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졸업식, 입학식 시즌에 생화 꽃다발 상품에 관해 소비자 인식과 구입 특성을 알아보고자 10세 이상의 내국인 남, 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졸업, 입학식 시즌의 꽃다발 상품 구입 이유에 관한 설문 결과, 특별한 날이기 때문에 가족,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기 위한 능동적인 구입 형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유치원 및 대학교 졸업, 입학식에 비해 초, 중, 고 졸업, 입학식 에 꽃다발 구매 경험이 더 많았으며, 주로 행사 당일 1~2시간 전에 노점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꽃다발 가격과 크기는 1~5만원 사이의 중간 (21~50cm) 크기를 선호하였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꽃다발 가격 결정 요인으로는 꽃다발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였고, 선호하는 절화의 특성은 전제적인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비자가 선호하는 절화 특성으로는 10대는 30대 이상 연령에 비해 선명하고 화려한 색의 절화를 선호하며, 30대가 20대보다 화형이 큰 절화를 선호 하였다. 꽃다발 상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가격에 대한 신뢰와 절화수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다발 대체상품으로 보존화, 건조화, 조화 등을 구입하는 비율은 낮았으며, 대체상품을 구입하는 일부 소비자들은 생화보다 오래 볼 수 있으며 관리가 쉽기 때문에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절화상품 인식 제고를 위해 절화 가격 및 구매 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Chinese tourists’ perceptions of beauty products and their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ve on beauty tourism, particularly on Chinese tourists’ intent to purchase, re-purchase, and recommend beauty products. Between the 10th and 21st of June, 2016, a total of 27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Busan, and Daegu using SPSS 21.0. Cronbach’s α was undertaken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and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factors, t-test, and Sobel test used in the study. Korean beauty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product favorability” and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Product favor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purchase, as did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Re-purchases and the intent to recommend beauty products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beauty products and the intent to purchase, the study revealed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the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on product favorability and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that product favora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Touris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complete mediation on the effect that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According to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t, the difference between buying and selling beauty depends on the difference between purchase and intention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s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thanks to product superiority and reliability.
본 연구는 생체지문 인식장치의 전략적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통하여 표준화된 신상품 기획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업전략과 목표시장을 설정한 후 1차 설문결과, 고객 요구준건을 , 2차의 설문조사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기획품질을 결정하며, 이것의 만족도 정도를 Sales point로 삼았다. 상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요구품질과 기술적 요소의 대응 정도를 살펴 본 후, 개발 제품 현재의 품질 특성치를 파악하기 위해 경쟁업체의 제품을 기준으로 벤치마킹 테스트를 실시하여 첫째, 세대별 상품전략 둘째, 세대별 요소기술 map. 셋째, 세대별 상품 컨셉. 넷째, 세대별 개발계획의 4개 파트의 다세대 상품기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제1보와 제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DMDI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2보에서는 제1보에서 도출된 DMDI의 가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디자인 지침을 토대로 하여 의류상품으로서의 착용성과 실용성, 상품성을 갖춘 DMDI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형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5가지의 DMDI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제1보와 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 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디지털웨어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1보에서는 소비자의 DMDI 대한 잠재수요를 고찰하기 위하여 디자인 에스노 그래피적 견지에 기초하여 개발된 심층면접 방식 및 범주분석 방식을 취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DMDI를 위한 7가지의 가능성 있는 어플리케이션 영역과 6가지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s for preserved flower to develope products. The basic questions about planning,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product are asked to 160 included experts and non-experts of flower in the 1st survey. In the 2nd survey, intensive questions and customer’s preferences for product type and design elements (color, shape, species, material, fragrance etc.) are researched to the awared of preserved flower among 1st surveyed people. In aspects of product planning, the detailed product planning with well-awaring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preserved flower is necessary, not concentrating on differences with natural flower products. In aspects of branding, diversifying the education and marketing of preserved flower itself is necessary, not differentiating among the other brand. And suggesting varied applications of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useful to expand its market, not concentrating on developing to high quality. In aspects of developing design, considering for various design elements is important when developing main mass flower. In case of filler flowers, having massive shape and balance with main is necessary to developing green leaves. In aspects of marketing, educating and marketing for preserved flower is seemed to be the most urgent priority for expanding its market, not designing and developing high quality products. Especially it is seemed to be necessary to secure some general marketing channel through mass media like advertise, newspaper and TV for the un-awared of preserved flower or uninterested in flower products. And to show various design applications and to improve design quality and maintenance of flower products is helpful to secure potential market.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 만족도를 florist와 소비자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상품 꽃다발에 대한 인식은 Florist 그룹과 소비자 그룹이 상품 꽃다발의 색상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품 꽃다발의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상품 꽃다발 구매시 가격과 색상면에서는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포장은 보통, 형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상품꽃다발 구매 시 선호하는 배색기법을 분석한 결과, Florist 그룹 28%(14명)은 유사색상의 조화, 소비자 그룹 33%(33명)은 동일색조의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Florist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켜 화훼 및 화훼디자인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