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ustrial disasters cause lots of damages from individuals to companies and country. Especially, damages caused by constructional disasters take very large portion in the whole industry and are accompanied by huge personal·physical damages.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roles of safety manager are very important and especially, effects of disaster prevention can be changed by occupational ability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To improve job abilities of safety manager, job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is research suggested a model for job educ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and proposed improvements as a study on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vitalization of job educatio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so as to improve occupational ability of safety manager.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 examined standard and operation status of current job education of safety manager and the problems and suggested a model materializing job educational contents as a measure to vitalize job education system of safety manager.
        4,000원
        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선원안전(재)교육과정의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예상인원 및 외국 교육기관의 교육운영방법을 분석하여 국내 선원안전(재)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전체 선원 37,000여명이 5년마다 주기적으로 선원안전(재)교육을 수료하여야 하므로 선원의 편의를 위하여 STCW 협약에서 인정하는 선상에서의 교육을 활성화하고 선상교육프로그램을 표준화하여 육상교육을 축소할 뿐만 아니라 선원 안전교육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교육 분야 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선원안전(재)교육과정과 STCW협약과의 차이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선원이 안전(재)교육을 적시에 이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안전교육시설 및 가상현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 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12년 이후에 발행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이다.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재구성하 였고 분석 준거는 교통안전, 실종유괴안전, 소방안전, 재난안전, 약물안전, 성폭력안전, 동·식물 안전, 환경안전, 다중시설이용안전, 생활안전, 미디어안전이다. 이들 분석 준거에 의하여 누리 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생활영역, 생활주제,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내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체운동·건강영역의 안전교육은 연령별로 비슷하게 실시되었고 3세, 4세, 5세 순으로 상당히 높게 실시되었다. 둘째, 생활주제별 안전교육에서는 ‘생활도구’주제에서 3 세와 4세가 ‘건강과 안전’주제에서 5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유형별 안전교 육에서는 ‘대·소집단활동 중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5세가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유형별 안전교육에서는 ‘놀이안전범주 중 놀이기구’에서 3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향후 안전교육의 교육 방향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 용되고자 한다.
        4,900원
        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eople make efforts on accident prevention, the number of accident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however the number of fatal major industry accidents has rather increas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deaths in total. Under these conditions, there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d perform the safet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s a means for preventing major industry acc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se vocational edu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safety's point of view and suggest the efficient techniques measuring and managing each safety management. Proposed techniques show that the specification on safety determines weight through the managers of firms and each process is suggested by using SN ratio.
        4,000원
        9.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eople make efforts on accident prevention, the number of accidents is decreasing, fatal major industry accidents are rather than increasing so that the number of deaths has not decreased. Under these conditions, there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d perform the safety vacational education system as a means for keeping from major industry acc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sis vacational edu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safety point of view and suggest the technique efficiently measuring and managing each safety management. Proposed the technique shows that the specification on safety determines weight through the managers of firms and each process is suggested by using SN Ratio.
        4,000원
        1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위 학교에서 교육과정 실행 중 발생하고 있는 각종 안전사고는 현재까지 안전교육 체계의 대폭적인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수정 방법 중의 하나로 연구자는 내러티 브에 주목한다. 최근에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활 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는 내러티브라는 인간의 인식론 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정렬하는 과정 이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에 기반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안전 교육과정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여 2장에서는 안전교육과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었으며, 3장에서는 내러티브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과 원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 는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모형을 제시하여 안전교육과정 설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초등학교 안전 교육과정 설계는 현재의 안전교육을 보 완하여 체험 중심의 실질적인 안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1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vailable additional education cours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functional education, which is mainly for the enhancement of safety consciousness, along with a model for the way of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struction death accidents for the recent five years were analyzed about their patterns and the scales of the accident sites to infer the main subjects and the direction of hands-on education cour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combin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the construction safety hands-on education courses and the additionally required education courses were proposed.