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하르친 몽골족 전통 음악 종류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주로 내몽골 민족 대학교 음악 문화 센터에서 복제한 궁중 악기 18개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몽골족 궁중 악기 제작 및 연주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몽골족 전통 음악 종류의 기원과 현황을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하르친 전통 악기 제작 현황에 대해 논술한다. 하르친 지역의 민속 악기 제작 계승자인 포설봉(包雪峰)과 악기 연주 전승자와의 인터뷰를 결합하여 하르친 음악에 대한 악기의 영향을 탐색하고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악기를 만드는 과정을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하르친의 몽골족 궁정 음악 스타일과 기본 형태를 분석한다. 하르친 문화 센터와 결합하여 하르친 전통 음악 모음곡의 각색 및 재현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본다. 그리고 레퍼토리를 수집 하여 악기가 음악 형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나아가 몽골족 전통 악기와 전통 예술 통합의 형태 특징을 확인하여 하르친 궁중 음악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아본다. 제4장에서는 하르친 궁중 음악의 전승과 존재의 현실 의미를 서술한다. 대중들로 하여금 몽골족 궁중 음악에 대해 더 많이 알게 한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몽골족 전통 궁중 음악이 더 큰 맥락에서 몽골족 음악의 정화를 더욱 흡수하고 나아가 음악 형태와 음악 내용을 탐색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대중들로 하여금 몽골족 전통 음악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직관적이고 체계적이며 전면적으로 이해하게 하길 바란다.
        9,200원
        2.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중국 내몽고 화림격이 벽화고분의 벽화 주제와 구성 방식에 관한 것이다. 화림격이 벽화고분은 1971년에 내몽고 화림격이현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동한대 벽화고분 중 하나로 풍부한 벽화와 방제가 발견된다. 화림격이 벽화고분의 벽화 주제로는 크게 현실 세계와 천상 세계로 나눌 수 있다. 현실 세계를 표현한 주제로는 묘주도, 거마행렬도, 역사고사인물도, 건축도, 악무백희도, 속리도, 푸주 및 농경 등이 있고 천상 세계를 표현한 주제로는 상서도, 사신도, 운문 등이 있다. 묘주의 생활과 관련한 벽화는 전실과 중실, 후실에 모두 주요하게 등장한다. 본 연구는 벽화의 내용뿐만 아니라 묘장 구조에 따른 벽화 위치를 살펴보아 벽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아보고자 한다. 전실에는 묘주의 정치적 지위를 나타내며, 중실에는 묘주가 한가롭게 지내는 모습과 역사고사 인물도, 거마행렬도 등이 그려져 있다. 후실에는 묘 주의 사적인 생활 모습이 그려져 있다. 나머지 세 개의 측실에는 묘주를 위해 생산 활동하고 있는 시자들의 모습이 주로 묘사되어 있고, 목조의 기둥과 두공, 운문이 그려져 있다. 이처럼 화림격이 벽화고분에는 묘주의 일평생이 담겨 있으며, 정치적 신분과 경제적 부 등을 벽화를 통해 과시하고 있다. 고분 구조에 따라 벽화의 배치를 살펴보면, 전실의 벽화는 중축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적이다. 중실은 좌에서 우로 향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서벽과 북벽에는 역사고사인물도가 주요하게 그려져 있고, 거마행렬도는 남벽과 동벽에 그려져 있다. 후실의 벽화는 여러 주제가 등장하는 전실과 중실과 다르게 묘실 전체에 묘주의 사적 생활 모습이라는 공통된 주제의 벽화를 보여준다.
        6,600원
        3.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0년대 동북지방의 요양벽화묘에서부터 발굴이 시작된 한대 벽화묘는 섬서, 하남, 하 북 등에서 100여기에 가까운 수가 발굴되었다. 한대 벽화묘의 발달에서 동한 후기에는 동 북, 북방, 하서를 잇는 북부지역이 벽화묘 축조의 중심지로 떠오른다. 이들 북부지역 동한 벽화묘들은 한대 고분벽화 문화의 분포에서 동일한 소재를 공유하면서도 지역적 특징의 형성이 관찰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원에 중요한 자료로 최근 북방지역에 발견된 벽화묘들의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내몽고와 섬서성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중국 한대 북방지역 벽화묘의 지역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대 고분벽화의 분포와 전파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 새로운 벽화묘들로는 섬서 북부의 陝西定邊郝灘東漢壁畫墓, 陝西靖邊楊橋畔東漢壁畫墓, 陜西 靖邊楊橋畔鎮楊橋畔二村南側渠樹壕漢墓, 陝西靖邊楊橋畔渠樹壕漢壁畫墓가 있다. 내 몽고에는 內蒙古鄂托克旗巴彥淖爾鄕鳳凰山1號墓, 內蒙古鄂托克旗烏蘭鎭米拉(蘭)壕漢 墓, 内蒙古卾爾多斯巴日松古敖包漢代壁畫墓 등이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북방지역 벽화묘의 구조와 벽화의 특징을 정리한 후 관중지역 서한 후기 벽화묘들과 비교하여 지역 간 연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벽화묘와 관중지역 서한벽화묘의 공통점은 첫째는 수렵도, 천상도와 같은 특정 주제의 공유, 둘째는 소재의 배치와 표현방법의 계승, 셋째는 벽화의 바탕면을 녹색이나 적색으로 칠한 후에 그 위에 벽화를 그리는 제작 방법의 유사성이다. 주제와 배치 및 표현방법의 연속성은 관중지역의 사민이 북방지역으로 이루어지면서 화본의 유통과 화공집단도 같이 이동한데서 배경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섬북과 내몽고지역의 수렵도와 산악도의 구성, 인물도의 구성과 배치 등은 고구려의 초기 고분벽화가 형성되는데 하 나의 연원을 북방지역에서 찾을 수 있도록 시사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8,9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국 내몽고 쿠부치사막지역의 사막화확산 방지를 위한 사막복구조림을 실시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사막화지역에 적합한 사방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모래가 약 97%로 식재시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필요하고, 토양pH가 7.2~7.9인 약알칼리성토양으로 토양양료가 대단히 부족한 상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산림청이 조림한 지역에서 양수(楊樹, Populus simonii Carr.)의 평균활착률은 87.8%로 나타난 반면, 사류(沙柳, Salix gordejevaii Chang et. Skv.) 평균활착률은 76.8%로, 양수보다 저조하였다. 양수의 평균 신초생장량은 50.4 cm로 나타났고, 사류의 평균 신초생장량은 67.8 cm로 나타나 신초생장량은 사류가 양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조림한 지역에서 양수의 평균활착률은 89.5%로 나타난 반면, 사류의 평균활착률은 68.3%로 양수보다 현저히 낮아, 보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수의 평균 신초생장량은 56.7 cm로 나타났고, 사류의 평균 신초생장량은 56.9 cm로 나타나 두 수종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서평에서는 2010년에 王立新·塔拉·朱永剛이 주편으로 간행한『林西井溝子_晩期靑銅時代墓 地的發掘綜合硏究』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서술했다. 이 보고서는 吉林大學邊疆考古硏究 中心과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가 공동으로 2002~2003년에 조사한 林西井溝子의 서쪽구역의 발굴 에 기초한 것이다. 발굴한 총 면적은 1870㎡이고 발굴자에 의해‘井溝子類型’으로 명명된 기원전 6~4세기의 58개의 무덤과 2개의 灰坑(저장움)과 夏家店上層文化및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저장움 7기와 주거지 1기도 같이 조사되었다. 무덤은 북서-남동쪽으로 두향이 일정하며 서로 중복이 되는 현상이 없이 비교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유물 상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없어서 한 집 단이 지속적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기원전 6~4세기)에 이 지역에 무덤을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보고서의 발간을 통해서 內蒙古동남부의 문화변천에서 그동안 시공적으로 공백이었던 임서지역 기원전 6~4세기대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는 유라시아 고고학의 편년에 따르면 스키토-시베 리아문화의 중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오르도스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북방 일대는 다양한 문화유형이 발견되며, 井溝子는 그러한 유목경제의 가장 동쪽 끝이 된다. 유목경제가 이 지역으로 유입된 배경 을 분석하고 초원의 다른 문화와 비교하는 작업은 동북아고고학뿐 아니라 유라시아 고고학적인 의 미가 크다. 또한 하편에서는 다양한 자연과학 분야와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하여 정구자 유적을 영위 한 집단이 역사상에 기록된 東胡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렇듯 정구자보고서는 학문적인 문제의식 하 에 연구비 지원을 받아서 대학기관과 성단위의 고고학연구소가 공동발굴을 하고 그 성과에 다양한 분석을 더하여 출판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중국 보고서에서 진일보한 체제를 보여주며, 그 자료적 가 치도 크다.
        4,500원
        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carried, mainly, based on the geographic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case of primitive houses can not be research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racial concept of modern na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imitive houses of ethnic minorities of northeastern China, where the cultural and racial background have been deeply rooted in the history of Korea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houses. Through the field research and literary materials, the basic types of primitive houses of the five ethnic minorities could be identified. Among these types, those that have possible relationship with Korean houses, are cone shaped house, underground house, and elevated wooden house. Archeological evidences of underground houses were amply found in Korea already, but above ground evidences could not be found. However, It seems quite certain that the cone shaped houses and elevated wooden houses, too, existed in Korea as one of the earliest housing types, as can be examined in remaining examples in Korean peninsula. With no doubt, the primitive houses of Korea have strong connection with that of the ethnic minorities of northeastern China. This can be verified through the facts that the evidences of cone shaped houses, the similarities of the use of Inner space, the evidences of elevated wooden houses. Also, the combination of wooden floor and ondol,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stron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could be originated from the combination of primitive summer house, the elevated wooden house, and the winter house, the underground house with ondol.
        4,900원
        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kind of industry, which combined agriculture with tourism. It not only has the productive function, but also has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supplying people with sightseeing, leisure, vacation.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kind of industry from the amalgamation of agriculture and tourism: it is based on farm work, characterized by agricultural management, combines agriculture and tourism, and includes the city as a market-place. It satisfies tourist demand with food, lodging, excursions, shopping and entertainment provided by agricultural places and agricultural products. After combining the substance of this study with the primary sourc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ourism, I sugges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gricultural tourism on the basis of sustainable tourism theory in case of the Inner Mongolia region. To conduct research, various data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ner Mongolia region has great-wealthy resources for agricultural tourism. However, they have problems as well such as lack of funds, low infrastructure, low business-mind level, low management-mind, the scarcity of mid-supporting organiz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low awareness, and low service level of the agricultural touris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ave to strengthen publicity, strengthen the county and city communication, educates continuously profession talented person, establish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crease the integrity of infrastructure. As a developing industry,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field of study which needs more encouraging research. The agricultural tourism of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has only just started development resulting in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for this study. Future planned work entails a continuous in-depth study of Chinese agricultural tourism, considering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in particular.
        1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총 143개의 임의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55개의 primer로부터 종간에 다형성을 보이는 DNA밴드가 나타났다. RAPD에 의해 다형성을 보인 55개의 primer에서 확인된 총 DNA 밴드 수는 187개였으며, 그 중 128개(68.5%)가 12종의 마늘 지방종간에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PCR에서 다형성을 보인 DNA 밴드를 대상으로 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가 0.71이상에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졌는데, 제1그룹은 의성, 서산, 삼척, 예천-A, 예천-B종, 의성노랑, 정선, 남도, 단양 및 육백종 등으로 대서종을 제외한 한국의 재배종이 모두 포함되었으며, 제2그룹과 제3그룹은 각각 몽골종과 대서종 단독으로 나누어졌다. 종 특이적으로 DNA밴드를 나타내는 primer를 분석한 결과 21개 primer에서 30개의 DNA밴드가 어느 특정의 지방종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방종 마늘 10종을 구분할 수 있는 30개의 RAPD 마커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