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는 다양한 과수와 콩류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제주도에서는 감귤 과실을 흡즙하여 반점 형성부터 낙과에 이르기까지 극심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수확기에 근접하여 발생하여 방제여부 결정에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이들 밀도와 흡즙 시기에 따른 노지감귤 낙과 및 저온저장시 부패율을 검정하여 화학방제의 필요성 여부를 검토하는 데 이용하고자 하였다. 실험 곤충은 2009년 실험실에서 수립된 계대사육 개체군을 이용하였으며 두 곳의 노지감귤 포장에서 2011년 9월에는 과실당 각 0.1, 0.2, 1마리, 10월에는 과실당 0.5마리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2010년에는 수확한 과실에 각 1, 2마리씩 접종하여 24시간 보관하였다. 가해한 과실들은 수확과 동시에 낙과율을 조사한 후 대조구와 함께 저온 (2010년: 5℃, 2011년: 4℃) 에서 45-50일간 보관하여 부패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9월에 피해를 입은 경우 썩덩나무노린재의 밀도가 과실당 1마리일 때 낙과율이 76.08 ± 5.74%로 높게 나타났다. 접종 밀도가 감소할수록 그에 따른 낙과율은 감소하여 과실당 0.2, 0.1마리일 때는 대조와 유의차가 없었다. 수확 후 저온저장했을 때 부패율은 2.00~13.89%로 나타났으나 대조와는 차이가 없었다. 가해시기별 감귤 과실의 낙과 및 부패율을 조사한 바, 10월에 썩덩나무노린재를 과실당 0.5마리 접종한 경우는 낙과율이 7.78 ± 4.34%, 부패율이 8.37 ± 4.40%로 대조와 유의차가 없었다. 수확기 과실에 접종한 경우는 저장 45일 후에도 부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0.00~0.03%).
신선 퉁퉁마디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MAP에 적절한 포장재와 저장온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10℃ 이하의 저온과 무공필름에서는 2%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25℃의 유공필름처리는 4% 이상의 감소를 보이면서 품질저하가 발생하였다. 저장중 포장재내 대기조성은 필름 투과율에 비례하였는데 이산화탄소는 1~2%, 산소는 15%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25℃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저장 중 포장재내 에틸렌 농도는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2℃에서 가장 높아 저온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저장 최종일에 이취와 부패율은 5℃에서 가장 낮았으며, 포장재별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저장온도중 가장 낮았던 5℃에서는 50μm 두께의 ceramic 필름이 가장 낮은 이취와 부패율을 보였다. 외관상 품질로 본 저장수명 역시 5℃에서 50μm ceramic 필름으로 포장하였을 때 28일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재배중인 콩나물의 용기 내 품온의 저하 및 부패 경감을 통하여 콩나물 생산성을 증대코다 콩나물 재배 용기(30×28×25cm) 내부에 다공성 PVC 환기봉(지름 32mm×높이25cm ; 128개의 지름 2mm 환기구)을 1, 3, 5개씩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6일간 콩나물을 재배하며 품온의 변화 및 수량, 상품성 개체비율, 부패율 등을 조사한 결과 환기봉 설치에 의하여 용기 내부의 온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바닥에서 5cm 높이의 하층 및 10cm 높이의 증측 부위가 15cm 상층 부위(3.0℃)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온도가 저하되어 각각 4.7℃ 및 3.9℃의 온도 저하효과가 나타났으며, 용기 내부 상/중/하층의 온도 편차가 감소되어 균일한 콩나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수확된 콩나물의 성상 및 수량 조사결과 수율과 상품성 개체 비율이 무처리에 비해 각각 3.9%, 4.0% 증대되고 부패율은 4% 감소되는 등 콩나물 재배시 환기봉을 사용함으로써 농약을 사용치 않으면서 콩나물의 재배 용기 내 품온 저하를 통한 부패 경감과 콩나물생산성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farm income by decreasing the rate of corrosion and increasing the emergence rate by selecting the proper storage method of the medicinal crop seed root.
Methods and Result : Ten kinds of medicinal crop seed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Salvia miltiorrhiza Bunge, Codonopsis lanceolata, Platycodon grandiflorum, Atractylodes japonica, Angelica acutiloba, Adenophora triphylla, Rehmannia glutinosa, Angelica gigas and Cnidium officinale were used as test materials. In experiment 1, storag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four treatments: untreated (dry in advance), untreated, filler (dry in advance) and filler. Drying in advance was carried for 2 days in dark place and the filler was vermiculite. For storage, in styrofoam box, seed roots were laid down in 3 replicates of 10 sets, stored in – 1℃ warehouse. The storage temperature was set as long as each seed root was not frozen investigating freezing point, supercooling point. As a result, the rate of corro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4th treatments (filler), such as A. japonica (30%) and A. gigas (10%), compared with untreated one. Therefore, in experiment 2, six treatments were carried out using filler. There were 6 treatments: filler disinfectant (dry in advance), filler disinfectant, filler biochar (dry in advance), filler biochar, filler disinfectant biochar (dry in advance) and filler disinfectant biochar. The disinfectant was used by metalaxyl-M at a concentration of 0.4 g/ℓ, and a biochar was used at a volume ratio of 50% (v/v). As a result, the rate of corro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6th treatment (filler disinfectant biochar), such as S. miltiorrhiza (13.3%) and C. lanceolata (6.7%).
Conclusion : In storing medicinal crop root, it is better to store using fillers. It was shown that a mixture of filler and disinfectant biochar reduced the rate of corro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