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teokbokkidduk alone or supplemented with 3%, 6%, 9%, and 12% wheat bran powder were assessed, to increase use of the wheat bran by-product of wheat milling.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tarch elution of Tteokb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while the water absorption rate did not. The L color value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bran pow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teokbokkidduk prepared with 0% and 3% wheat bran powder revealed uniform pore size distribution. In terms of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wheat bran powder. Acceptance was highest for samples with 6% wheat bran powder.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revealed increased brownness, roughness, nutty, bitterness, astringency, savory character, and hardness, and decreased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ith increased wheat bran powd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highest overall acceptance of samples prepared with 6% wheat bran powder, reflecting the relatively low values of detrimental sensor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of Tteokbokkidduk increased as wheat bran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addition of 6% wheat bran powder resulted in excellent Tteokbokki in terms of acceptanc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resulting from high-pressure homogenization of wheat bra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ed the radicals clearance of DPPH and ABTS, the ferrousion chelating effects, and the contents of the surface-reactive phenol compounds. In the course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particle size of the wheat bran effectively by means of high-pressure homogenization. This also resulted in structural changes, such as changes in the cellular structure of wheat bran, dissipating the cellulose matrix. It was found that this process, in turn, caused the phenol compounds which were entrapped inside the cellulose matrix or bound by polysaccharides to be released, affecting the antioxidation. As the intensity of high-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increased, the radical clearance of DPPH and ABTS, as well as the surface reactive phenol compound, increased in return, while the ferrous-ion chelating effect decreased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p > 0.05). Therefore, it would be safe to conclude that high-pressure homogenization could be an effective solution to increasi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wheat bran, which, in turn,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a natural antioxidant) in food industries
본 연구는 밀기울을 초미 분쇄기와 공기분급을 동시에수행하는 설비를 사용하여 분쇄기 회전속도(MS) 3,800,4,800, 5,800rpm, 분리기 회전속도(SRWS) 2,500, 3,000,3,500rpm으로 분쇄하고, 공기분급기 회전속도(ARWS)200, 400, 600rpm으로 분쇄된 밀기울을 공기분급 후 각분급물의 조성 성분을 살펴보았다. 완전요인 실험계획에의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반응표면 회귀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후 각 조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 변수를 살펴보았다.조단백질 함량은 조분 분급물의 경우 11.87-14.08%로 조사되었다. 또한, MS(P<0.05)와 ARWS(P<0.01)에 유의적으로영향을 받았다. 조회분 함량의 경우 미분 분급물은 4.08-4.79%였고, 조분 분급물은 3.51-4.24%로 조사되었다. 미분분급물은 MS, SRWS, ARWS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냈다(P<0.01). 조분 분급물은 MS(P<0.01), SRWS(P<0.01),ARWS(P<0.05)의 영향을 받았다. 조지방 함량은 미분 분급물의 경우 4.56-5.05%로 조사되었고, MS, SRWS, ARWS에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P<0.01). 총 전분 함량의 경우 미분 분급물은 22.47-30.94%였으며, 조분 분급물은 9.35-16.83%로 조사되었고, 미분 분급물과 조분 분급물 모두SRWS와 ARWS에 유의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조사되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하여 밀기울의 초미분쇄공기분급 공정변수와 분급물의 구성성분에 대한 연관성을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밀기울을 초미분쇄기와 공기분급을 동시에 수행하는 설비를 사용하여 분쇄기 회전속도 3,800, 4,800, 5,800 rpm, 분리기 회전속도 2,500, 3,000, 3,500 rpm으로 분쇄하고, 공기분급기 회전속도 200, 400, 600 rpm으로 분쇄된 밀기울을 공기분급한 각 분급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완전요인 실험계획에 의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반응표면 회귀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후 정준분석을 실시하여 목적변수의 최고값을 결정하였다. 분급 비율은 미분 분급물과 조분 분급물 모두 분쇄기 회전속도, 분리기 휠 회전속도, 공기분급 휠 회전속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분급물 평균 입자 크기는 미분의 경우 분급기 휠 회전속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조분의 경우 분쇄기 회전속도와 분리기 휠 회전속도의 영향을 받았다. 총 식이섬유는 미분의 경우 분쇄기 회전속도와 공기분급 휠 회전속도의 영향을 받았고, 조분의 경우 분쇄기 회전속도), 분리기 휠 회전속도, 공기분급 휠 회전속도(의 영향을 받았다. 미세화된 식이섬유 소재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공정 최적화를 실시한 결과 미분 분급물은 mill grinding speed 5,800 rpm, separate reverse wheel speed 2,954.6 rpm 그리고 air classification reverse wheel speed 349.5 rpm에서 총 식이섬유 함량 39.52 g/100 g, 평균입자 63.05 μm, 분급비율 44.98%로 예측되었다. 조분 분급물은 mill grinding speed 5,500 rpm, separate reverse wheel speed 2,500 rpm 그리고 air classification reverse wheel speed 600 rpm에서 총 식이섬유 함량 57.48 g/100 g, 평균입자 402.62 μm, 분급비율 70.64%로 예측되어, 조분 분급물을 통한 식이섬유 강화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0년 이상 과채류를 재배하여 뿌리혹선충 피해가 많이 발생되었던 시설재배 토양에서 친환경적인 뿌리혹선충방제를 위하여 밀기울 토양환원처리 효과를 구명하였다. 토양소독처리후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시험전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뿌리혹선충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특히 밀기울처리구에서는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처리후 90일경에도 밀기울처리구가 매우 낮게 유지되었으며 멜론의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수확기 멜론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 65%인데 비해 밀기울처리구, 3%로 현저히 낮았으며 과실의 크기와 품질도 밀기울처리구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밀기울 토양환원처리는 뿌리혹선충 발생포장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멜론을 1작기 동안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는 유망한 소독방법일 뿐만 아니라 멜론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To find out the optimum mixing level of wheat bran to improve the quality of 1st cut Alfalfa silage, this trial was canied out at two-year's Alfalfa monoculture field of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 from May 1955 to Oct.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