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를 통해 세부 인지기능의 프로파일 을 비교함으로써 본 평가가 진단그룹에 따른 인지기능 상태를 평가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80명의 만 4~12세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단명별로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4명,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 20명,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 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7명, 정상발달 아동 29명이 참여하였다. 태블릿으로 개발된 인지평가는 총 8개 항목으로 공간작업기억, 작업기억용량, 시각적 작업기억, 시지각 처리기술, 집행기능(계획), 집행기능(반응억제 및 주의력), 집행기능(억제)의 세부 인지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다. 평가를 시행한 후 진단그룹에 따른 차이를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통계분석 은 Jamovi 1.6.23 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아동의 인지평가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χ²= 22.41, p < .001).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시각 처리기술 및 억제기능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였고, 지적장애 아동은 작업기억 용량, 시각적 작업기억과 반응억제 및 주의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아동의 경우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지평가 항목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는 정상발달 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의 상태 를 변별함으로써 치료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K-DP-Ⅲ) 국내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한글로 문항을 번역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K-DP-Ⅲ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아동전문가들의 번역과 관련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쳐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를 개발하였으며, 2009년 11월 5일부터 동년 11월 10일까지 두 개 도시(서울, 원주)에서 3세부터 5세까지 정상발달을 보이는 아동 49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의 타당도 비교에는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Ⅱ(K-DDST-Ⅱ)와 한국판 적응행동척도(K-ABS)를 사용하였다. 결과 : 평가결과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의 신뢰도는 .86.90로 조사되었으며, K-DDST-Ⅱ와 K-ABS와의 항목별 상관관계에서도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여 타당도가 높은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예비 연구를 통하여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는 아동의 발달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할만하고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검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