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의도적인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세 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젭슨 손 기능 평가로 7가지 하위검사의 수행시간을 우세손과 비우세손을 구별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 실시 후 3명의 뇌성마비 아동의 젭슨 손 기능 평가 항목의 수행시간이 모두 23.4%이상 감소하였고, 작은 물건집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스노즐렌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우세손 뿐만 아니라 비우세손도 중재 후에 카드뒤집기, 작은 물건 집기와 먹기 흉내내기, 장기말 쌓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도적인 다감각환경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2.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야차단 유무가 눈-손 협응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Zebris Medical GmbH사의 Winarm software에 의한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기능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시각 손상이 없고, 손 기능 장애가 없는 대학생 4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데이터 결손값과 수행 횟수에 오류를 나타낸 19명을 제외한 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동작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x, y, z 좌표의 수치를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평균속도와 총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오류횟수와 x, y, z 좌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시야차단 유무의 평균차이에 대한 1회와 5회 실시결과 비교시 x 좌표에서 운동감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야 차단 유무가 협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손상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 적용시 운동감각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사용하여 협응력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시각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on eye-hand coordination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ye-hand coordin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oing without pretreatment with the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with time-dependent fashion with a cerebral palsy child 2) A most increased part of eye-hand coordination activities was a large heavy objects and a least increased part of those was a writ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is a most useful therapy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having incomplete eye-hand coordination activity functional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