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족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 달 정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연령, 학력, 경력과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학력,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혹은 유아교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4.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ades, positions, and match results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port flow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occer players. The total data of 448 copies were collec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occer teams while 405 copies were accepted for final analysis without 43,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data. The result of latent mean analysis showed that middle school player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sense of control of sport flow and transformation of time, and defen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ffenders in ego orie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ime, while winning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losing group in all factors except ecstasy. Also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in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and middle school players had more powerful effect than high school players. Meanwhile, the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ffected significantly on sport flow in offenders and defenders, and ego orientation of offenders affects on sport flow. task orientation of winning and losing groups ha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and ego orientation of win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flow.
        5.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질문지', '직무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근무기관 유형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교수 성취감, 교수권한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성취감이 자기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도성의 행동적 전략에 대하여는 학력, 자기지도성의 인지적 전략에 대하여는 교수 권한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내적 외적 배경 변인에 따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의 현직 교사로서 장애유아 통합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122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Gibson과 Dembo(1984)의 ‘교사효능감 척도’에 기초하여 배재정(2005)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유치원 교사의 효능감 검사 도구’ 를 사용하였다. 빈도분석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또는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적배경 변인과 효능감와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연령, 대학 수강경험, 현직연수 경험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배경 변인과 일반적인 효능감과의 관계는 경력이, 개인적 효능감과는 연령, 결혼여부, 현직 연수참여 여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적 배경 변인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는 통합학급, 종일제 담당 학급 유형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배경 변인과 일반적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교육기관 유형이, 외적 배경 변인과 개인적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학급유형과 수업 형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