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ity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The black chokeberry was known to contain many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such as ascorbic acid, anthocyanin, quercetin. We extracted black chokeberry powder from four solvents such as chloroform:methanol(CM, 2:1, v/v),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70% methanol. After that, we determined anthocyani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lack chokeberry extracts and as results of comparing each extract.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ity of black chokeberry extracts was the highest in 70% methanol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black chokeberry can be used as nutraceutical foods and natural antioxidant.
        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ctivities in nine cultivars of Momordica charantia L. (Korea, China, Japan and Philippine native cultivar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6.82 μg/ml) measured in the native Korea cultivar, and this value was 4.0 μg/ml higher than that of the 'Verde Beuhas' cultivar (12.82 μg/ml). The 'Peacock' cultivar ha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amount which was 4.38 μg/ml.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method was the highest in the native China cultivar (RC50 = 102.6 μg/ml).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cording to cultiv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eacock'. Nitrite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t the pH 1.2, exhibited to 81.5~86.9% by addition of ethanol extract 1μg/ml from Momordica charantia 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mordica charantia L.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cultivars.
        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50)은 51.10 μ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mg/ml)을 첨가하였을때 62.11%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 (0.2mg/ml)을 첨가하여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1, 2, 4일 경과후 각각 72.86%, 77.18%, 78.32%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측정되었고, 202.35± 1.26 GAE μ extract으로 조사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합 생약추출물(0.2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조건에서 4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가능 하리라 사료된다.
        7.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솔잎발효추출물(PEE)과 에탄올추출물(PE 80, PE 50)로 효소적 저해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솔잎발효 추출물인 PEE가 솔잎 에탄을 추출물 PE 80과 PE 50에 비해 약 5∼38%정도 저해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XOase 저해효과는 PFE가 62.77%, PE 80이 64.90%, PE 50이 55.9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
        8.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작용 및 대두유에 농도별(0.5, 1 및 5%)로 첨가하여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pH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H 1.2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80%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작용은 50 /mL의 농도에서 약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목초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두유를 control로 사용하였고, 0.1% BHT를 첨가한 대두유는 비교군으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