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vascular plants of Mt. Gwangdeok. The survey was performed 12 times from May to November in 2007 and April to November in 2011. Vascular plants observed were 539 taxa containing 100 families, 317 genera, 467 species, 6 subspecies, 60 varieties and 6 formae. Among the investigated plants, 17 taxa (3.1%) were Korean endemic.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ry Service in this region were 20 taxa. The floristically and 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90 taxa: grade I, II, III, IV, and V species were 29, 25, 21, 11, and 4 taxa, respectively. 32 taxa (9.9%) were found in this region and it is relevant to 5.9% of the total taxa number of this region.
        5,200원
        2.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Mt. Kwangduk area, Ansan, Kyunggi-do, a hydrogeologic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sistivity measurements from 33 points along 7 profiles with Schlumberger array and drilling from 18 points in the metamorphic rock area, which is composed of the Precambrian muscovite schist or graphite schist. The study area is covered by 25 meter thick Quaternary alluvium. The V.E.S.curves of resistivity showed N10-45° W and N10-20° E trending low apparent resistivity zone. This trend of low resistivity values is interpreted as shattered zone. The drilling data including lithologic log and exact depths of basement rocks allow to determine yield capacity, coefficients of permeability and coefficients of transmissibility. The groundwater yield capacity is related to the weathered zone and apparent resistivity anomaly but not related to the well depth. Large yield capacity of groundwater is interpreted to be the same trend as the direction of joint development and topographic relief.
        4,600원
        3.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육괴 북부 화천군과 철원군 경계부의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운모화강암, 반상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석들은 서브알칼리 계열 중 칼 크-알칼리 계열에 해당하며, Al 포화지수를 이용한 A/CKN vs. A/KN 다이어그램에서 고알루미나질 영역에 도시된다. 암석기재학적·지화학적 자료는 연구지역에서 가장 후기에 관입한 것으로 알려진 반상흑운모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및 운모화강암과는 별개의 모그마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이들 화강암질암을 형성한 마그마의 근원암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Rb/Sr vs. Rb/Ba 다이아그램과 Al2O3/TiO2 vs. CaO/Na2O 다이어그램에 도시한 결과, 반상흑운모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운모화강암 보다 이질 성분을 덜 함유하는 근원암으로부터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스파이더 다이어그램에서 친석 원소인 Cs, Rb, Ba의 값이 부화되어 나타나고, 고장력 원소인 Nb, P, Ti의 값이 결핍된 값의 지화학적 특성 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고알루미나질 화강암질암은 섭입대 환경에서 형성되 었으며, 전암 저어콘 포화지온계로부터 692-795oC 온도 조건에서 용융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덕산에 자생하고 있는 쥐다래는 잎이 개화기에 분홍색으로 변하는 등 높은 관상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를 조경원예수종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광덕산 서식지의 해발표고는 최저 679m에서 최고1014m까지 분포하였고, 기상온도는 일년 중 최저기온이 -23.3℃, 최고 기온이 28.7℃로서 서울의 기온보다 각각 9.2℃와 6.0℃가 낮았다.2. 유기물 함량은 1.5~5.4%, 유효인산 함량은 16~ 49mg/kg, 토양산도는 5.2~6.0 범위였다. 3. 광덕산 쥐다래 서식지의 식생은 총 50과 99속 113종 17변종 이었다.4. 쥐다래 서식지는 임도주변 수광률이 높은 곳에 서식하고 있는데 목본은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초본류는 내음성이 높은 넓은잎외잎쑥과 대사초, 큰개별꽃의 피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