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군(軍) 교육훈련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군 교육사령부 산하 특기학교인 군수2학교를 수료한 교육생들을 대상 으로 이들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였다. 구체적 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했 다. 분석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 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군 특기 학교 수료생의 학습만족도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소수의 연구라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이론적 축적에 기여하고 있다. 나아가, 특기학교 교육의 효 율성·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9,500원
        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수의 염분화, 저지대 영토 상실 등 해수면 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일부 국 가들과 거주민에게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 하기 위한 국제법적 방법의 일환으로 기후변화와 국제법에 관한 소도서국 위원 회(Commission of Small Island States on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Law, 이하 COSIS)는 2022년 12월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유엔해양법협약상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책임에 관한 권고적 의견을 요청하였다. 현재 유엔해양법협약은 해수면 상승을 포함한 기후변화 원인을 명시적으로 규율하는 조문을 가지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국제법상 국가책임의 구성요소인 구속력 있는 국제의무와 이 와 관련된 행위규범을 유엔해양법협약 자체만으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 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COSIS에서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요청한 기후변화의 부 정적 현상에 대한 국가 책임의 권고적 의견과 관련하여 유엔해양법협약상 해양 환경보호를 위한 일반적 의무와 상당한 주의의무 등을 통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등이 적용가능한지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유엔해양법협약 제12부는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일반적 의무를 당사국에게 부여하고 있고, 이 의무는 상당한 주의의무를 포함하여 협약 당사 국이 해수면 상승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 등을 규제해야 하는 의무를 부 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당한 주의의무는 유엔해양법협약 제293조 와 함께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참조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어, 향후 국재해 양법재판소가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 등에 대한 국가책임을 규명하는 근거 규정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엔해양법협약상 상당 한 주의의무는 본질상 각 국가의 여건과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평가되고, 이 에 따라 요구되는 주의의무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법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습국제법과 유엔기후변화협약상의 관련 연구가 더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6,000원
        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 confusion on shopping fatigue an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in a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Further, the effects of shopping fatigue on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rough internet shopping. A total of 392 questionnaire were analysis, with frequency, reliability, fact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comple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nsumer confusion and shopping fatigue i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affecte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First, consumer confusion comprised overload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It was found that overload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shopping fatigue. Second, shopping fatigue significantly affecte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and an increased level of shopping fatigue result in, increased purchase delay and non-purchase behavior. Third, consumer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mbigu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delay behavior, while similarity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non-purchasing behavior.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e-CRM and marketing directions of internet companies and will contribute to rational decision-making of internet consum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sumer life.
        5,100원
        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ve become a vital means of shopping, significantly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s of fashion produ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andwagon consumption among fashion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bandwagon consumption on negative emotions, purchase discontinuation, and switching inten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285 female consumers in Korea aged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d guilt, regret, or disappointment afte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using SNS during the previous six months.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four different types of bandwagon consumption: intentional, impulsive, unintentional, and planned. The presence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guilt, disappointment, and regret were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bandwagon consumption. Intentional bandwagon consumption only affected guilt, while unintentional bandwagon consumption affected both guilt and disappointment. Impulsive bandwagon consumption affected guilt and regret; however, planned bandwagon consumption only affected regret. Furthermore, negative emotions affected purchase discontinuation and switching intention. Planned bandwagon consumption had an effect on both purchase discontinuation and switching intention, while both impulsive and unintentional bandwagon consumption influenced switching intention only. Intentional bandwagon consumption had no effect on either purchase discontinuation or switch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NS consumers’ bandwagon consumption causes different negative emotions, purchase discontinuation, and switching intention.
        5,100원
        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는 조직행동 분야의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이 2가지가 현재의 한국 사회의 분위기나 한국 기업의 조직문화와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이라는 기업 조직의 중요한 성과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관계를 부정적 정서조절이라는 정서적 요소가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해서 수집한 242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뢰성,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 모두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 정서조절은 상사의 유머행동과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 조직의 다양성 풍토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서조절은 정서와 관련된 개인차 요인이 개인의 정서 생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매개모델에 상황 요인을 추가하여 상황에 따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에서 고객응대를 주 업무로 하고 있는 180명의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감정 노동자의 일상적 부정정서, 인지적 재평가, 정서적 소진, 본인이 경험하는 고객 불만의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건적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객 불만의 강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부정정서가 인지적 재평가를 매개로 하여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고객 불만의 강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해당 간접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높은 강도의 부정정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감정노동자의 정서적 소진이 감소될 수 있지만, 낮은 강도의 부정적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서적 소진이 증가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 연구에 있어 개인차적인 측면과 상황적 측면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감정노동자 직군의 정서적 특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4,300원
        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 대다수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임파워 링 리더십을 통해 부여되는 권한, 자율성 및 책임이 오히려 구성원들의 신체적·심리적 부담을 유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직무과부하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를 가질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권력거리성향에 따라 부여된 권한, 자율성 및 책임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태도가 다를 것으로 가정하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과부하 사이에서 개인적 특성인 권력거리성향이 조절 및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및 조직에 재직하는 401명의 구성원에게 수집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과부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과 부하는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과부하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과부하의 관계에서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과부하의 매개효과에 대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간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는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권력거리성향이 중간인 집단 보다 낮은 집단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과부하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인 매커니즘을 살펴보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올바르게 기능할 수 있도록 임파워링 리더십의 부정적인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 등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유용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7,700원
        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많은 흡연 연구는 담배 소비 경험을 흡연자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흡연자는 담배 소비를 통해서 쾌락적 동기나 사회적 동기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자의 담배소비 행동이 흡연자의 이상적 자기개념이나 사회적 자기개념이라 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죄책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담배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는 담배 소비가 제공하는 쾌락적 혜택보다 신체적 피해를 더 크게 지각할수록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은 금연 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흡연자 자신에 대한 죄책감(예. 담배가격 인상)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예. 간접흡연이 가족의 건강에 미치는 피해를 보여주는 금연 광고)을 유발하는 금연 캠페인이 흡연자의 금연 의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4,000원
        10.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철도 기관사는 일상적 교번근무의 제도적 틀에 따른 심리적, 신체적 피로와 긴 장감을 경험하는 한편, 사고 및 장애발생의 가능성을 늘 염려하면서 주어진 과업을 수 행해나가고 있다. 즉, 이들은 항상 이례상황의 발생가능성을 염려하면서 과도한 스트 레스를 느끼게 되는데, 이는 공포불안과 분노혐오라는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는 원인 이 된다. 이 같은 부정적 정서는 기관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상당한 손상을 주는 요인 이 된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기관사의 이례상황 스트레스가 기관사의 정서와 일과 삶의 균 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 같은 일련의 관계에서 기관사의 이례상황 스 트레스를 완화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1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ighlight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constructs such as accident, fear and anxiety emotion, self-efficacy, and negative spillover of work, focused on the railway drivers. The differentiated factor of this study is in that the experience of accident was posed as exogenous variable. The main statistical tool was Regression. Hypothesis tests based on 201 samples verified that the experience of acciden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spillover of work mediated by fear and anxiety, with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fear and anxiety and negative spillover of work.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as increasing the degree of negative spillover of work, since the drivers recognized their fear and anxiety accrued by accident experience as uncontrollable. This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mitigating driver's negative emotion - fear and anxiety - through an introduction of practice such as exemption of settlement obligation in accident site and lowering of the penalty for accident responsibility.
        4,200원
        1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technology has been growing constantly and it is becoming the leading technology in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Although nanotechnology has important applications in broad variety of fields without boundary of any particular industrial area, the study of nanotechnology related to its commercializ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few ways. To put that figure in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public and expert perceptions about negative potentials of nanotechnology. Through a series of surveys with public (N = 541) and experts (N = 62), we analyzed about public willingness to pay for nano-applied products. Survey results showed that public and experts preferred nano-applied products in the order of electronics, cosmetics, and food and medicine. Experts express high payment intention to electronics rather than public intention.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oth public and expert group was affected by the attributes of nano-applied products in the order of risk fatality, risk chance, certification, and labeling. But experts put more importance in risk fatality than risk chance comparing to public.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effects of labeling and certification, we revealed either labeling or certification can induce both public and experts to buy the nano-applied products with high risk chance and low risk fatality. However, for the nano-applied product with high risk fatality and low risk chance, both labeling and certification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make customers have positive purchasing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the nanotechnology-based company to get th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about nano-based product and to establish their marketing strateg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