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체난포란 채란을 위한 공란우를 대상으로 난포란의 채란 효율과 번식 관련 혈액내 호르몬 성상을 조사하여 수정란 채란과 생체난포란 채란시 공란우의 선발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란우의 사양관리는 배합사료 3.0Kg 과 건초 6kg 을 (배합사료 TDN 68%, CP 14% 조사료는 건초 TDN 50%, CP 6.58%) 급여하였다. 생체난포란 채란을 위한 한우 공란우는 한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한우에서 실시하였다. 생체 내 난포란의 관찰은 MyLabTM30VETGOLD(Esaote, Genova, ITALY) 및 탐촉자(EC123; Micro-Convex 9∼3 MHz, Esaote, Genova, ITALY)는 6.6 MHz convex scanner 를 사용하였고, 난포란 채란에 사용된 주사침은 19G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초음파상에서 2mm 이상의 난포 수량을 확인하고 난포란을 흡인하였다. 공란우로부터 채란된 난포란 수와 혈액내 주요 영양대사물질 6 항목 Glucose(mg/dl), Cholesterol(mg/ml) BUN(mg/dl) AST(U/L) ALT(U/l), Nonesterified Fatty Acids(NEFA, uEq/L)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각 개체별 Glucose 농도는 67.5±4.9, 78±2.82, 75±21.2, 65±4.24, 56.5±2.12, 78.5±10.6, Cholesterol 78±19.7, 84.5±2.12, 181±42.4, 156±25.4, 103±9.8, 112.5±10.6, BUN 8.75±1.76, 8.6±1.34, 14.6±2.75, 10.2±0.56, 10±0.56, 12.2±0.42, AST 76.5±12.02, 69.5±2.12, 90.5±19.1, 83.5±6.36, 62.5±7.78, 86.5±0.7, ALT 14.5±2.12, 14±2.83, 28±1.41, 23±5.66, 15.5±2.12, 22.5±3.53, NEFA 67.5±54.5, 109±38.18, 177.5±103, 149.5±64.34, 104.5±28.99, 22.7±92.0 로 나타났다. 개체에 따른 항목별 분석에서 난포란 회수 효율이 가장 높은 개체의 Glucose 농도는 67.5, BUN 수준은 8.75 수준이며 NEFA 농도는 67.5 수준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영양수준에 따른 채란 효율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이며 영양수준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자료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Commercial applications of OPU/IVP were to produce embryos and calves from high genetic cows.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number of recovered oocytes and cultured in vitro produced embryos from Ovum Pick-up (OPU).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was carried out of oocytes by ultrasonographic guided follicular aspiration and then produced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by IVP culture system. In result, the rate of recovered oocytes was obtained 612 (57.2%) and 451(73.7) G1+G2 grade oocytes. No difference of recovered rate (51.1~62.1%) was seen in six donor. The rate of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were obtained 320 (70.9%) and 78 (24.4%) that was 3.3±0.4 cleaved embryo and 0.9±0.2 blastocysts per session. Cleavage rate of OPU oocytes in No. 6 donor was 90.6%,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donors, However, blastocysts was similar (25.8~30.0%). In conclusion, limited numbers of OPU oocytes had competent development when cultured in SOF culture medium
소의 수정란 생산과 이식에 대한 연구는 한우의 개량과 증식 그리고 한우 유전자원의 안정적인 관리로 산업적 활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생체 에서 난포란을 채란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체난포란 채란 을 위한 한우 공란우는 한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한우에서 실시하였다. 생체 내 난포란의 관찰은 MyLabTM30VETGOLD(Esaote, Genova, ITALY) 및 탐촉자(EC123; Micro-Convex 9∼3 MHz, Esaote, Genova, ITALY)는 6.6 MHz convex scanner를 사용하였고, 난포란 채란에 사용된 주사침은 19G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Monitor Image에 고정된 2 mm 이상 의 난포에서 난포의 수량을 확인하고 난포란을 흡인하였다. 흡입된 난포란은 2∼3회 washing으로 혈액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체현미경 하에서 회수하였고, 난포란의 등 급분류는 세포질 균일도와 난구세포의 부착 정도에 따라 평가기준을 1등급에서 3등급까 지 분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의 체외성숙배양은 TCM 199 기본배양액에 소 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0.5%와 LH, FSH, FGF, EGF 첨가하여 2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체외수정은 IVF 100(IFP, Japan) 배양액 50μl 미소적에 성숙 난포란 20개씩 넣어서 체외수정을 실시 하였다. 체외수정을 위해서 KPN 동결정액을 사용하였고 수정을 위한 정자의 최종 농도 는 2x106/ml로 6시간 동안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배양은 조건은 5% O2, 5% CO2, 그리고 90% N2 와 38.5°C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수정율은 체외수정 후 48시간째 확인하였고 배반포 수정란 발달율은 체외수정 후 192시간째 확인하였다. 농후사료 급여량 에 따른 난포란의 회수효율은 2.0kg/일 급여시 초음파상에서 채취가능 난포란은 9.6개, 3.0kg일 때는 8.8개로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2.0kg 급여시에 다소 높은 난포란을 확인하였다. 생체 채취된 난포란의 체외배양에 따른 수정란의 발달율은 IVD 배양액에서 15.6%, CR1aa 26.2%, SOF 37.1% 발달율로서 IVD 배양액보다 SOF 배양액에서 유의적 으로(P<0.05)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배양액 종류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생존율은 66.7%, 64.7%, 70% 각각 나타내었다. 생체난포란을 활용한 수정란이식을 위해서 체외배양시스템 의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생체채취 난포란의 회수를 위한 시술자의 기술적인 숙련도가 상승되었을 때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시료된다.
유전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정상적으로 번식이 불가능한 젖소 16두를 간이 난자 체취기를 이용하거나 장기공태 젖소 5두를 초음파 난자체취기를 이용하여 미성숙난자를 채취하므로서 체외수정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채취기기의 효율성과 반복채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란우당 채취회수는 간이 난자 체취기 8.8회였고, 초음파기기는 8.8회였으며, 공란우당 평균 회수된 난포란은 각각 4.39개와 4.14개로 채취기기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