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된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의 운영과 그에 따른 대학생들의 경험 및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에 경기도 소재의 D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된 1박2일 문화 예술교육 캠프 ‘왕방 플릭스’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이 활동 과정 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참여대학생 중 5명 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성의 요소에 있어 자신감, 사교성, 협동성 측면에서의 경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신감 - 타인을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형성’ 둘째, ‘사교 성 - 친밀감 형성 경험을 통한 사교적 기회 희망’ 셋째, ‘협동성 - 몸 소 체험을 통해 협동의 중요성 인식’의 경험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으로 하여금 자신감 향상 경 험을 제공함으로써 또 하나의 자기이해의 기회를 갖게 하였으며, 사교 적 경험을 통해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할 수 있는 타인수용의 마음을 갖게 하며, 협동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줌으로써 사회성 발 달을 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6,700원
        2.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2009년과 2015년 교육과정개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 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연극교육은 다른 장르의 예술교육보다 새로운 교육정책이 요구하는 학생들의 창의력향상과 부합하고, 통합교육의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대안적 모델로 평가된 다. 최근 2014년 9월 24일에 발표한 ‘2015 교육과정 개정안’에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에 연극이 대 단원으로, 중학교 국어교과에는 단원으로, 그리고 고등학교 예술교과에서는 일반선택과목으로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 서구의 경우에도 연극의 교육적 중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져왔다. 많은 경우에 공공사회 에서 올바른 시민역할의 확립과 사회적 교류의 가능성을 익히는 주요한 교육적 도구로써 연극을 활용하였으며, 현재 제도권 교육시스템 내에서 연극은 공공사회에서 개인의 역할인식과 올바른 사회적 관계성 유지를 위해 주요한 교육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의 오랜 역사와 변화의 과정을 거친 유럽의 대표적 국가인 독일의 학 교연극교육의 교육적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독일연극사에 공연이론과 제작에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 독일 연극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친 베를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교육극(또는 학습극)에 대한 생각을 살펴봄으로 현 한국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육이 독일 연극교육에서 어떻게 실천되는지 직,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배경에는 연극교육이 現 국내 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 육제시를 위해 적합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앞으로 연극교육이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적 방향 성을 구축을 위해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논지가 담겨있다.
        4,600원
        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in primary school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science theater in English.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researchers set up a program which includes science experiments, drama games, and performance in English by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were analyz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chniques. There were four results found from this study. First, the scholastic achievement both in Korean and English was improved. In addition, the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style influenced the test scores. Second, children in this study achieved real accomplishment through diverse student-centered activities. For example, they experienced accomplishment by getting over their mistakes in experiments, fostered a collaborative attitude through process-based tasks, and realized responsibility in their learning by leading their own learning. Third, students experienced a new type of integrated learning in English and science. In other words, they recognized English as a means of learning a subject and regarded science experiments as activities for exploring knowledge. They also considered science theatre as an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Fourth, a model for integrating English and science in primary schools through science theater i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8,000원
        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교육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연극을 토대로 한 소설교육은 융합교육과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전인적인 성장을 조력하는 데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교육연극은 소설 텍스트를 통하여 인문학과 예술의 통합, 비판적・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의 양성, 올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유용한 매체로 작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이문구의『우리동네』를 통하여 교육연극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연극의 배경과 방법을 살피는 것으로 소설교육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다음으로, 교육 연극을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원칙을 학습방법의 측면에서 살폈다. 이를 토대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교육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7.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발음 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연극기법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유창하고 정확하게 한국어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음교육이 가장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유발과 동기부여를 위해 Wessels(2008)가 고안한 연극기법을 중심으로 중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교육연극기법과 발음교육과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교육 연극기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음 교육의 방안을 자세를 통한 교육, 호흡을 통한 교육, 음성연습을 통한 교육, 입술모양을 통한 교육, 노래를 통한 교육, 혀 꼬기 놀이를 통한 자음 교육, 동작을 통한 모음교육 등으로 분류하여 수업절차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