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장은 한 사람의 성격을 반영하고 개인의 심미적 수준 및 내재적 수양을 직관적으로 체현한다. 한 민족에게 이는 민족의 문화와 풍속 더 나아가 한 민족의 사상과 심미를 체현한다. 이는 일종 특수한 언어이고 매 역사 시기의 경제적 발전, 생활 환경, 종교적 신앙을 체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각 민족의 복장 특징에는 각 민족의 문화 형태가 들어있다. 중국 복장은 5,000년의 발전 역사를 지니고 있고 그 중 만족 복장 중의 치파오는 중국 복장 발전 역사 중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을 뿐더러 그 속에 숨겨진 의미도 있다. 치파오의 정신에는 민족의 지혜가 숨겨져 있다. 민족의 신앙은 치파오가 수수께끼가 가득한 매력을 지니게 하였다. 어떠한 사회 혹은 민족이든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문화 자체 혹은 기타 문화와 서로 접촉하여 생긴 문화적 융합과 변화이다. 치파오는 샤먼 복장 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족 문화를 경험하고 또 치파오의 시대까지 오게 되었다. 복장 제도의 제한이든 민족 문화의 영향이든 치파오의 색채와 도안은 사람들이 아름다운 생활 형태에 대한 동경을 표현하였다. 치파오는 중국 전통적인 복장 문화의 중요한 조성 부분으로서 치파오 중의 요소는 역사적 문명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민족 특색 또한 보류하였고 참고, 전통, 재창조를 통하여 더욱 잘 융합시켰다. 치파오의 발전과 변화는 민족 복장 사이의 상호 반응에 유력한 작용을 하였다. 치파오의 요소는 이미 세계 복장 문화 속에서 풍부한 시대와 문화적 특징을 체현하였고 현대 복장 디자이너들에게 수많은 영감과 창작 원천을 제공하였다. 이후 치파오는 중국에서만 입는 것이 아니라 세계 적으로도 사랑을 받게 되었으며 현대에 수많은 예복의 양식 또 한 중국 치파오의 스타일 및 꽃무늬 도안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복장은 현대 디자이너의 눈에는 기타 용도가 있을 것이고 그들의 창작 중 전통적인 ‘중국식 요소’는 새로운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 이는 중국 전통적인 민족 복장이 세상에 가져다 준 서프라이즈와 마찬가지이다.
        6,600원
        3.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후한대 중국에 전래된 불교는 위진남북조시대에 들어 승려와 사원이 크게 증가하였다. 사원과 승려의 증가는 체계적 관리를 위한 교단과 이를 관리할 계율 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道安(312~385)을 비롯한 竺僧郞, 慧遠 등은 승단의 지도자로서 계율 제정에 노력하였다. 도안이 계율로 정한 行香定座上經上講法은 이후 佛法처럼 중국에서 정착하였고, 『法苑珠林』에는 泰始 3년인 467년 보살계를 받은 費崇先이 매번 청경을 할 때는 늘 작미향로를 무릎 앞에 두고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위진남북조시대와 漢代 향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불교의례용 향로의 유무이다. 이 시기 불교의례용 병향로의 등장은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계율로서의 행향과 관련이 깊지만, 및 불교경전의 한역도 병향로의 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역 경전의 ‘手執香爐’, ‘手擎香 爐’는 당시의 향로를 고려했을 때 병향로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율이자 의례인 行香은 동진대의 고승 道安이 제정하였지만, 행향에 사용하는 병향로는 서역에서 전래된 병향로를 바탕으로 중국적 기형인 鵲尾形柄香爐를 만든 것으로 볼 수 있 다. 위진남북조시대에 등장한 병향로는 5세기 중반에는 鵲尾香爐로 불렀다. 현재와 같은 병향로를 사용한 것은 唐代로 燉煌 출토 P.3433호 문서와 S.1774호 문서 등을 통해 8세기 후반 이후 ‘長柄香爐’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위진남북조시대 병향로는 작미형병향로로 대표되며, 이 향로는 화형받침과 몸체, 반구형 금구, 까치꼬리 모양 손잡이로 구성된다. 작미형병향로는 중국 남조에서 시작되어 북조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남조에서는 5세기 중후반, 북조에서는 5세기 후반경부터 작미 형병향로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양식적으로 반구형 금구의 크기와 손잡이의 모습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진남북조시대 불교의례용 거향로는 새로운 기형의 등장 없이 전대의 박산향로를 불교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석각화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진남북조시대 불교의례용 거향로로 사용한 박산향로는 사용 공간과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北魏에서 隋代 로 가면서 점차 장식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6,9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A4용지 규격의 종이 도안에 플랫포머 게임의 콘텐츠를 작성하고, 작성된 게임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여 디지털로 변환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종이도안을 활용한 게임 콘텐츠는 실제 종이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직접 게임 오브젝트를 그려 넣는 방식을 사용한다. 오브젝트 디자인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핵심 게임 오브젝트의 패턴화하였고 의미가 있는 패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조합 패턴의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 장의 종이 위에 그릴 수 있는 게임 화면의 크기가 제한적인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작한 게임 화면을 조합하여 게임의 여러 스테이지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종이 도안에 그려지는 게임의 오브젝트 이외의 게임 구성 요소들은 시스템 내부에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유도 높은 콘텐츠 창작 제공하고 있다. 종이 도안을 통해 반복적으로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부에서도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모델은 아동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는 게임창작 과정을 언플러그드 활동과 연동하여 손쉽게 디지털 게임 콘텐츠 창작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방식의 언플러그드 활동을 디지털 활동과 연동하여 창작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소프트웨어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a study on Sook-Jae Lim(1899~1937) and Korean modern design. In modern Korea, design like most cultural advances came from western culture, that was introduced via Japan. So Korean design can be betterunderstood from observing Japanese modern design history. The research on Japanese modern design, however, is not being done actively. Sook-Jae Lim was the first Korean to graduate from the Department of Design at Tokyo Fine Arts School (currently the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He died at a premature 38 years old, so very little of his works exist. That makes the study about him very difficult.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aims to examine modern design concepts and styles accepted into Korea from Japan and position Lim as an early design pioneer in Korean design history, by using research of Korean and Japanese design fields in the modern era with focus on Lim and his works. Chapter II researches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design was formed in modern Japan and how the “Art-Nouveau” style not only represents early modern design but also features Lim's works dominantly. Chapter Ⅲ looks into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design was formed and which design styles were introduced and applied in modern Korea. Chapter Ⅳ analyzes how Lim's viewpoint on design and his works were developed with observations about the tendency of the Japanese design field and curriculums of the Tokyo Fine Arts School during the period of his college days.
        6,300원
        6.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ic meaning of pattern designs attached on the main building of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CPG). While most of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the value and evaulation of the CPG building in terms of architectural history, relatively little insight has been gained on the symbolic meaning and nature of the pattern designs. What kind of connections are related between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Korea) and those of CPG? What symbolic meanings are engraved on the pattern designs? The researcher then took up the task of elucidating symbolic meanings of patterns and their relation to the building. The existing pattern on the outer wall of the CPG building consists of the symbol of sun(太陽輪), mums(菊花輪), and angle of stairs(雁木角). According to the Japanese studies of emblems, these visual elements symbolize ‘the sun of Japan’((日の丸) or ‘the emperor’, ‘the royal family’, and ‘rays of the sun’. Based on these preliminary finding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following in-depth connections: (1) relations with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 (2) relations with the emblems of local autonomous entity, Kyoungsung in Chosun. (3) relations with the emblem designs of the local provinces in Japan etc. In conclusion, patterns of the main building were not just an architectural decoration, but they had significant meanings utilizing design elements and methods adopted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Japan. The patterns found at the ceilling and floor of hall in the CPG building were associated with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 Therefore, all the patterns of the CPG building are powerful symbols that have meanings for the colonial rule by using the shape and method of city identities that Japanese local provinces had enacted. That is,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they were designed for special meanings that Korean and Japanese are united as a single body(內鮮一體) for a subject of the Emperor of Japan(皇國臣民).
        5,200원
        7.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prizewinning plans of Cho-Sun housing plan competition promoted by Daily Cho-Sun Company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in features of Cho-Sun housing plan competition were that the competition held with an application of popular newspaper readers and a judging committee was composed of only Korean architects, especially Park, Gil-Ryong as the president of the board of examiners. Cho-Sun housing plan competition put ideological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s like advancing to the cultured(modern) life, respecting for family life, respecting for privacy of family members and so on. First of all, the competi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dwelling spaces which focused on making harmonious home life. This study found common characteristics of prizewinning plans of Cho-Sun housing plan competition as the result. First, Cho-Sun housing plan competition introduced a centralized house plan as a model of the improvement of small-sized houses. Second, architectural orders of western or japanese style mingled with ones of korean traditional style in prizewinning plans as entrance hall, western style reception room(parlour), maid's room, bathroom for example. And a manner of seating using chairs was brought into the style of living which would be assumed in the prizewinning plans. Third, traditional way of composing dwelling spaces was maintained, receiving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spaces of japanese style simultaneously, which central corridor was put at the heart of house for improving arrangement of rooms and flow lines. Fourth, lavatory and bathroom were placed inside of the house.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