹내장 중기 및 말기군(group 2, -6dB 미만)으로 분류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1.0)와 Medcalc (Ver. 15.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결 과: 녹내장안의 입체시 검사값은 정상안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입체시 감소는 시야감도 및 남은시야기능((Visual Field Index)과 상관관계를 보였다(R=0.291, R=0.314, p<0.05). ROC 곡선 분석에서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은 입체시 검사와 판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선별기준값(Cut-off point)은 특이도를 95% 로 제한하고 민감도가 가장 높은 지점으로 정하였을 때, 입체시 검사값의 AUC는 0.818, 선별 기준값 60"의 민감도는 53.49%, 특이도 96.15%로 나타났다. 입체시 기준 값에 따라 녹내장군 Group 1의 민감도는 53.33%, 특이도는 96.15%,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60”(녹내장 초기 에 해당)를 초과할 때 각각 28.52%와 98.62%로 나타났고, Group 2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53.85%와 96.15%,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60”를 초과할 때 각각 28.72%와 98.63%로 나타나 초기, 중기 및 말기 녹내장에서 모두 민감도와 예측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 론: 녹내장 초기 환자의 입체시 검사값의 양성예측도가 녹내장 진단 및 평가 기준인 시야변 화의 양성예측도와 유사하게 나타나 Titmus 입체시 검사값도 녹내장 선별검사에 활용될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단안가림검사와 양안개방 안경처방 값을 비교하여 굴절검사의 임상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과 시각적 기능에 문제가 없는 만 18세~25세 이하의 대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우위안과 단안가림검사, 조절래그 그리고 즉시대비검사로 양안개방 원용안경을 처방하였다. 결과: 조절래그는 우위안 0.58±0.67D, 비우위안 0.70±0.62D로 비우위안에서 더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높은 연관성(r=0.824, p=0.000)과 유의한 차이(t=-2.078, p=0.043)를 나타냈다. 단안가림검사와 양안개방 안경처방에 의한 굴절력 차이는 우위안 -0.24±0.29D(mean±SD), 비우위안 -0.26±0.28D로 즉시대비검사로 측정한 굴절력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굴절이상 및 시기능 검사에서 우위안과 비우위안의 정확한 구분으로 신중하게 처방값을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